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LNG 연료추친전과 LNG 벙커링

LNG 연료추진선과 LNG 벙커링

LNG fueled ship and it's LNG bunkering

발행사항
서울 : GS인터비전 ; [목포] : 목포해양대학교사업단, 2018
형태사항
277 p. (일부접지) :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 25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269-270)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06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06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머리말

21세기에 들어와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환경 변화를 막고자 선박의 배출가스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해운과 조선산업에서 새로운 변화가 일고 있다.
바로 LNG연료추진선의 등장이다. LNG추진선은 이미 북유럽에서 다수의 선박이 운항되고 있어 새롭게 개발된 선박은 아니다.
그러나 북유럽 일부지역이 아닌 전 세계를 항해하는 대형 장거리 화물선이나 여객선의 추진 방식이 LNG연료로 바뀐다는 것은 우리 해운 조선업계의 획기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관련 업계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는 이들 선박에 연료를 실어줄 LNG벙커링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된다는 점이다. 세계적으로 LNG벙커링은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새로운 벙커링 강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다. 선박의 설계, LNG벙커링 기자재 및 운항 전문가가 필요하지만 국내 관련 전문인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선원에 대한 교육 수요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LNG추진선박 운용 및 LNG벙커링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도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은 국내 해양관련 대학의 학생과 앞으로 LNG연료추진선을 운용할 해운사 관계자 및 국내 기자재 업체 관계자 들을 위한 LNG추진선의 기초개념과 LNG벙커링에 초점을 맞추었다. 부족한 부분이 많으나 이 책이 관련업계 종사자들이 관련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디딤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 책의 집필에 함께해 주신 한급선급의 김종민 박사님, 국립목포해양대학 한민수 교수님 그리고 편집을 맡아 주신 GS인터비전 출판사의 송기수 대표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8년 1월
한진중공업 이 차 수 고문

LNG와의 첫 만남은 2009년 늦여름으로, LNG연료를 사용하는 엔진 인증과 관련된 아주 고된 시험이었다. 이 시험은 그해를 지나 다음해 봄까지 이어지고, 선급 입사를 통해 한층 더 강화된 LNG와의 인연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2020 Global Sulfur Cap'으로 인하여 LNG연료추진선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기술들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국내의 낙후된 LNG기반기술의 발전은 더딘 수준이라 관련 투자와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LNG연료추진선과 LNG벙커링은 침체에 빠진 우리 조선산업과 관련 기자재 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 한편 경쟁관계에 있는 해외 국가들은 기술적·제도적으로 매우 앞서 나아가고 있어, 관련업계와 유관기관의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현실에 한명의 선급인으로써 조바심을 가지고 있던 즈음 「LNG와 LNG벙커링」 저작에 참여하는 기회가 주어져 매우 기쁘고 행복했다. '一經之訓'의 마음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자료 수집과 집필에 몰두하신 이차수고문님과 한민수교수님의 성과물에 숟가락만 얹는 거 같고, 오히려 누가 될 거 같아 걱정이 앞서지만 이 책을 통해 LNG벙커링 산업에 관심을 갖는 인력들이 양성되길 희망하며, 제가 알고 있는 미약한 지식들이 국내 관련 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되길 기원한다.
항상 내 곁에서 지켜봐주는 사랑하는 아내와 연두에게 감사드리며, 이 책이 나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국립목포해양대학교LINC+사업단 관계자들과 편집을 맡아 주신 GS인터비전 출판사의 송기수대표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8년 1월
한국선급 김 종 민 박사

