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지능정보사회의 이해

Understanding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발행사항
파주 : 나남출판사, 2021
형태사항
469 p. : 도표, 초상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66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66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지능정보사회
지능정보기술이 개인의 일상과 사회의 각 영역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삶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지금껏 기술의 발전은 사회를 끊임없이 변화시켰고, 그렇게 축적된 일상과 미시 변화는 거대한 문명을 여는 토대로 작용했다. 인공지능(AI)에 기반하여 대용량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축적, 가공, 결합하여 활용되는 기술인 지능정보기술 또한 우리의 삶과 사회에 이미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 가져올 변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섞인 예측이 쏟아지고 있다.
《지능정보사회의 이해》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지능정보사회 전반을 폭넓게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지능정보기술과 조응하는 개인의 일상과 사회 변화를 정보사회에 관한 이론을 비롯해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 지능정보사회의 주요 개념뿐만 아니라 인간관계 및 권력관계, 경제활동의 변화까지 19개의 주제 속에서 탐색한다.

지능정보기술이 가져온 변화의 진정한 의미를 탐색하다

《지능정보사회의 이해》는 한국정보사회학회가 1998년 출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정보사회를 다룬 본격적인 연구서로 학자들과 학생 및 일반 독자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정보사회의 이해》이후 20여 년 만에 새롭게 펴내는 책이다.
이 책의 출간이 반가운 이유는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데 비해 우리가 그 실상에 다가가기 어려웠다는 점 때문이다. 머리말에서 저자들이 전작에 대한 개정에 엄두를 내기 쉽지 않았다고 밝힐 만큼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나타난 변화는 크고 깊었다. 그러나 그 양상과 진정한 의미를 대중들은 쉽게 알 수 없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사회학을 중심으로 철학, 법학, 미디어콘텐츠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등 정보사회 관련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지능정보사회가 가져온 변화의 진정한 의미를 탐색한다는 것이다. 특히 저자들은 지능정보기술이 새롭게 창출한 가치와 기회 등 긍정적인 면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있는 문제점까지 세밀하게 짚으면서, 지능정보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간과해선 안 될 시사점을 던진다. 기술과 사회가 서로 분리,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과 조건에 따라 결합한다고 간주하는 시각에서 접근했다는 점 또한 변화의 양상을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보사회 이론부터 사례까지 체계적 조명

이 책은 지능정보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다뤄야 할 19개 주제를 선별하여 설명하는 동시에 이를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논의의 체계화를 시도했다. 1부에서는 이론적 측면에서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정보사회에 관한 고전 이론부터 최신 이론을 폭넓게 다루고, 정보사회 이전의 소통에서 중요한 매개가 되었던 말과 문자를 정보사회의 숫자화된 코드와 비교하며 분석한다. 2부는 지능정보사회의 개인과 일상에 대한 논의를 사회적 관계 중심으로 구성했다.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자아와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비롯해 사회적 관계 양상과 함께 사회를 규율하는 법체계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3부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권력과 그 근거에 대해 논의한다. 지식과 정보를 매개로 개인들이 연결되는 양상이 지배적인 지능정보사회에서 주요 이슈로 떠오른 집단지성, 포털,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등의 문제를 다룬다. 4부는 지능정보사회의 새로운 가치 창출과 거래에 대한 내용으로서 온라인 거래, 디지털 플랫폼 등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저작권 등 윤리문제까지 다양한 요소를 분석한다. 5부에서는 알고리즘,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 기술과 사회적 환경에 대해 논의한다.
친절한 용어 설명과 다양한 사례 분석 등을 활용해 이해를 돕고, 장 말미에는 생각해 볼 주제와 읽을거리들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능정보사회에 대해 관심 있는 학생과 일반 독자까지 많은 지식과 더불어 지능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과 예리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소개

