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54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54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구조방정식모델의 핵심을 꿰뚫는 16가지 질문에 답하다!
구조방정식모델은 다른 기법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장점을 지닌 분석방법으로, 오늘날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이용해 논문을 발표한다. 그러나 여러 장점을 지닌 기법인 만큼 오용될 확률도 높으며 실제로 이러한 문제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오랜 시간 구조방정식모델을 연구하고 가르친 저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깊이 인식하고, 구조방정식모델을 둘러싼 오해와 편견을 16가지 핵심질문으로 뽑아냈다. 이 책은 그에 대한 답으로, 연구자들이 이 기법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 책의 특징
1. 연구자들이 구조방정식모델에 대해서 잘못 이해하거나 해석하고 있는 부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였다.
저자의 이러한 지적은 단순히 비판에 그치지 않는다. 다양한 통계기법들을 어떻게 분류하고, 언제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구조방정식모델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그 원인을 추적한다. 이를테면 구조방정식모델과 회귀분석의 개념과 특징을 명확히 구분한 뒤, 구조방정식모델이 회귀분석처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연속형 변수인 상황에서 분석이 가능한 통계기법이며 두 변수 중 어느 하나라도 범주형 변수라면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점을 밝힌다. 이로써 독자들은 통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고 구조방정식모델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비판해 온 학자들의 주장을 정리하고, 그들이 왜 그런 주장을 했는지 구체적인 이유를 알아보았다. 해외 논문들을 직접 접하다 보면 이런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힘든데, 논문 내용을 실전사례와 함께 자연스럽게 본문에 담아냄으로써 초보자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3. 구조방정식모델에 대한 개념적인 설명이나 프로그램 실행과 관련된 부분에 집중한 기존의 책들과 달리, 구조방정식모델의 ‘다양한 구조적 문제’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였다.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흥미로운 주제를 마치 에세이를 써 내려가듯 각 장에 담아 독자들이 편하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4. 구조방정식모델의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을 ‘사전지식 part’ 부분으로 따로 두어 실전사례 부분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완성도 있는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은 다른 기법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장점을 지닌 분석방법으로, 오늘날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이용해 논문을 발표한다. 그러나 여러 장점을 지닌 기법인 만큼 오용될 확률도 높으며 실제로 이러한 문제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오랜 시간 구조방정식모델을 연구하고 가르친 저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깊이 인식하고, 구조방정식모델을 둘러싼 오해와 편견을 16가지 핵심질문으로 뽑아냈다. 이 책은 그에 대한 답으로, 연구자들이 이 기법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 책의 특징
1. 연구자들이 구조방정식모델에 대해서 잘못 이해하거나 해석하고 있는 부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였다.
저자의 이러한 지적은 단순히 비판에 그치지 않는다. 다양한 통계기법들을 어떻게 분류하고, 언제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구조방정식모델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그 원인을 추적한다. 이를테면 구조방정식모델과 회귀분석의 개념과 특징을 명확히 구분한 뒤, 구조방정식모델이 회귀분석처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연속형 변수인 상황에서 분석이 가능한 통계기법이며 두 변수 중 어느 하나라도 범주형 변수라면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점을 밝힌다. 이로써 독자들은 통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고 구조방정식모델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비판해 온 학자들의 주장을 정리하고, 그들이 왜 그런 주장을 했는지 구체적인 이유를 알아보았다. 해외 논문들을 직접 접하다 보면 이런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힘든데, 논문 내용을 실전사례와 함께 자연스럽게 본문에 담아냄으로써 초보자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3. 구조방정식모델에 대한 개념적인 설명이나 프로그램 실행과 관련된 부분에 집중한 기존의 책들과 달리, 구조방정식모델의 ‘다양한 구조적 문제’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였다.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흥미로운 주제를 마치 에세이를 써 내려가듯 각 장에 담아 독자들이 편하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4. 구조방정식모델의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을 ‘사전지식 part’ 부분으로 따로 두어 실전사례 부분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완성도 있는 내용을 구성하였다.
목차
QUESTION01 구조방정식모델은 도깨비방망이다?
QUESTION02 Lisrel이 Amos보다 우수한 프로그램이다?
QUESTION03 구조방정식모델은 혜성처럼 나타난 기법이다?
QUESTION04 구조방정식모델에서 오차는 중요하지 않다?
QUESTION05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서로 비슷한 기법이다?
QUESTION06 구조방정식모델과 회귀분석은 별 차이가 없다?
QUESTION07 구조방정식모델로는 실험법을 해결할 수 없다?
QUESTION08 구성개념의 타당성 검증은 형식적인 과정이다?
QUESTION09 구성개념은 언제나 잠재변수를 의미한다?
QUESTION10 분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원자료가 필요하다?
QUESTION11 구조방정식모델로 인과관계를 검증할 수 없다?
QUESTION12 연구결과만 좋으면 좋은 모델이다?
QUESTION13 모델적합도만 좋으면 좋은 모델이다?
QUESTION14 최종모델 선택과정은 단순하다?
QUESTION15 다중집단분석을 반드시 실행해야 한다?
QUESTION16 반영지표모델과 조형지표모델은 별 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