석유를 포함한 전 세계 에너지 산업은 계속 변화해가고 있으며, 선박과 해운 물류 산업도 환경친화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을 찾아 움직이고 있다. LNG연료추진선은 국제해사기구 IMO의 대기환경 규제 강화와 미국 및 EU의 ECA, SECA와 같은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친환경선박 및 해양기자재 산업 수요는 향후 15년간 71.5조원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 해운산업과 조선산업에 미칠 경제적 효과는 153조로 전망 할 정도로 그 기대감이 높다. 2017년 1월 이후 정부에서는 대기환경규제를 충족하기 위한 방법으로 LNG연료추진선 도입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방향으로 인센티브 확대, 인프라 구축, 법·제도 정비, 인증·기술개발 기반 구축 및 시범사업 추진을 단계적으로 진행해 나가고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국내 조선소에서는 해외로 LNG연료추진선의 건조와 인도를 마쳤고, 국내 연안용 LNG연료추진선박이 오늘도 화물을 선적하고 동해안을 항해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넘어야 할 산도 많다. 그 대표적인 것이 벙커스테이션 확보라고 할 것이다. EU는 현재 13개 항만에서 LNG벙커링이 가능하지만 향후 2025년 까지 139개 항만으로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며, 싱가폴과 일본이 아시아의 LNG허브항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LNG터미널과 탱크로리를 이용한 LNG수급이 전부이지만 더 늦기 전에 LNG벙커링 산업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
기존 선박과 LNG연료추진선의 가장 큰 차이는 LNG연료탱크의 선내 배치, LNG연료공급시스템(FSS), 이중연료엔진의 구성 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박 구성의 차이로 인해 이 책에서 소개된 LNG벙커링 작업이 선박과 항만의 안전을 위해 새롭게 배워야할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LNG의 물성부터 LNG벙커링 방법과 절차 그리고 위험도 평가까지 LNG연료추진선박의 건조와 운용까지 모든 부분을 담으려 노력하였으며, 목포해양대학교 LINC+사업단 LNG트랙 참여 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LNG연료추진선박 관련 산업분야 종사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좋은 안전 지침서가 될 수 있길 기원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체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고민하시고 축적된 노하우를 그대로 담아내 주신 이차수 고문님과 한국선급 김종민 박사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아울러 출판에 도움을 주신 GS인터비젼 출판사의 송기수 대표님과 교재저술을 지원해주신 목포해양대학교 LINC+ 사업단 남택근 단장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8년 1월
목포해양대학 한 민 수 교수
목차
머리말 제1장 1.1 세계 LNG시장 동향(Global Trends) 1.2 세일가스의 혁명(Shale Gas Revolution) 1.3 LNG수요 예측(LNG Demand) 1.4 LNG가격 예측(LNG Price Development) 1.5 규정을 만족하기 위한 선주의 전략 제2장 2.1 LNG연료 공급체계 개요 2.2 중간터미널(Intermediate Terminal) 2.3 LNG벙커링선(LNG Bunker Vessel) 2.4 중소형 LNG운송선(LNG Feeder Vessel) 2.5 LNG탱크로리 2.6 LNG Pipeline 제3장 3.1 MARPOL 3.2 SOLAS 3.3 IGC Code 3.4 IGF Code 3.5 Class Rules 3.6 EMSA 3.7 'Shore-to-Ship/Ship-to-Ship' Transfer Standard 3.8 ISO 3.9 WPCI 3.1 SIGTTO 3.11 Bunkering Procedure 3.12 ISO 20519:2017 3.13 LNG BUNKER OPERATION REGULATIONS 3.14 선원의 교육 및 훈련 제4장 4.1 LNG의 일반적 특성 4.2 LNG의 특성 4.3 가연성(Flammability) 4.4 LNG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ies) 4.5 LNG산업에 사용되는 소재 제5장 5.1 LNG연료추진선의 개발 배경 5.2 국내외 LNG연료추진선 현황 5.3 LNG연료추진선의 개념 설계(Concept Design of LNG Fueled Vessel) 5.4 LNG연료의 선박 내 저장 5.5 IGF Code의 설계관련 주요 요건 제6장 6.1 LNG연료탱크의 type 6.2 LNG연료탱크의 주요 요건 6.3 가스연료탱크의 2차방벽 요건 6.4 LNG연료추진선박의 종류에 따른 연료탱크의 특징 제7장 7.1 LNG연료기관의 출현 배경 및 환경부하 저감 7.2 LNG연료기관의 종류와 특징 7.3 LNG연료 적용 시 설계상 유의사항 7.4 LNG연료공급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 FGSS) 제8장 8.1 용어의 정의 8.2 가스연료공급시스템의 필요성 8.3 LNG벙커링 방법 8.4 LNG벙커링시스템 요건(LNG Bunkering System Requirement) 8.5 LNG연료추진선의 벙커링작업시 관련사항(Opreation Issue of Receiving Vessel) 8.6 LNG연료 저장을 위한 준비 작업 8.7 동시 작업(Simultane Cargo Operation, SIMOPS) 8.8 LNG연료추진선의 벙커링 장비(Special Equipment for Receiving Ship) 제9장 9.1 LNG벙커링 절차와 가이드라인의 구조 9.2 LNG벙커링운영계획서(LNG Bunker Management Plan, LNGBMP) 9.3 LNG벙커링 시스템의 기술적 요건 9.4 LNG벙커링 시스템의 기능적 요건(Functional Requirement) 9.5 벙커링 단계(Bunkering Phase) 9.6 벙커링 완성(Bunkering Completion Phase, Post Bunkering Phase) 제10장 10.1 LNG벙커링 작업 시 위험도 평가 10.2 안전평가 방법 제11장 11.1 연료가격 11.2 Custody Transfer 11.3 연료의 사양과 품질(Fuel Specifications and Quality) 부록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