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
다문화 사회와 철학: 한국사회의 다문화시대를 위한 철학적 성찰
- 발행사항
- 서울 : 자유문고, 2017
- 형태사항
- 260 p. ; 23 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G10124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124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다문화사회에 들어선 한국 사회가 ‘함께 행복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당연히 법률, 사회의식, 문화, 교육 등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이 책은 다문화사회와 관련된 서구 사회의 대표적 이론들을 소개하고, 그 사상적, 철학적 맥락을 살펴보고 있으며, 나아가 다문화 이론의 한국적 적용을 위해 서양뿐 아니라 동양철학적 관점을 함께 아울러서 접근하였다.
1.
2016년 통계를 보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숫자는 17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충청북도 인구보다 많은 숫자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도 1,7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한국 사회 어디서나 쉽게 외국인과 마주치고, 그들의 언어, 문화와 만나게 된 것이다. 바야흐로 한국 사회도 다문화사회, 다문화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한국 사회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민족적 순결성, 즉 단일민족이니 백의민족이니 하면서 다른 민족에게 배타성을 보여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불과 십 수 년 사이에 한국 사회는 인종적 혹은 민족적 구성에서 가히 상전벽해의 변화를 겪었다. 물론 그 배경에는 세계화, 국제화라는 자본주의 체제의 거대한 변화와 흐름이 자리하고 있지만,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바는 아니다.
이제 한국 사회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다양한 민족 혹은 인종이 함께 어울려 살아야 하는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급격한 변화는 당연하게도 많은 문제들을 노정시켰다. 한국 사회는 그들을 공동체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맞아들일 준비가 안 되어 있었던 것이다.
물론 그동안 통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있어 왔지만, 보다 적극적이고 과학적으로 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즉흥적, 표피적, 일시적 대책이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철학적 성찰이 필요한 이유이다. 다행이 먼저 다문화 사회를 경험한 서구에서 그에 대한 사상적, 철학적, 이론적 논의들이 성숙되어 있다. 이 책은 그에 대한 소개임과 동시에, 한국 사회에 대한 적용의 문제를 함께 다루고 있다.
2.
전체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에서는 다문화사회로 바뀐 한국의 현실을 진단하고, 다문화적 삶과 관련된 철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차이를 개괄하고,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해 동서철학이 다문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하였다.
2장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에서는 상호문화주의와 그 철학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또한 한국처럼 반이민국가의 성격이 강하였던 독일에서의 경우를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철학적 기반이 무엇인지, 철학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서유럽 이론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에서는 서양의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한국에 도입할 때 이론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백인중심주의나 오리엔탈리즘에 대해 살펴보고, 그런 왜곡된 서양의 틀을 극복하는 지평을 지닌 헤겔의 철학 체계와 역사철학을 살펴보았다.
4장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에서는 한국인의 삶에 녹아 있는 불교철학적 발상을 이해하고, 한국적 삶에 걸맞은 다문화 이론의 창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실현하는 데 불교가 어떤 철학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1.
2016년 통계를 보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숫자는 17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충청북도 인구보다 많은 숫자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도 1,7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한국 사회 어디서나 쉽게 외국인과 마주치고, 그들의 언어, 문화와 만나게 된 것이다. 바야흐로 한국 사회도 다문화사회, 다문화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한국 사회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민족적 순결성, 즉 단일민족이니 백의민족이니 하면서 다른 민족에게 배타성을 보여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불과 십 수 년 사이에 한국 사회는 인종적 혹은 민족적 구성에서 가히 상전벽해의 변화를 겪었다. 물론 그 배경에는 세계화, 국제화라는 자본주의 체제의 거대한 변화와 흐름이 자리하고 있지만,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바는 아니다.
이제 한국 사회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다양한 민족 혹은 인종이 함께 어울려 살아야 하는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급격한 변화는 당연하게도 많은 문제들을 노정시켰다. 한국 사회는 그들을 공동체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맞아들일 준비가 안 되어 있었던 것이다.
물론 그동안 통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있어 왔지만, 보다 적극적이고 과학적으로 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즉흥적, 표피적, 일시적 대책이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철학적 성찰이 필요한 이유이다. 다행이 먼저 다문화 사회를 경험한 서구에서 그에 대한 사상적, 철학적, 이론적 논의들이 성숙되어 있다. 이 책은 그에 대한 소개임과 동시에, 한국 사회에 대한 적용의 문제를 함께 다루고 있다.
2.
전체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에서는 다문화사회로 바뀐 한국의 현실을 진단하고, 다문화적 삶과 관련된 철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차이를 개괄하고,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해 동서철학이 다문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하였다.
2장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에서는 상호문화주의와 그 철학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또한 한국처럼 반이민국가의 성격이 강하였던 독일에서의 경우를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철학적 기반이 무엇인지, 철학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서유럽 이론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에서는 서양의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한국에 도입할 때 이론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백인중심주의나 오리엔탈리즘에 대해 살펴보고, 그런 왜곡된 서양의 틀을 극복하는 지평을 지닌 헤겔의 철학 체계와 역사철학을 살펴보았다.
4장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에서는 한국인의 삶에 녹아 있는 불교철학적 발상을 이해하고, 한국적 삶에 걸맞은 다문화 이론의 창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실현하는 데 불교가 어떤 철학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목차
머리말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
1. 한국은 다문화사회인가?
2. 왜 다문화주의 철학이 필요한가?
3. 다문화주의와 유사한 분야의 개념들
4. 다문화적 삶을 위한 이론적 갈래들-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5. 다문화주의 이론의 분류-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6. 다문화주의 착상을 지닌 근대 독일 철학-헤겔과 낭만주의
7. 동양은 어떠한가?-동아시아의 변화
8. 당면한 한국 현실을 정리하며-시급히 해결해야 할 소수 집단 문제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
2. 문제의 배경: 세계화 및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타자와의 공존
3. 상호문화성: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기본관점
4. 상호문화철학: 상호문화성에 입각한 철학의 재구성
5.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6. 결론에 대신하여: 타자와의 공생을 위한 실천모델-듀이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
1. 다문화적 삶과 헤겔의 연관성
2. 헤겔 철학의 개인사적 배경
3. 헤겔의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
4. 헤겔 역사철학에서 동양관
5. 동서양 문화의 등가치성-문화 상대성과 절대성의 공존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
1. 다문화주의의 소개
2. 불교사상의 전개
3. 불교철학과 다문화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