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노자 생명사상의 현대적 담론

저자
김경수
발행사항
서울 : 문사철, 2010
형태사항
411p. ;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 있음(p.405 ~ 41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22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2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도·무·무위·자연·자연본성·자생(自生) 등은 노자의 사상을 구성하는 중심 개념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들은 모두 노자의 생명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노자는 세계를 살아있는 거대한 생명체로 보았으며, 생명이란 관점에 의거해 자신의 사상을 일관되게 전개하였다. 아울러 생명관에 입각해 존재보다 생성을 강조하였는데, 무와 부정은 바로 이러한 생성의 논리에 입각해 나온 것이다.
노자 사상은 궁극적으로 ‘생명관’과 ‘생성론’이라는 두 가지 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노자 연구에서는 생명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빠져있으며, 존재론적 시각에 입각해 노자의 사상을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노자 사상의 핵심을 간과하거나 잘못 이해한 부분이 적지 않았다. 필자는 '노자 생명사상의 현대적 담론'에서 노자의 생명관과 생성론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서양에서는 세계를 거대한 물체로 보았으며, 생명에 대한 담론이 거의 빠져있다. 설령 논의되었다 하더라도 노자의 생명관과는 현저한 차이점이 있다. 또한 서양 사상은 기본적으로 존재론에 기초하고 있다.
필자는 노자의 생성관에 의거해 서양의 존재론을 비교·고찰하였다. 서양에서는 대부분 존재론적 시각에 의거해 존재를 논의하였으며, 생성론적 시각에 의거한 존재론의 비판이 거의 시도된 적이 없었다. 그런데 노자의 생성관에 의거해 서양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경우 서양의 오랜 신화와 편견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책에서는 노자의 생성관을 통해 서양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서양 존재론의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외에도 본 저서에서는 ‘도’ ‘무’ ‘무위’ ‘자연’ ‘우愚’ 등과 같은 중요 개념들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더욱 심화시켜 고찰함과 동시에 이 개념들의 의미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였다. 또한 노자 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연원’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으로 고찰함으로 해서 노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노자사상의 배경
지역적 배경
적극적 변화관과 병가의 영향

제2장 도와 혼돈
‘도’ 개념에 대한 기존 견해의 검토
혼돈으로서의 도

제3장 무와 부정
무에 대한 기존 견해의 검토
무의 의미
부정과 역설
무와 부정의 현대적 의미

제4장 생명과 자연
대생명으로서의 도
도와 자연
생명과 본능
노자의 생명관과 서양의 생명관의 차이점

제5장 도의 운동과 유기체적 관계
도와 만물의 변화
도의 운동전개
도의 복귀
도와 만물의 유기적 관계


제6장 심과 인식
우(愚)와 무지(無知)의 의미
심의 경계와 대소관
진리의 상대성
언어와 개념

제7장 정치사상
무위의 의미
무위정치
소국과민(小國寡民)과 왕의 역할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