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53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5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다각도로 환경문제를 직시하는 방법
1연일 심각해지는 기후재난은 그간 우리가 등한시해 왔던 환경문제를 생존의 문제로 직결하여 바라보도록 만들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환경문제에 대하여,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수준의 담론이 아닌 구체적이고 바로 우리 손에 잡히는 사례를 통해 접근한다. 즉 이 위기를 바로 우리의 일상 생활방식이 총체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파악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각도로 접근할 것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문학과 철학, 정책과 일상생활을 넘나들며 실제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정책부터 우리 사고의 근본적 전환까지 폭 넓게 아우르고 있다. 풍부한 자료를 통해 어려운 내용도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였으며, 독자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는 길을 직접 생각해보고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양서이다.
글쓴이
사지원 史智媛, Sa Ji-won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양해림 梁海林, Yang Hae-rim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이병민 李炳敏, Lee Byung-min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이승은 李丞檼, Lee Seung-eun 대전보건대학교 의료경영과 교수
임낙평 林洛平, Lim Nak-pyong 동아시아 기후네트워크 공동대표
정수정 鄭水晶, Jung Sue-jung 한국환경교육연구소 소장
허순영 許順英, Heo Sun-yeong 창원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박신애 朴信愛, Park Sin-ae 건국대학교 환경보건과학과 교수
이수현 李洙賢, Lee Soo-hyun 생명의숲연구소 부소장
유미연 柳美姩, Yoo Mi-yeon 건국대학교 생태기반사회연구소 연구조교
1연일 심각해지는 기후재난은 그간 우리가 등한시해 왔던 환경문제를 생존의 문제로 직결하여 바라보도록 만들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환경문제에 대하여,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수준의 담론이 아닌 구체적이고 바로 우리 손에 잡히는 사례를 통해 접근한다. 즉 이 위기를 바로 우리의 일상 생활방식이 총체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파악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각도로 접근할 것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문학과 철학, 정책과 일상생활을 넘나들며 실제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정책부터 우리 사고의 근본적 전환까지 폭 넓게 아우르고 있다. 풍부한 자료를 통해 어려운 내용도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였으며, 독자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는 길을 직접 생각해보고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양서이다.
글쓴이
사지원 史智媛, Sa Ji-won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양해림 梁海林, Yang Hae-rim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이병민 李炳敏, Lee Byung-min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이승은 李丞檼, Lee Seung-eun 대전보건대학교 의료경영과 교수
임낙평 林洛平, Lim Nak-pyong 동아시아 기후네트워크 공동대표
정수정 鄭水晶, Jung Sue-jung 한국환경교육연구소 소장
허순영 許順英, Heo Sun-yeong 창원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박신애 朴信愛, Park Sin-ae 건국대학교 환경보건과학과 교수
이수현 李洙賢, Lee Soo-hyun 생명의숲연구소 부소장
유미연 柳美姩, Yoo Mi-yeon 건국대학교 생태기반사회연구소 연구조교
목차
제1부 _ 인문과학
생태사회를 위한 독일작가들의 활동과 생태문학_사지원
생태담론의 철학_양해림
제2부_사회과학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문화 기반 도시 경쟁력 강화_이병민
지속가능한 사회와 사회적 책임_이승은
탈탄소 지속가능한 기후정의의 길_임낙평
환경보전을 위한 지역의 참여_정수정
녹색생활과 통계정보_허순영
제3부_자연과학
원예와 힐링_박신애
도시숲 시민참여와 지속가능한 도시_이수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만들기_유미연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