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es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유가사지론』의 인도·티벳·동아시아 전파
- 저자
- Kragh, Ulrich Timme | Schmithausen, Lambert | Rospatt, Alexander Von | 박창환 | 차상엽, | 안성두 | 김성철, | Kuijp, Leonard W. J. van der | 최진경 | 방정란 | 함형석 | 이상민 | 최성호 | 손영산 | 임주영
- 단체저자
- 금강대학교
- 발행사항
- 서울 : 씨아이알, 2016
- 형태사항
- xiii, 460 p. ; 24 cm
- 총서사항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금강학술총서 ; 28
- 원표제
-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es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105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10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유가사지론』의 전 아시아적 수용사에 대한 결정판
본 서는 2013년 하버드 대학 출판사에서 동양학 총서 시리즈 75권으로 출판한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의 한국어 편역본이다.
본 편역본의 원서는 2008년에 열린 ‘유가사지론과 유가행파’라는 주제의 국제학술대회에 발표된 발표문과 그 후 기고받은 원고를 더해 총 34편의 논문으로 구성된 책인데,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는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외국학자의 논문 4편과 국내학자의 논문 4편을 선별하여 편역하였다.
이 책은 시대적으로는 『유가사지론』에 대한 고전적 수용 양상부터 최신 연구 성과에 이르기까지, 지역적으로는 인도에서 티벳,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방대한 시간과 공간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싣고 있는 『유가사지론』 연구의 결정판이다.
이 책을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와 하버드 대학이 공동으로 출판한 것은 한국 불교학계뿐 아니라 한국 인문학계의 큰 사건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의 불교학계가 지역성과 폐쇄성에서 벗어나 세계의 불교학계와 학문적으로 교류하고 보조를 맞추는 데까지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독자들이 이 책에 담긴 유례없이 뛰어난 유가행 관련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접함으로써, 저자들의 풍부한 지식과 통찰력을 통해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본 서는 2013년 하버드 대학 출판사에서 동양학 총서 시리즈 75권으로 출판한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의 한국어 편역본이다.
본 편역본의 원서는 2008년에 열린 ‘유가사지론과 유가행파’라는 주제의 국제학술대회에 발표된 발표문과 그 후 기고받은 원고를 더해 총 34편의 논문으로 구성된 책인데,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는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외국학자의 논문 4편과 국내학자의 논문 4편을 선별하여 편역하였다.
이 책은 시대적으로는 『유가사지론』에 대한 고전적 수용 양상부터 최신 연구 성과에 이르기까지, 지역적으로는 인도에서 티벳,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방대한 시간과 공간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싣고 있는 『유가사지론』 연구의 결정판이다.
이 책을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와 하버드 대학이 공동으로 출판한 것은 한국 불교학계뿐 아니라 한국 인문학계의 큰 사건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의 불교학계가 지역성과 폐쇄성에서 벗어나 세계의 불교학계와 학문적으로 교류하고 보조를 맞추는 데까지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독자들이 이 책에 담긴 유례없이 뛰어난 유가행 관련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접함으로써, 저자들의 풍부한 지식과 통찰력을 통해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목차
I. 『유가사지론』의 배경과 상황
ㆍ선(ku?la)과 불선(aku?la): 불교 정신과 윤리에 관련한 한 쌍의 기초 용어의 고유 의미와 초기 유가행파에 이르는 발전에 대한 재검토
II. 『유가사지론』 본지분
ㆍ<수소성지>와 그 수행의 서술 방식에 대하여
Ⅲ. 인도에서 유가행파의 수용
ㆍ『구사론』 3.28ab에 등장하는 궤범사(?c?rya) 혹은 유가사지론사들은 어떤 위상을 지니는가?
Ⅳ. 동아시아에서 유가행파의 수용
ㆍ동아시아와 중앙 아시아 불교 속『유가사지론』의 명상 이론: ‘아홉 단계 마음의 머묾’(九種心住)
ㆍ『유가사지론』의 견도 이론과 그에 대한 중국적 해석
ㆍ한국 유식학 연구사
V. 티벳에서 유가행파의 수용
ㆍ‘유심무서’(唯心無書) 그리고 ‘유서무심’(唯書無心): 닥포의 초기 카귀 문헌에서 유가행파 흔적 찾기
ㆍ『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즈냐나미트라의 주석에 관한 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