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ESG 배려의 정치경제학

발행사항
서울 : 마인드큐브, 2022
형태사항
416 p. : 삽화,도표 ; 23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93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9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말로, 경제성장 과정에서 계층 간 불평등 확대,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ESG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에서 폭발적이다. 이제 기업은 더는 재무적 이익만을 추구해서는 생존을 담보할 수 없고, 투자자는 재무적 성과 외에 자연스럽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는 ESG에 관해 거의 대부분을 다룬 이 책은 “배려의 정치경제학으로 여는 ESG 자본주의가 세상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물음으로 시작하였다.

시중에 ESG란 타이틀을 달고 나온 이런저런 책이 있으나 제대로 정리된 게 없다는 것이 저자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조금 묵직하더라도 ESG에 관해 제대로 다뤄보자는 취지로, ESG연구소 연구위원과 공저로 집필했고 리서치 어시스턴트(RA)로 대학생 5~6명이 실제로 참여했다. 또한 사진이나 그래프를 되도록 많이 넣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410개라는 주석 숫자가 말해주듯, 정확한 자료와 근거를 제시한 이 책은 ESG 개념에서 출발하여 ESG 이슈 및 사례, 관련 법규, 국내외 적용 방법, 향후 대응 방안 등 ESG 전반에 관한 촘촘히 다뤘다.
목차
서문: 21세기 우리의 긴 여로는 밤으로 향하는가, 빛으로 향하는가 1장. ESG는 가장 강력한 시민혁명이자 세계혁명이다 ESG의 원조 존 웨슬리 목사와 ‘3 ALL’ 원칙 ESG란 용어는 어떻게 출현했나 ESG, TBL, 지속가능사회 소비자는 소비만 하지 않는다. 소비자는 ESG사회의 정치적 주체다 K-ESG, 한류 대열에 동참? 2장. 지속 불가능한 그들만의 ‘합리적 생각’과 지평의 비극 사상 최악의 자동차 핀토와 포드사의 '핀토 메모' 탐욕의 뿌리 아직 유효한 맬서스의 덫 시장의 우상 외부효과와 코즈의 정리 네슬레의 아동노동 착취… 직접 하지 않으면 책임이 없는 걸까 돌고래를 지키지 못하는 참치 통조림, 라벨링이 해답일까 세계화와 전부원가회계 전과정평가(LCA)와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반품 사태 민영화와 신자유주의 '지평의 비극'을 넘어서야 한다 3장. ESG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았다 인류세 혹은 ‘호모 사피엔스 KFC 코카콜라’의 닭세 ‘좋은 인류세’라는 허상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묻다 CSR의 발전과정 지속가능발전과 CSR 주주중심주의 vs. 이해관계자중심주의 기업시민 기업의 사회적 성과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책임경영 경제 성과와 환경/사회 성과를 함께 측정하는 TBL 대리인 문제,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사회적 비용의 내부화와 부당한 이익의 외부화 지구 차원의 해법이 필요하다 기업 밖으로, 책임의 주체와 이행범위를 확장한 ISO26000 반부패경영시스템 ISO37001 SDGs의 “Leave No One Behind” 4장. 자본시장의 뉴노멀 ESG투자 ESG투자란 국내외 ESG투자 현황 ESG투자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 국내 연기금 ESG투자 관련 법적 현황 해외 연기금 ESG투자 해외 연기금 ESG투자 법제화 사례 연기금의 ESG 책임투자 법제화의 어려움 자본시장의 ESG투자 활성화와 연기금의 ESG 투자의 필요성 5장. ESG경영의 다양한 현장 경영전략으로서 ESG 환경경영 / 리스크관리와 ESG / 전략적 CSR / 공유가치창출(CSV) CSV와 사회적 가치 측정 / 기업 이미지와 소비자 ESG 리스크와 글로벌 가치 사슬(GVC) 거버넌스 투명한 경영과 건전한 지배구조 / 내부통제 노동이사제 / 소통과 참여의 조직문화 ES경영 - 위기는 기회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 / 탄소감축에서 탄소제로, 탄소제거로 재생에너지 사용 노력 / 녹색투자 / 재활용-포장 “거대기업의 나쁜 점은 모두 가진” 월마트의 물류혁신 인종차별 장벽을 무너뜨리려는 애플 성소수자의 인권회복을 돕는 러쉬 / 인권경영 ISO37001을 도입하는 국내 제약바이오사업 연기금이 ESG투자를 선도해야 한다 6장. ESG보고는 ESG사회의 기반이다 기업 ESG보고의 필요성 국내 기업과 다른 조직의 ESG 보고 현황과 제도 해외의 ESG보고 공공기관과 지자체의 ESG보고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한 ESG보고 발간역량 구축 GRI 스탠더드 기준에 맞춘 지속가능보고서 사례 7장. 사회적 가치를 포함한 대안 GDP GDP는 틀렸다 국민총행복을 측정하는 국가들 사회적 가치를 계량화하는 것은 왜 중요할까 사회적 가치 측정 방법론: SROI 국제사회에서의 사회적 가치 측정 방법론: GPI 민간과 공공영역을 아우르는 사회적 가치 측정 국가적 지표 도입의 선행 과제 개별 지역과 국가의 특성에 맞는 데이터 구축 탄소소득 구상 개인의 탄소저감 활동을 측정하여 소득화하는 방법 재원 조달은 어떻게? 8장. 결어 “Don’t Be Evil” 존 엘킹턴, 르네 파세, 보 셸렌 명품소비보다 가치소비, MZ세대의 미닝아웃 내 몸에 닿는 것들, BTS와 ‘양심적 패션’ “못생긴 당근, 수프에 들어가면 상관없잖아” “Don‘t Be Evil” vs. “Do the Right 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