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재생에너지 정책과 지속 가능 발전전략
- 저자
- 박상철
- 발행사항
- 파주 : 이담 Books : 한국학술정보, 2015
- 형태사항
- 295 p. : 삽화, 도표 ; 23 cm
- 총서사항
- Green seed ; 3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87-295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909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9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본서가 독일의 사례를 통하여 독일보다도 월등하게 높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의 방향 전환과 지속 가능 발전전략 모색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Part 1 서론
1.1. 에너지와 환경
1.2. 에너지정책과 지속성장
1.3. 재생에너지 개발전략 및 수단
Part 2 독일 에너지정책
2.1. 배경
2.2. 에너지정책 개요
2.3. 에너지정책 목적 및 수행방법
2.4. 경제성장과 에너지정책
Part 3 독일 녹색성장정책
3.1. 녹색성장정책 대두 및 중요성
3.2. 녹색성장정책 추진방법
3.3. 녹색성장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상관관계
Part 4 독일의 탄소세
4.1. 탄소세(일명 생태적 에너지세) 도입배경 및 개념
4.2. 탄소세 도입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4.3. 탄소세 도입에 대한 정부 및 산업계 간 인식의 차이 극복
4.4. 탄소세 도입결과
Part 5 독일 이산화탄소 배출권시장 거래제도
5.1. 이산화탄소 배출권시장 거래제도 도입배경
5.2. 배출권시장 거래제도 도입규모 및 역할
5.3. 배출권시장 거래제도 활성화 방안
Part 6 독일 기술혁신 환경친화산업
6.1. 기술혁신 중심 환경친화산업과 지속성장
6.2. 환경친화산업 글로벌 시장
Part 7 독일 탄소세 및 배출권시장 거래제도가 주는 시사점
7.1. 독일 탄소세 도입 및 배출권 거래제도의 시사점
7.2. 우리나라 탄소세 및 배출권시장 거래제도 도입
7.3.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정책: 발전차액지원제도 및 신재생에너지원 의무할당제
7.4. 우리나라 탄소세 도입 필요성
7.5.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
7.6. 제도도입 시 산업에 미치는 영향
7.7. 정책수행의 윈-윈 접근 방안
Part 8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