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03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0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한국 사회도 위험사회로 진입했다는 인식에 기반을 두고 위험사회의 의미와 그에 부합하는 위험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패러다임 전환에는 저출산, 노동시장 불안정, 교육 기회의 불균등, 통일 충격의 대비, 기후변화 등 사회가 정책적 관심을 쏟아야 할 위험 영역의 확대와 위험의 사전 대응이 일상 속에 프로그램화되는 것도 수반될 것이다. 한편, 위험사회에 대한 새로운 비전 모색과 함께 위험사회의 주요 방편으로서 위험 거버넌스와 관련해 그 주요소들을 경험 연구들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여기에는 위험 거버넌스의 주요 자산이자 관리 대상인 위험 인식의 결정 요인, 위험 소통의 주요 매개체인 뉴스 미디어의 위험 보도 속성, 위험 소통에 내재된 도전적 과제 등이 포함된다.
목차
01 위험사회란
02 위험사회, 위험관리, 위험인식
03 주요 위험인식 연구 동향
04 감정 촉발 요인
05 뉴스 미디어와 위험인식
06 뉴스 미디어 위험 보도 속성 I: 신종 출몰형 위험 극대화
07 뉴스 미디어 위험 보도 속성 II: 부정편향성
08 뉴스 위험 보도와 프레이밍
09 위험 소통의 도전적 과제
10 위험 거버넌스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