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고려 도읍과 동아시아 도읍의 비교연구

저자
김창현
발행사항
서울 : 새문사, 2017
형태사항
446 p. : 삽화, 지도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418-424)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G10147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147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고려시대는 한국의 중세에 해당하는데 다른 시대에 비해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와의 교류가 활발한 시기였다. 이미 멸망한 중국의 주, 한, 삼국, 당 문화를 적절히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오대십국, 송, 몽골 등과 활발히 교류하며 그 문화를 도입해 발전시켰다. 고려가 이처럼 동아시아와 교류하며 문화를 꽃피운 핵심공간은 그 수도인 개경이었다. 고려의 도읍, 특히 개경은 당, 송, 몽골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도읍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형성되고 발전했는데, 이 책은 그 양상과 특징을 비교사적으로 접근해 규명하고 있다. 먼저 고려전기 도읍과 동아시아 도읍을 비교해 조명하되 당송 도읍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개한다. 그 다음에는 고려 개경 대내(대궐)의 정전인 회경전과 중국의 명당이 어떠한 특징과 관련성을 지녔는지 비교해 규명하며, 중국 장강 감로사와 고려 예성강의 감로사를 유람의 시각에 유의하여 비교해 살펴본다. 또 몽골 원의 도읍 경영과 고려왕의 동선을 고찰해 원간섭기의 성격을 추출하며, 고려의 수도인 개경과 몽골 원의 수도인 대도를 비교해 조명함으로써 원과 고려의 교류 양상과 특징을 보여준다.
목차
제1장 고려전기 도읍과 동아시아 도읍의 비교 조명 -중국 당송 도읍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머리말 1. 궁궐 구조 2. 대조회 공간의 특이성 3. 도시 구조 4. 도시 구조 속의 의례 공간 맺음말 제2장 고려의 회경전과 중국의 명당 머리말 1. 고려 회경전과 대장경도량 2. 중국 명당의 기원과 발전 3. 고려 회경전과 중국 명당의 특징 맺음말 제3장 장강의 감로사와 예성강의 감로사 머리말 1. 개경 감로사 건립과 윤주 감로사 2. 원 제국의 감로사와 고려 개경 감로사 3. 조선시대 개성 감로사 맺음말 제4장 원의 도읍 경영과 고려왕의 동선 머리말 1. 원과 고려의 도읍 경영 2. 원 황제 순행과 고려왕 친조 3. 원 도성에서의 경조사 참석 4. 원 도성에서의 심왕 도전과 고려왕 억류 5. 도성의 상왕과 국왕과 기황후의 투쟁 맺음말 제5장 고려 개경과 원 대도의 비교 조명 머리말 1. 대도와 개경의 궁궐 양상 2. 대도와 개경의 구조 3. 대도와 개경의 불교 시설 맺음말 .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