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한울아카데미 1499
소셜미디어와 협력사회
Social media and cooperation in societ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49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049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미래세대의 협력사회를 위한 대안,‘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통합의 새로운 해답을 제시한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소셜미디어의 긍정적인 발전을 통해 협력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 책에서는 이를 설명하는 핵심적 원리로 협력적 유대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을 내세운다. 소셜미디어가 담고 있는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사회 내의 평등한 연결망과 민주적 공론장을 형성하고 튼튼한 지역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 발전에 중요한 밑받침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과도한 경쟁체제에서 만들어진 자본주의적 이기심을 치유하고 사회적 통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핵심 개념인 협력사회에 대한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신세대의 사회적 협력의 관행을 이해하고 분석하면서 미래사회의 협력적 체제를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1부에서는 소셜미디어가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고, 제2부는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의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사례 분석과 함께 제시한다. 제3부는 멀티미디어 뉴스와 블로그에 의한 정보 생산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보 생산과 네트워크 협력경제를 설명한다. 제4부에서는 인터넷상에서의 인터넷 플레이밍에 대한 영향 요인과 행동방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새로운 소통양식인 소셜미디어에 의해 생산되는 정보의 신뢰성 문제와 그에 따른 규제의 문제를 다룬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통합의 새로운 해답을 제시한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소셜미디어의 긍정적인 발전을 통해 협력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 책에서는 이를 설명하는 핵심적 원리로 협력적 유대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을 내세운다. 소셜미디어가 담고 있는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사회 내의 평등한 연결망과 민주적 공론장을 형성하고 튼튼한 지역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 발전에 중요한 밑받침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과도한 경쟁체제에서 만들어진 자본주의적 이기심을 치유하고 사회적 통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핵심 개념인 협력사회에 대한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신세대의 사회적 협력의 관행을 이해하고 분석하면서 미래사회의 협력적 체제를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1부에서는 소셜미디어가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고, 제2부는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의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사례 분석과 함께 제시한다. 제3부는 멀티미디어 뉴스와 블로그에 의한 정보 생산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보 생산과 네트워크 협력경제를 설명한다. 제4부에서는 인터넷상에서의 인터넷 플레이밍에 대한 영향 요인과 행동방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새로운 소통양식인 소셜미디어에 의해 생산되는 정보의 신뢰성 문제와 그에 따른 규제의 문제를 다룬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사회적 자본과 협력
제1장 소셜미디어와 사회적 의사소통
제2장 사회적 자본과 교환이론
제2부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
제3장 소셜미디어와 상호작용
제4장 소셜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제3부 정보 생산과 유통
제5장 멀티미디어 뉴스와 블로그
제6장 정보 생산과 네트워크 경제
제7장 소셜미디어와 정보 유통
제4부 신뢰와 정책
제8장 인터넷 플레이밍
제9장 소셜미디어와 신뢰의 정책
제5부 사회 참여와 공론장
제10장 소셜미디어와 디지털 네이티브
제11장 소셜미디어와 사회 변화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