배 영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백경민 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
임동균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김효은 한국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원
오주현 연세대 바른ICT연구소 연구교수
황창근 홍익대 법과대학 교수
김선희 (전)이화여대 철학과 초빙교수
최샛별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이명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정일권 광운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유경한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박찬웅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정윤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류영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수석연구원
최순욱 너비의깊이(주) 창업자
이상엽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김도훈 경희대 경영대학 교수
윤호영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조정문 (전)한국정보화진흥원 수석연구원
목차
머리말_배영 5 1부 정보사회의 이해: 이론 1장 고전 정보사회 이론 / 백경민 1.새로운 사회의 출현: 정보사회 26 2. 대니얼 벨 27 3. 마누엘 카스텔 34 4. 전망과 결론 41 2장 최신 정보사회 이론 / 임동균 1. 들어가며 46 2. 정보사회에 대한 비판적ㆍ정치경제학적 해석 47 3. 정보사회의 격차와 불평등 53 4. 사회적 상호작용의 새로운 양상 55 5. 긍정적 가능성 대한 조명 59 6. 나가며 62 3장 경계와 방향: 감각의 입ㆍ출력 / 김효은 1.소통 코드 고찰 70 2.플랫폼(소통 도구) 분류 기준: 감각의 입ㆍ출력 75 3.나가며 83 2부 정보사회, 인간 그리고 관계 4장 정보사회에서 인간의 연결과 고립 / 오주현 1.스마트 혁명: 이동성 확장과 연결성의 진화 90 2.‘연결’됨을 추구하는 관계적 인간 92 3.소셜 플랫폼과 사회자본 95 4. 정보사회에서 고립의 다면성 99 5.디지털 소외: 비자발적 고립 100 6.디지털 과의존: 자발적 고립 102 7.지능정보사회에서 인간의 연결과 고립 104 5장 정보사회의 법과 새로운 갈등 / 황창근 1. 정보의 법적 개념 110 2.정보사회에서 정보기본권의 보장 112 3.정보사회를 지탱하는 주요 법률 114 4. 정보사회의 새로운 갈등들 121 6장 소셜 미디어에서의 자기전시주의 / 최항섭 1.소셜 미디어의 시대: 신속성과 확장성 130 2.소셜 미디어의 기능: 사회자본과 비밀 공유 131 3.타인에게 보여지기 위해 쓰는 일기 132 4.소셜 미디어 자기전시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논쟁 133 5. 현실 공간에서의 고독과 소셜 미디어에서의 자기전시 136 6. 소셜 미디어의 자기전시와 사회적 지지 139 7. 소셜 미디어의 자기전시와 고프먼의 연극이론 141 7장 익명성과 다중정체성 / 김선희 1.디지털 자아, 혹은 사이버 자아의 존재론 146 2.디지털 자아의 익명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151 3.왜 사이버 공간에서 다중정체성이 활발히 이루어지는가? 154 4. 사이버 다중자아의 특성 159 5. 상담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본 사이버 다중정체성 이해 161 8장 소셜 미디어의 일상화와 신 온라인 문화 / 최샛별 1.문화 영역의 확장과 세대별 온라인 문화 171 2.DIY 셀러브리티의 등장과 매력자본의 부상 176 3.이미지 전시를 통한 구별짓기와 취향공동체 형성 179 3부 정보사회의 권력 9장 집단지성과 전문가 권위의 변화 / 이명진 1.지식 창출 방식의 변화: 집단지성의 출현 193 2.정보사회와 집단지성의 기능 195 3.집단지성과 전문가 권위 197 4.집단지성의 두 얼굴 199 5. 집단지성의 사례 201 6. 집단지성의 전망 206 10장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 정일권 1.정보와 언론 기관 214 2.루머와 가짜뉴스 215 3.가짜뉴스 걸러내기 220 4.팩트체크 저널리즘의 가능성과 한계 225 5.나가며 228 11장 포털과 권력 / 유경한 1.포털 사이트, 또는 검색엔진 236 2.포털 사이트는 왜 문제일까? 238 3.포털과 권력(1): 포털 서비스 240 4.포털과 권력(2): 포털 저널리즘 246 5.포털의 권력화(3): 포털 공론장 250 6. 종합 및 요약 253 4부 정보사회와 자본 12장 정보사회의 소비와 사회적 배태성 / 박찬웅 1.정보사회의 소비와 온라인 시장 262 2.온라인 시장의 특성 263 3.온라인 시장의 불확실성 265 4.시장과 사회자본 268 5. 온라인 시장과 사회자본 271 6. 온라인 시장의 미래 275 13장 디지털 플랫폼 경제 / 정윤혁 1.플랫폼의 개념 282 2.플랫폼기업의 성장: 전통기업과의 비교 284 3.플랫폼의 특징 288 4.플랫폼의 분류 291 5.멀티 호밍과 탈중개화 위협 294 6. 플랫폼 규제 295 14장 콘텐츠와 이윤, 그리고 저작권 / 류영달 1.정보기술의 발전과 미디어 환경 변화 300 2.지능정보사회의 특징과 과제 303 3.콘텐츠 소비 형태의 변화 305 4.콘텐츠 공급과 이용 행태 310 5.저작권 314 6.디지털 콘텐츠와 거버넌스 317 5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정보사회 15장 가상현실, 컴퓨터로 만들어 낸 실재의 경험 / 최순욱 1.가상현실에 대한 이해 324 2. 가상현실의 활용 사례 337 3.향후 전망: 가상현실이 제기하는 문제들 347 16장 기계학습과 딥러닝 알고리즘의 이해 / 이상엽 1.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356 2.딥러닝 알고리즘 소개 366 3.나가며 377 17장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와 오해 / 김도훈 1.알고리즘의 개념 381 2. 알고리즘의 유형과 성격 386 3. 알고리즘 책임성 397 4. 인공지능시대의 알고리즘에 대한 전망과 이슈 401 18장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빅데이터시대의 이해 / 윤호영 1. 빅데이터시대의 도래: 역사적 흐름, 빅데이터의 정의 및 특성 416 2.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 사회주체들의 빅데이터 활용 420 3. 빅데이터기술: 아키텍처 및 분석 방법의 특징 422 4. 빅데이터 분석 사례 424 5. 빅데이터 분석의 맹점: 오류 가능성 429 6. 빅데이터시대의 어두운 그림자 431 7. 앞으로의 미래: 인간의 창의성, 국제협력, 인공지능 432 19장 인공지능과 윤리 / 조정문 1. 들어가며 439 2. 윤리적 주체로서의 인공지능 논쟁 440 3. 인공지능의 윤리적 판단 기준 논쟁 442 4. 인공지능 생산자 윤리 이슈 448 5. 인공지능 이용자의 윤리 이슈 451 찾아보기 459 저자소개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