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New renewable energy systems engineering
신재생에너지 시스템공학: 친환경 에너지 자원과 미래
- 저자
- 신정수
- 발행사항
- 서울 : 일진사, 2015
- 형태사항
- 472p. : 삽도 ; 26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463)과 색인수록
- 주제명
- 신재생에너지 시스템공학 - - 신재생에너지공학 - - renewable energ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81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81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머리말]
오늘날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전력을 다해서 개발해야 하는 이유를 여기에 몇 가지 적어봅니다.
첫째, 인간은 원래 자연에서 왔으므로 자연의 에너지가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인간이 발명한 형광등, 백열등, LED전등 등이 아무리 밝아도 대낮에 자연의 햇빛이 주는 안정감과 자연스러움을 따라갈 수는 없습니다. 또한 인간이 쓰고 있는 에너지 측면에서도 석유, 석탄, 가스 등의 화석연료는 매연과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각종 공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계속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인간은 점점 더 병들어가는듯 합니다.
원자력발전소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태에서 보았듯이, 간혹 발생하는 원자력의 재앙을 버텨내기에 인간은 점점 힘이 듭니다. 저 무심히 흘러가는 강물이나 지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바다, 연일 내리쬐는 햇빛을 좀 보세요. 이러한 막대한 에너지원을 잘만 활용한다면 인간은 지구상 에너지의 일대 혁명을 몰고 올 수 있습니다. 지금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을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열심히 노력을 하고 있지만, 너무 느립니다. 좀 더 분발해야 할 시기입니다.
둘째, 원자력발전소와 기존 화석연료의 대안의 필요성입니다.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태, 국내의 순환정전사태와 원전비리사건 등 블랙아웃의 우려가 우리 도처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가채년수가 점점 짧아지고 있는 화석연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앞으로 닥쳐올 위기를 재촉하는 것입니다.
셋째, 지구온난화 문제의 해결이 필요합니다. 지구는 점점 더 더워지고 있습니다. 예전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많이 잡히던 명태, 쥐치, 정어리 등 한류성 어류들은 지금 자취를 감추었거나 그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사과의 주산지는 대구가 아니고 북상하고 있습니다. 남산 위의 저 소나무도 21세기 후반이면 사라질 전망입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의 사막화, 홍수ㆍ가뭄ㆍ해일의 증가, 삶의 터전의 소실, 질병의 증가 등 인간이 앞으로 감당해야 할 숙제는 어마어마합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자연에너지에 가까운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늘리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생각합니다.
넷째, 나 잡아먹으라는 식으로 버티고 있는듯한 무심한 해양에너지와 지열에너지, 그리고 천연 바람에너지인 풍력 등을 그대로 내버려두기는 너무 아깝습니다! 인간의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습니다. 인간은 이 속에서 뭔가 개발해내고 발전시켜나가야 할 막중한 책임이 있습니다.
다섯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개발의 기회는 지구상의 그 어느 나라, 그 누구에게나 공평합니다. 개발하기에 따라서 엄청난 미래가치를 확보할 수 있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국부의 원천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신재생에너지는 앞으로 인류의 선택이 아닌 필수의 과제인 것입니다.
본 교재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특히 미래의 희망인 우리 대학생들, 연구원들, 신재생에너지 입문자들에게 신재생에너지와 온실가스에 대해 충분히 학습할 수 있게 하여 미래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하게 함이 그 첫 번째 목적입니다. 또한 책의 내용상 공학의 기본 이론이나 엔지니어링, 설계, 시공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계 기술 분야 전반에서의 활용도 가능하게 저작하였습니다. 특히 기술사, 에너지진단사, 에너지평가사,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기사 등을 공부하시는 분들께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필요한 지식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끝으로 이 책의 완성을 위해 지도와 도움을 아끼지 않으신 전주 비전대학교 한우용 교수님, 박효식 교수님, 김지홍 교수님, (주)제이앤지 박종우 대표님, 일진사의 임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그리고 원고가 끝날 때까지 항상 옆에서 많은 도움을 준 아내와 딸 이나, 아들 주홍에게도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합니다.
