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繪で見てわかるITインフラの仕組み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IT Infrastructure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 Jpub(제이펍), 2021
형태사항
xviii, 342 p. : 삽화, 도표 ; 23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803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80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IT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IT 인프라 전반에 대한 상식을 그림으로 쉽게 이해한다!


이 책은 'IT 인프라' 전반을 충실히, 그리고 이해하기 쉽게 다루어 많은 독자로부터 호응을 받았던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의 개정판입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클라우드와 가상화 서버/메모리 등 최신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을 보강하였고, 다소 이해하기 어려웠던 문장에 대한 수정과 가필 등 전반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졌습니다.

현대 IT 시스템은 매우 고도화되면서 복잡해졌습니다. 이 때문에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 외에는 기반 기술이나 전체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고성능, 안정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한다면 전체를 파악한 후에 담당 영역을 최적화해야만 합니다.

이 책에는 다양한 환경에서 저자들이 직접 체득한 인프라 기술의 핵심을 포함해 아키텍처나 네트워크, 서버, 프로세스 등과 같은, 이른바 기반 기술을 어떻게 하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저자들의 고민이 잘 녹아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각 부분의 공통된 원리(구조)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새로운 기술이 나와도 곧바로 적응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원리를 설명하는 풍부한 그림은 실무 경험이 적은 독자라도 손쉽게 전체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책의 대상 독자
인프라 담당자는 물론 5년차 정도까지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IT 마케터에게 권합니다.
목차
제1장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1.1 인프라란 무엇일까? 1.2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 1.3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1.4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1.5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제2장 서버를 열어 보자 2.1 물리 서버 2.2 CPU 2.3 메모리 2.4 I/O 장치 2.5 버스 2.6 정리 제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3.1 3계층형 시스템의 구성도 3.2 주요 개념 설명 3.3 웹 데이터 흐름 3.4 가상화 제4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본 이론 4.1 직렬/병렬 4.2 동기/비동기 4.3 큐 4.4 배타적 제어 4.5 상태 저장/상태 비저장 4.6 가변 길이/고정 길이 4.7 데이터 구조(배열과 연결 리스트) 4.8 탐색 알고리즘(해시/트리 등) 제5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 5.1 캐시 5.2 끼어들기 5.3 폴링 5.4 I/O 크기 5.5 저널링 5.6 복제 5.7 마스터-워커 5.8 압축 5.9 오류 검출 제6장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6.1 네트워크 6.2 계층 구조 6.3 프로토콜 6.4 TCP/IP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네트워크 6.5 [레이어 7]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HTTP 6.6 [레이어 4]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6.7 [레이어 3]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IP 6.8 [레이어 2]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 이더넷 6.9 TCP/IP를 이용한 통신 이후 제7장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7.1 안정성 및 이중화 7.2 서버 내 이중화 7.3 저장소 이중화 7.4 웹 서버 이중화 7.5 AP 서버 이중화 7.6 DB 서버 이중화 7.7 네트워크 장비 이중화 7.8 사이트 이중화 7.9 감시 7.10 백업 7.11 정리 제8장 성능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조 8.1 응답과 처리량 8.2 병목 현상이란? 8.3 3계층형 시스템 그림을 통해 본 병목 현상 8.4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