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118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118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영미드라마로 살펴본 신체장애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
지난 20여 년간 영미권에서는 신체장애를 새로이 규정하려는 연구가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와 사회적 소수자 연구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었다. 이 책은 ‘신체장애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과연 영미드라마에서 신체장애를 어떻게 다루며, 장애연극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장애인 정체성, 장애문화, 장애운동, 규범과 비정상, 죽을 권리와 안락사, 우생학의 논리, 질병과 윤리 등 신체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논제와 주요 개념을 자세히 소개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를 드라마 작품의 분석에 적용한다. 이 책에서 논의되는 작품은 조지 버나드 쇼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영국의 신여성극에서부터 20세기 영미연극, 그리고 20세기 후반의 장애인 극작가들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이 책은 특히 장애연극만의 독창적인 연극 기법과 특유의 정치적 전략이 기존의 연극에 어떻게 도전을 제기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연극연구의 지평을 넓힐 뿐 아니라, 신체장애 담론과 장애연극 간의 상보적인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오늘날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대두한 장애연극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지난 20여 년간 영미권에서는 신체장애를 새로이 규정하려는 연구가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와 사회적 소수자 연구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었다. 이 책은 ‘신체장애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과연 영미드라마에서 신체장애를 어떻게 다루며, 장애연극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장애인 정체성, 장애문화, 장애운동, 규범과 비정상, 죽을 권리와 안락사, 우생학의 논리, 질병과 윤리 등 신체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논제와 주요 개념을 자세히 소개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를 드라마 작품의 분석에 적용한다. 이 책에서 논의되는 작품은 조지 버나드 쇼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영국의 신여성극에서부터 20세기 영미연극, 그리고 20세기 후반의 장애인 극작가들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이 책은 특히 장애연극만의 독창적인 연극 기법과 특유의 정치적 전략이 기존의 연극에 어떻게 도전을 제기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연극연구의 지평을 넓힐 뿐 아니라, 신체장애 담론과 장애연극 간의 상보적인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오늘날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대두한 장애연극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신체장애와 장애연구
제2장 장애연극의 어제와 오늘
제3장 장애연극 드라마투르기
제4장 청각장애와 신체장애
제5장 장애인 정체성, 장애 정치학
제6장 우생학 이데올로기와 신체장애
제7장 신체장애와 윤리: 안락사, 죽을 권리, 돌봄의 윤리
제8장 정상과 비정상: 규범과 기형의 담론적 생산
제9장 질병 다시 읽기
제10장 장애연극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