저자 신정수 올림
오늘날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전력을 다해서 개발해야 하는 이유를 여기에 몇 가지 적어봅니다.
첫째, 인간은 원래 자연에서 왔으므로 자연의 에너지가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인간이 발명한 형광등, 백열등, LED전등 등이 아무리 밝아도 대낮에 자연의 햇빛이 주는 안정감과 자연스러움을 따라갈 수는 없습니다. 또한 인간이 쓰고 있는 에너지 측면에서도 석유, 석탄, 가스 등의 화석연료는 매연과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각종 공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계속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인간은 점점 더 병들어가는듯 합니다.
원자력발전소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태에서 보았듯이, 간혹 발생하는 원자력의 재앙을 버텨내기에 인간은 점점 힘이 듭니다. 저 무심히 흘러가는 강물이나 지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바다, 연일 내리쬐는 햇빛을 좀 보세요. 이러한 막대한 에너지원을 잘만 활용한다면 인간은 지구상 에너지의 일대 혁명을 몰고 올 수 있습니다. 지금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을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열심히 노력을 하고 있지만, 너무 느립니다. 좀 더 분발해야 할 시기입니다.
둘째, 원자력발전소와 기존 화석연료의 대안의 필요성입니다.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태, 국내의 순환정전사태와 원전비리사건 등 블랙아웃의 우려가 우리 도처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가채년수가 점점 짧아지고 있는 화석연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앞으로 닥쳐올 위기를 재촉하는 것입니다.
셋째, 지구온난화 문제의 해결이 필요합니다. 지구는 점점 더 더워지고 있습니다. 예전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많이 잡히던 명태, 쥐치, 정어리 등 한류성 어류들은 지금 자취를 감추었거나 그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사과의 주산지는 대구가 아니고 북상하고 있습니다. 남산 위의 저 소나무도 21세기 후반이면 사라질 전망입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의 사막화, 홍수ㆍ가뭄ㆍ해일의 증가, 삶의 터전의 소실, 질병의 증가 등 인간이 앞으로 감당해야 할 숙제는 어마어마합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자연에너지에 가까운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늘리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생각합니다.
넷째, 나 잡아먹으라는 식으로 버티고 있는듯한 무심한 해양에너지와 지열에너지, 그리고 천연 바람에너지인 풍력 등을 그대로 내버려두기는 너무 아깝습니다! 인간의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습니다. 인간은 이 속에서 뭔가 개발해내고 발전시켜나가야 할 막중한 책임이 있습니다.
다섯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개발의 기회는 지구상의 그 어느 나라, 그 누구에게나 공평합니다. 개발하기에 따라서 엄청난 미래가치를 확보할 수 있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국부의 원천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신재생에너지는 앞으로 인류의 선택이 아닌 필수의 과제인 것입니다.
본 교재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특히 미래의 희망인 우리 대학생들, 연구원들, 신재생에너지 입문자들에게 신재생에너지와 온실가스에 대해 충분히 학습할 수 있게 하여 미래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하게 함이 그 첫 번째 목적입니다. 또한 책의 내용상 공학의 기본 이론이나 엔지니어링, 설계, 시공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계 기술 분야 전반에서의 활용도 가능하게 저작하였습니다. 특히 기술사, 에너지진단사, 에너지평가사,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기사 등을 공부하시는 분들께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필요한 지식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끝으로 이 책의 완성을 위해 지도와 도움을 아끼지 않으신 전주 비전대학교 한우용 교수님, 박효식 교수님, 김지홍 교수님, (주)제이앤지 박종우 대표님, 일진사의 임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그리고 원고가 끝날 때까지 항상 옆에서 많은 도움을 준 아내와 딸 이나, 아들 주홍에게도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합니다.
