
단행본Introduction to Geopolitics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 단체저자
- 한국지정학연구회
- 발행사항
- 서울 : 길, 2007
- 형태사항
- 351 p. : 삽화 ; 23 cm
- 서지주기
- 색인 수록
- 키워드
- 지정학, INTRODUCTION, TO, GEOPOLITICS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76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76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에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난 다양한 국제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20세기 세계사를 ‘지정학적’ 사고로 읽는다는 의미도 갖는다. 코소보 사태, 카슈미르 영토분쟁, 한국전쟁 등등이 사례들로 나온다.
이 책은 비록 저자가 대학 강의를 통해 얻은 결과물을 펴낸 것이지만, 21세기 들어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는 ‘지정학 입문서’로서는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즉 일반 교양인들이 읽어도 그 내용을 십분이해할 수 있다. 특히나 우리에게 지정학적 사고는 반드시 요구된다고 본다.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냉전적 분단체제가 아직도 우리를 둘러싼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남한의 국제관계는 어떤 한 요소로만 보기에는 분석틀이 너무 단순하며, ‘지정학적’ 사고 틀이 요구되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지금껏 우리가 미국이나 유럽이 그려준 세계지도를 통해 ‘세계’를 인식해왔다면, 이제 21세기 지정학은 ‘우리’의 눈으로 세계를 볼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저자가 책 말미에 쓴 것은 시사하는 바 크다. 즉 “예를 들어 서구의 정부들에게, 이란이나 북한 정부의 결정들은 비합리적이고 불필요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지정학 행위자로서 이란이나 북한을 지구적ㆍ지역적, 그리고 국가간 경쟁의 구조의 틀에서 이해하는 것은 당신의 몫이다. 전직 미 국방부장관 맥나마라가 그의 일생의 경험을 다룬 「전쟁의 불확실성」이란 다큐멘터리 필름에서 지적하듯이, 외교정책의 가장 중요한 교훈은 적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지정학 행위자들이 처한 구조적 맥락은 그들의 공포와 관심, 그리고 목적을 이해하는 열쇠이다.” 그것은 또한 궁극적으로 ‘평화’를 지향함은 물론이다.
이 책은 비록 저자가 대학 강의를 통해 얻은 결과물을 펴낸 것이지만, 21세기 들어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는 ‘지정학 입문서’로서는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즉 일반 교양인들이 읽어도 그 내용을 십분이해할 수 있다. 특히나 우리에게 지정학적 사고는 반드시 요구된다고 본다.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냉전적 분단체제가 아직도 우리를 둘러싼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남한의 국제관계는 어떤 한 요소로만 보기에는 분석틀이 너무 단순하며, ‘지정학적’ 사고 틀이 요구되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지금껏 우리가 미국이나 유럽이 그려준 세계지도를 통해 ‘세계’를 인식해왔다면, 이제 21세기 지정학은 ‘우리’의 눈으로 세계를 볼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저자가 책 말미에 쓴 것은 시사하는 바 크다. 즉 “예를 들어 서구의 정부들에게, 이란이나 북한 정부의 결정들은 비합리적이고 불필요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지정학 행위자로서 이란이나 북한을 지구적ㆍ지역적, 그리고 국가간 경쟁의 구조의 틀에서 이해하는 것은 당신의 몫이다. 전직 미 국방부장관 맥나마라가 그의 일생의 경험을 다룬 「전쟁의 불확실성」이란 다큐멘터리 필름에서 지적하듯이, 외교정책의 가장 중요한 교훈은 적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지정학 행위자들이 처한 구조적 맥락은 그들의 공포와 관심, 그리고 목적을 이해하는 열쇠이다.” 그것은 또한 궁극적으로 ‘평화’를 지향함은 물론이다.
목차
옮긴이의 말 - 21세기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 지정학
서문 - 이 책의 내용은 무엇이며, 독서 후에는 무엇을 얻게 되는가
제1장 지정학의 이해를 위한 기본틀
제2장 지정학적 맥락 속의 세계
제3장 지정학 코드: 자신의 지정학적 견해를 규정하는 행위자
제4장 지정학적 코드의 표상
제5장 국민 정체성의 지정학
제6장 경계의 지정학: 세계 정치지도의 흔들리는 기반들
제7장 지정학적 메타지리: 테러리스트 네트워크와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제8장 무질서한 지정학: 행위자와 구조들
찾아보기
옮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