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Managing congressional collections
미국 의회기록컬렉션 관리 매뉴얼
- 단체저자
- 국회도서관
- 발행사항
- 서울 : 선인, 2019
- 형태사항
- 213 p. : 사진 ; 21 cm
- 총서사항
- 한국기록전문가협회 번역총서 ; 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196-205)과 "의회기록컬렉션 관리의 발전 연표" 수록
- 주제명
- Legislators - - United States - - Archives Records - - United States - - Management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50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50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미국 하원의 역사학자였으며, 하원 의원실을 위한 기록물 처분지침의 개발자이기도 한 신시아 피스 밀러가 미국 아키비스트협회(SAA)의 지원으로 출판한 책. 의회기록관리의 기본지침과 실무, 그리고 의회기록의 특성과 현안문제들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책의 내용은 의회기록물 관리실무자를 위한 것이지만, 역사학자 출신의 저자가 “의회의 공식기록을 보완하고 민주적인 절차를 위한 투명성의 지표(beacon)”로 평가하는 의회기록컬렉션의 관리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공공기록물 및 관리시스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의원들의 개인기록 및 관련 기록컬렉션-넓은 의미에서 ‘의회기록컬렉션(congressional collections)’이라 한다-은 매우 귀중하지만 때로는 발굴되지 않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컬렉션은 선거구나 주(state), 그리고 연방정부와 국민 간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연방 체제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의회기록컬렉션은 민주주의의 근본 원칙인 연방정부 산하기관들 간의 권력 분립을 투영하고 있다. 학자들은 국가적 중대사뿐만 아니라 지역이 입법현안 및 입법자를 연구하는 배경과 심도가 되는 자료로서의 의회기록을 필요로 한다. 의원 개인기록은 또한 의원들 간의 관계, 당 내·외부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유권자와의 대의제 민주주의적인 관계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본문 중에서)
책의 내용은 의회기록물 관리실무자를 위한 것이지만, 역사학자 출신의 저자가 “의회의 공식기록을 보완하고 민주적인 절차를 위한 투명성의 지표(beacon)”로 평가하는 의회기록컬렉션의 관리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공공기록물 및 관리시스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의원들의 개인기록 및 관련 기록컬렉션-넓은 의미에서 ‘의회기록컬렉션(congressional collections)’이라 한다-은 매우 귀중하지만 때로는 발굴되지 않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컬렉션은 선거구나 주(state), 그리고 연방정부와 국민 간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연방 체제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의회기록컬렉션은 민주주의의 근본 원칙인 연방정부 산하기관들 간의 권력 분립을 투영하고 있다. 학자들은 국가적 중대사뿐만 아니라 지역이 입법현안 및 입법자를 연구하는 배경과 심도가 되는 자료로서의 의회기록을 필요로 한다. 의원 개인기록은 또한 의원들 간의 관계, 당 내·외부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유권자와의 대의제 민주주의적인 관계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본문 중에서)
목차
역자 서문 5
감사의 말 7
들어가며 17
1. 의회기록의 중요성 18
2. 의회기록컬렉션 표준의 역사적 배경 20
3. 의회기록컬렉션의 도전 과제 23
제1장 권유 또는 기증으로 의회기록컬렉션 수집하기 29
제2장 의회기록컬렉션의 관리 47
제3장 기록의 이관 79
제4장 의회기록컬렉션의 업무 처리 101
제5장 참고서비스와 확장서비스 125
부록 139
부록 A 의회기록컬렉션 관리의 발전 연표 140
부록 B 전문 네트워크와 지원 148
부록 C 기증서 예시 152
부록 D 의원실 보좌직원 목록 155
부록 E 기록철 처분(disposition)을 위한 지침 160
부록 F 자주 묻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FAQs) 185
부록 G 참고문헌: 선별 목록 196
부록 H 제110차 미 의회 2회기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