저자 신정수 올림
목차
part 01
신재생에너지 응용설비
제1장 신재생에너지 기술원리
01. 태양에너지의 활용 12
02. 태양열에너지 17
03. 태양광에너지 26
04. 지열에너지 35
05. 풍력에너지 43
06. 수력에너지 47
07. 바이오에너지 51
08. 폐기물에너지 53
09. 해양에너지 54
10. 수소에너지 57
11. 연료전지 59
12. 석탄액화ㆍ가스화 및 중질잔사유
(重質殘渣油) 가스화 에너지 65
13. 온도차에너지 67
제2장 에너지 자립형 건물
01. 제로에너지 하우스와 제로카본 하우스 69
02. 초에너지 절약형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약기술 71
03. 낭비운전 및 과잉운전 대처방법 77
제3장 에너지 절약 및 축열기술
01. 전열교환기 79
02. 인버터 기술 80
03. 폐수열회수 히트펌프 83
04. 축열 시스템 84
05. 심야 수축열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90
06. 빙축열 냉방 시스템 91
07. 축랭 지원금 제도 94
08. 에너지저장장치(ESS) 96
제4장 신재생에너지 정책
01.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 98
02. 온실가스 관련정책 103
제5장 신재생에너지 기계설비
01. 태양열 이용 냉방시스템 112
02. 흡착식 냉동기 115
03. 발전용 터빈의 Rankine Cycle 117
04. 발전소의 복수기 방열량(계산실습) 119
05. 신재생에너지설비 적용 열교환기 120
06. LMTD 124
07. NTU 125
08. 핀유용도 126
09. 열파이프 128
10. 로핀과 이너핀 130
11. 공조기용 냉ㆍ온수코일 131
12. 2차 열전달매체 133
13. 열기관과 히트펌프의 효율 137
제6장 신재생에너지 전기설비
01. 파워컨디셔너 139
02. 태양광 관련기기 및 부품 148
03. 변압기 156
04. 고효율 변압기 159
05.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 161
06. 뇌서지 대책 166
07. 접지공사 168
08. 송전방식 175
09. 송전설비의 지지물 176
10. 장주 179
11. 지선과 지주 181
12. 전선의 접속 182
13. 이도(Dip) 183
14. 전선로 하중 184
15. 철탑설계 186
16. 애자장치 187
17. 중성점 접지방식 비교 190
18. 송전선로 192
19. 송전설비 주요 용어 202
20. 지중전선로 205
21. 배전선로 배전방식 207
제7장 에너지 응용설비
01. 이중외피 방식 219
02. 설비용 배관 지지장치 223
03. 이중 보온관(Pre-insulated Pipe) 227
04. 보일러의 에너지 절약 228
05. 보일러의 공기예열기 229
06. 이코노마이저 사이클 230
07. 원자력에너지 230
08. 고온 초전도체 232
09. 지역난방(地域煖房) 234
10. 지역냉ㆍ난방 및 건물공조의 열매(熱媒) 236
11. 지역난방 방식과 CES(구역형 집단에너지) 237
제8장 신재생에너지 관련법규
0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의 산정기준
및 방법 241
02. 신재생에너지이용 건축물 인증제도 243
03. 세계 대표적 친환경건축물 평가제도 246
04.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규칙 251
05.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에 관한 규칙 252
06. 건축물 에너지 소비증명에 관한 기준 256
07. 건축물 에너지평가에서 ‘1차에너지
소요량’이란? 258
part 02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설계
제1장 신재생에너지촉진법 및 기본계획
0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
보급 촉진법 260
02.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62
제2장 히트펌프 시스템
01. 히트펌프 분류 및 특징 263
02. 공기-공기 히트펌프 267
03. 공기-물 히트펌프 269
04. HR(냉ㆍ난방 동시운전 멀티) 271
