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빅데이터와 통계로 살펴본) 태양광 시장과 REC 가격 전망

저자
윤인택
발행사항
서울 : 매경출판, 2020
형태사항
241 p : 천연색 그림,도표 ; 23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61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61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태양광 시장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사업 성공의 방향을 제시한다!


신·재생에너지원의 확대는 전 지구적인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매년 겨울철과 봄철에 발생해 우리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고농도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서 필요하다. 이제는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에서 재생에너지원으로의 에너지 전환이 절실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풍력이나 지열 자원이 풍부하지 않다. 조류에너지 자원은 있지만, 생태계와 수산업 보호를 위해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자원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에너지원이 태양광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 제도(RPS)가 시행된 후, 2019년 말까지 약 53,000개소의 태양광 발전소가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다.

2012년 RPS 제도가 시행된 후 태양광 사업은 많은 변화를 거쳤다. 2017년까지 태양광 사업은 퇴직을 앞둔 직장인에게 노후 준비의 대안으로 여겨졌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지난 2년 동안 태양광 관련 주요 키워드는 임야 가중치 0.7 하향 조정, 태양광 발전과 관련된 한전 직원 및 공공기관 사장과 담당자들의 비리, 연이은 ESS 화재사건 등 희망적인 단어보다는 부정적인 단어로 채워졌다. 최근 지자체의 조례 강화, 한전 계통연계 선로의 부족, 지역주민의 민원제기 등으로 인해 신규 태양광 사업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더해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격까지 폭락했고, 이러한 상황 변화는 결국 태양광 시장의 축소로 이어지게 되면서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빅데이터와 통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태양광 사업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향후 REC 가격을 예측해 건전한 태양광 발전 생태계 유지 조건과 태양광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프롤로그 Part 1 동네북 된 태양광 사업 01 태양광 시장 현황 및 전망 02 태양광 발전 관련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03 붕괴 직전의 태양광 생태계 Part 2 RPS 제도 및 REC 가격 동향 01 RPS 제도와 REC 02 재생에너지원별 REC 생산량 03 REC 가격 동향 및 특징 Part 3 향후 REC 가격 예측 01 이론적인 방법에 의한 REC 가격 예측 02 수요·공급 관점에서 REC 가격 예측 03 의무 공급량에 따른 REC 가격 예측 04 REC 가격 예측 종합 Part 4 RPS 제도 개선 방향 01 REC 가격 폭락으로 힘든 삶을 이어가는 A씨 02 REC 가격 폭락으로 불안에 떨고 있는 발전 사업자 수는? 03 REC 가격 폭락 원인 04 RPS 제도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