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372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37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목차
머리말
1부 국왕과 국가운영의 실상
1장 조선의 국왕과 국가운영
1. 어떻게 국왕을 만들었는가
2. 어떻게 왕위를 이어받았는가
3. 어떻게 국가를 운영하였는가
4. 어떻게 반성하였는가
2장 왕자 교육 : 조선초기 세종대의 서연
1. 왕자 교육의 기틀 마련
2. 왕세자 교욱제도의 정비
3. 세종의 왕자 수업과 교육 내용
4. 조선초 왕자 교육의 의미
3장 국왕 교육 : 조선중기 경연제도의 실상
1. 국왕 교육의 강화
2. 경연의 운용과 경연 과목
3. 경연강의와 제왕학
4. 조선중기 경연의 의의
4장 국정의 반성 - 《국조보감》을 중심으로
1. 국정 반성의 자료
2. 《국조보감》의 편찬 경위와 목적
3. 기사 선별의 특징
4. 정치사상적 특징의 비교
5. 국정 반성의 의미
2부 국가운영과 의례
1장 조선시대 국가와 의례
1. 국가와 의례
2. 《세종실록》,「오례」
3. 《국조오례의》와 《경국대전》 「예전」
4. 예학의 발달
5. 《국조오례의》와 《춘관통고》
6. 《대한예전》
7. 조선시대 국가와 의례의 의미
2장 강무 : 국와 의례의 변화
1. 국왕 의례의 종류와 변천
2. 조선전기의 강무
3. 조선 중·후기의 강무
3장 기신제 : 조선후기 왕실 기신제
1. 기신제의 의미
2. 조선전기 왕실 기신제의 이중 구조
3. 조선후기 왕실 기신제의 설행
4. 조선후기 왕실 기신제 운영의 실상
5. 조선후기의 왕실 기신제
부록
국왕열전
국왕의 학문 : 정조와 《사부수권》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의 정리 현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