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중국근현대사학회 연구총서 ;한울아카데미 011575
동아시아 역사 속의 신해혁명
- 저자
- 배경한
- 발행사항
- 파주 : 한울, 2013
- 형태사항
- 326 p. ; 24 cm
- 총서사항
- 중국근현대사학회 연구총서 ; 01 한울아카데미 ; 157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00-306)과 색인수록
- 주제명
- 신해 혁명[辛亥革命]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69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069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을 대표하는 중견 연구자들이 모여 현대 중국이 형성되는 전환점이 된 신해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여 신해혁명의 새로운 의의를 찾았다. 특히 신해혁명을 중국 일국의 역사가 아니라 전체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키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중심 주제이다. 신해혁명이 일어났을 당시 동아시아가 어떻게 연결되어 국제무대에 편입해가고 있었는가를 살펴보고, 중국 주변의 국가와 민족들이 서양 열강 및 전통적 지배질서에 대항해나가는 과정에서 신해혁명이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해봄으로써 그간의 연구들과 다른 국제적 시각에서 신해혁명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지은이]
배경한(裴京漢) 신라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사학과 교수
상빙(桑兵) 중국 중산대학 역사학과 교수
무라타 유지로(村田雄二郞)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연구과 교수
김희곤(金喜坤) 안동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한정선(韓程善)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김형종(金衡鍾)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교수
오카모토 다카시(岡本隆司) 일본 쿄토부립대학 교수
우치나(吳啓訥) 타이완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지은이]
배경한(裴京漢) 신라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사학과 교수
상빙(桑兵) 중국 중산대학 역사학과 교수
무라타 유지로(村田雄二郞)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연구과 교수
김희곤(金喜坤) 안동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한정선(韓程善)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김형종(金衡鍾)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교수
오카모토 다카시(岡本隆司) 일본 쿄토부립대학 교수
우치나(吳啓訥) 타이완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목차
서론 동아시아 역사 속의 신해혁명 : 공화혁명의 확산과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_배경한
제1부 신해혁명 시기의 동아시아
제1장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신해혁명 : 장젠의 입헌운동을 중심으로_무라타 유지로
제2장 신해정변과 일본_상빙
제3장 신해혁명 전후시기 쑨원의 아시아 인식_배경한
제2부 공화혁명의 확산
제1장 신해혁명과 한국독립운동_김희곤
제2장 근대중국의 공화제 실험과 제국일본의 동요_한정선
제3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
제1장 청말 혁명파의 내셔널리즘 : 우루전과 『연길변무보고』_김형종
제2장 주권의 형성 : 20세기 초 중국과 티베트 몽골_오카모토 다카시
제3장 한인이 주체가 되는 중화민국에 직면하여 : 신해혁명 시기 소수 민족들의 곤경과 선택_우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