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40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40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생각이 막히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느낄 때 이 말을 늘 되새긴다 상투적이긴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평범하면서도 물리지 않는 된장찌개 같다고나 할까 그런데 근본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답할 자신이 없다 아니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이 여기에 적합한 것인지 확신이 없다고 말하는 편이 솔직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면서도 미련하게 여기에 매달리고 있는 셈이다 근대란 무엇인가 근대에서 문학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머리말 중-
목차
제1부_근대적 시공간과 문학장
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1. 지리적 상상력과 지식의 근대 기획
2. 근대의 지식 체계와 그 배치
3. 현미경ㆍ망원경ㆍ내시경, 근대의 지식과 그 욕망의 배치
4. 새조선의 기획과 지식의 담론 형태
근대적 '시간'관념과 문학의 존재방식
1. 근대 시간과 문학 환경
2. 근대의 시간과 독자의 탄생
3. 시간과 문학, 근대문학의 존재방식
4. 시간성과 문학의 자의식
근대 사적 공간과 문학의 내면 공간
1. 사적 영역, 공적 영역
2. 기숙사ㆍ하숙방의 등장과 사적 공간
3. 하숙방이라는 문학 공간, 근대문학의 공간 분할
4. 재배치되는 문학 공간
한국근대소설에서 인생과 생활의 발견
1. 문학의 근대성
2. 근대 매체와 서사양식
3. 1910년대 소설에 구현된 인생과 생활
4. 구체적 삶과 문학
제2부_근대, 근대문화, 글쓰기
서간의 형식과 고백의 형식
1. 서간이라는 양식
2. 근대 지식인과 서간의 재발견
3. 서간과 소설형식, 근대 문학에서 고백의 특징
4. 사적 영역, 공적 글쓰기
문명의 욕망과 왜곡된 근대
1. 박람회라는 문명
2. 근대라는 욕망과 박람회의 정치학
3. 박람회와 균열하는 근대 욕망
4. 박람회, 엇갈리는 시선
근대계몽기 신문 매체와 근대의 글쓰기
1. 근대 매체와 글쓰기
2. 근대계몽기 '국문' 논리와 문체적 특징
3. 정치의 결합과 비꼼의 어투
4. 매체와 글쓰기
"내지(內地)"의 논리와 근대 초기 조선의 글쓰기
1. 근대 문학과 '조선'이라는 층위
2. 뒤바뀌는 안과 밖-내지(內地)와 외지(外地)
3. 문명과 문학, 근대 초기 '안'으로의 여정과 글쓰기의 특징
4. 망명지의 논리와 서사의 방향
간접적 근대체험과 서사의 화법
1. 『매일신보』의 단편
2. 1910년대 실력양성론과 '돈'의 논리
3. 간접적 근대경험과 '돈'의 서사화 방식
4. 『매일신보』 단편의 근대성
근대적 욕망의 추구와 서사화 방식
1. 고학생이라는 모티프
2. 부르주아적 소유 관념과 근대의 꿈
3. 근대 담론의 확산과 서사적 전략
4. 고학생의 근대적 욕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