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

The Sewol ferry disaster: social science perspectives

발행사항
서울 : 오름, 2017
형태사항
288 p. : 삽화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G10132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132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머리말 : “세월호 참사 희생자에 대한 사회과학자들의 작은 추모” (이현정) 제1장 세월호 참사, 시스템 이론으로 본 원인과 대책 (이재열) 1. 세월호와 재난연구의 의미 2. 시스템 이론과 패러다임들 3. 시스템의 출현적 속성으로서의 위험과 분석방법 4. STAMP와 AcciMap으로 본 세월호 참사 5. 해석과 대책 제2장 위험사회의 정보유포매체와 세월호 참사의 국민재난 되기 (홍찬숙) 1. 들어가며 2. 활자매체에서 전자매체로: 산업사회 대 위험사회 3. 정보유포매체와 시민사회의 성격 또는 정치적 주체 4. 대중매체와 세월호 참사의 ‘국민재난’ 되기 5. 나가며 제3장 세월호 참사와 사회적 고통: 표상, 경험, 개입 (이현정) 1. 들어가며: 사회적 고통으로서 세월호 참사 2. 고통에 대한 문화적 표상과 소비 3. 사회적 고통의 서로 다른 경험들 4. 고통에 대한 정치 및 전문가적 개입의 문제 5. 나가며 제4장 사회적 이슈와 정치 갈등: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강원택)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세월호의 정치화 과정 4. 결론 제5장 왜 세월호 참사는 극단적으로 정치화되었는가?: 재난정치의 딜레마 (박종희) 1. 왜 세월호 참사는 극단적으로 정치화되었는가? 2. 재난정치의 딜레마 3. 재난정치의 딜레마는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가? 4. 세월호 참사와 재난정치 5. 나가며 제6장 기억의 영토화: 세월호 기억공간 형성 과정을 사례로 (신혜란) 1. 서론 2. 문헌 연구: 기억의 영토화와 기억공간 3. 연구방법 4. 물질적 변환을 통한 기억의 영토화: 안산 기억교실 5. 직접점유를 통한 기억의 정치적 영토화: 광화문 광장 6. 대안공간으로 옮긴 기억의 재영토화: 제주도 리본 기억공간 7. 결론과 함의 색인 지은이 소개(원고 게재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