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기업과 여성주의 대안노동
Feminism and work at social enterprise
- 저자
- 김유미
- 발행사항
- 서울 : 푸른사상, 2011
- 형태사항
- 228 p. ; 23 cm
- 총서사항
- 푸른사상 여성학 총서 ; 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13-223)과 색인수록
- 주제명
- 여성 노동[女性勞動]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286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28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저자는 “사회적기업이 여성들에게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가?”라는 물음을 갖고 현장 참여관찰을 시도하였다. 현재의 ‘사회적기업’이라는 배가 과연 어떠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그것이 참여하는 노동자들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일자리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참여한 당사자들의 목소리와 노동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여기서는 보다 명확한 조건들을 찾기 위해 두 기관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같은 ‘사회적기업’이라 할지라도 추구하는 핵심 가치, 교육의 목적과 내용, 조직의 운영방식이 무엇이냐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도출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추천의 말
이 책은 ‘사회적기업’이 어떤 가치를 중시할 때 ‘대안적 일자리’가 될 수 있는가, 사회적기업의 교육 내용과 조직의 운영 방식에 따라 어떠한 결과적 차이가 도출되고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읽을 필요가 있다. 이 책에 나온 핵심 가치, 교육 내용, 그리고 운영 방식을 수용하여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간다면 참여자들에게 대안적 일자리가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 역시 증가하고 기관이 원하는 결과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굳이 사회적기업에만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어떤 식의 일자리 창출, 대안노동의 모델을 어떻게 구성해 나가야 할지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적인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기업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는 다양한 잠재적 조직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할 과제를 안고 있다.
목차
차례
■ 머리말
1부
제1장 사회적기업, 여성에게 기회인가?
제2장 사회적기업 들여다보기
1. 사회적일자리와 ‘여성’
2.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디자인
3. 사회적기업 논의 방향
제3장 대안적 일자리를 찾아서
2부
제4장 안에서 본 사회적기업
1. 〈소망 도시락〉: 자립지향형 사회적기업
1) 〈소망 도시락〉 사례의 특징
(1) 조직과 구성원의 성격
(2) 근로 조건
(3) 노동 과정 및 노동 강도
2) 재정 자립을 위한 이윤추구 강조
3) 주입식, 형식적인 교육 내용
4) ‘집단’ 위주의 조직 운영
5) 소통의 단절
6) 파편화되는 노동자
2. 〈한마음 가사〉: 공동체지향형 사회적기업
1) 〈한마음 가사〉 사례의 특징
(1) 조직과 구성원의 성격
(2) 근로 조건
(3) 노동 과정 및 노동 강도
2) 여성주의에 기반한 공동체 가치 추구
3) 지속적, 필요에 의한 교육 내용
(1) 신입직무교육
(2)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4) 노동자 위주의 조직 운영
5) 원활한 의사소통
6) 모임의 활성화
7) ‘노동자-조직’ 간의 이해관계 일치
제5장 노동자 인식과 결과적 차이
3부
제6장 사회적기업이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1. ‘나-조직’이 함께 가는 목표
2. 모임을 통한 소속감/경험 공유
3. 대안적 가치, 나눔과 순환 활동
4. ‘여성노동의 재평가’에서 출발
5. 목표의식, 긍지를 심어주는 교육
6. ‘신뢰’와 ‘인격’과 ‘배려’
7. 대화와 소통으로 고충 처리
8. 노동자가 참여하는 조직 운영
9. 수평관계와 지도력의 재생산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