제3장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설계
01. 자연형 태양열주택 System 274
02. 설비형 태양광 자연채광시스템 278
03. 태양광(일조와 음영 분석) 282
04. 태양광발전 시스템 설계 288
05. 온수집열 태양열 난방 297
06. 태양열급탕기(給湯機) 혹은 태양열
온수기(溫水機) 299
07. BIPV 301
08. 태양열원 히트펌프 302
09. 지열원 히트펌프 304
10. 지열의 응용(이용방법) 308
11. 열원별 히트펌프(공기열원형, 수열원형,
지열원형) 비교 311
제4장 시스템 설계이론
01. SI단위 313
02. 공주부하계산법 314
03. 난방부하계산법 321
04. 공조방식의 대분류 및 주요 특징 323
05. 압력단위(ata, atg, atm) 327
06. 압력 관련용어 329
07. 온도와 습도 330
08. 이상기체(완전가스) 332
09. 이상기체의 상태변화(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보일샤를의 법칙 등) 334
10. 습공기 용어(건공기와 습공기, 포화공기,
노점온도, 포화도, 단열포화온도) 337
11. 엔탈피 용어(건공기의 엔탈피, 수증기의
엔탈피, 습공기의 엔탈피 등) 338
12.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s Equation) 340
13. 토리첼리 정리 계산 341
14. 수두 계산 342
15. 점성계수 343
16. 마하수와 압축성 관계 344
17. 뉴턴유체 345
18. 물의 상평형 곡선(-선도) 346
19. 마력(물리학적 마력) 347
20. 제베크효과 348
21. 톰슨효과 349
22. 줄-톰슨효과 350
23. 열역학 제 법칙 351
24. 엔탈피 353
25. 엔트로피 353
26. 엑서지(Exergy) 355
27. 카르노 사이클과 역카르노 사이클 356
28. 열역학 용어 357
29. 열전반도체 358
30. 현열비(SHF)와 유효현열비(ESHF) 359
31. 굴뚝효과(Stack Effect) 360
32. 송풍기의 분류 및 특징 364
33. 송풍기의 풍량제어방법 368
34. 송풍기(fan) 및 펌프의 Surging 현상 370
35. 송풍기의 특성곡선과 직ㆍ병렬 운전 372
36. 송풍기의 압력관계 376
37. 유효흡입양정 376
38. 펌프의 공동현상 378
39. 수격현상 380
40. 팽창탱크의 종류 및 설계 383
41. 배관저항 균형 385
42. 오존의 효과 388
43. IAQ 389
제5장 지구온난화 및 온실가스 대책
01. 지구온난화의 원인, 영향 및 대책 391
02. 유엔 기후변화협약 392
제6장 빙축열 시스템
01. 빙축열(공조)시스템의 장단점 396
02. 빙축열(氷蓄熱) 시스템의 각 종류별 특징 398
03. 빙축열 관련 단답형 용어 403
04. 수축열냉방(水蓄熱冷房) 시스템 405
05. 축열 운용방식 407
06. 저냉수ㆍ저온 공조 방식(저온 급기 방식) 408
07. 가스 냉열원 시스템과 빙축열 시스템의
비교 411
제7장 에너지 절약적 설계방안
01. 에너지 절약적 공조설계 및 폐열회수 413
02. 외기냉방에서 외기 취입방법 415
03. 외기 냉수냉방 416
04. 열병합 발전 419
05. 용량가변 기술 422
06. 차양장치 424
07. 스마트 그레이징 425
08. 투명단열재 427
09. 로이유리 적용방법 427
10. 투과율 가변유리 428
제8장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평가방법
01. LCC 431
02. 설비의 내구연한 432
03. TAB(시험, 조정, 균형) 433
제9장 신재생에너지 자동제어
01. 자동제어 437
02. IT(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공조 응용
제어 442
03.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445
제10장 신재생에너지 전력과 조명
01. 전력과 역률 447
02. 전압강하 계산 448
03. 부하관계 용어 449
04. 조도 계산 449
05. 색온도 456
06. 연색성 456
07. 계산문제 458
참고문헌 463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