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통계연감

에너지산업연감

서명
에너지산업연감
발행사항
서울 : 한국산업정보원, 201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551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551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발간사


제1장. 에너지 산업

1. 에너지 산업 동향 및 전망
1-1. 에너지 시장
1) 에너지 시장 현황
2) 국내 에너지 수급동향 및 전망
3) 세계 에너지 전망
1-2. 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최근 기후변화 동향 및 전망
2) 주요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정책
3) 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
4) 에너지 소비 동향
1-3. 에너지 향후 수요전망
1) 2030 에너지 수요 전망

2. 에너지정책
2-1. 에너지 관련 분야별 대책
1) 에너지사용 효율의 개선
2) 에너지 시장의 효율화 및 합리적 가격체계
3) 신ㆍ재생에너지 개발ㆍ보급 확대 및 성장동력화
4) 원전의 공급능력 및 국민 이해기반 확충
5) 해외자원개발 역량 확충
6)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7)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8) 에너지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에너지산업 육성
9)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10) 에너지 복지ㆍ에너지 안전사회 구현
2-2.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1) 개요
2)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의의 및 성격
3)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효력
2-3. 대내외 여건과 에너지 정책의 기본방향
1) 대내외 여건
2) 에너지 정책의 기본방향 및 비전 2030
2-4. 에너지정책 방향
1) 최근 에너지정책의 방향
2-5. 에너지 수급동향
2-6. 세계 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세계에너지 현황 및 전망
2) 주요국 에너지 소비현황
3)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4) 신재생에너지 원별 산업 현황

3. 신ㆍ재생에너지 산업
3-1. 개요
1) 연구 및 보급
2) 기술개발 및 보급동향
3-2.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략
1)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략
2) 신ㆍ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3-3. 신ㆍ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ㆍ보급 기본계획
1) 개 요
2) 제2차 신ㆍ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ㆍ보급 기본계획과 평가
3) 제3차 신ㆍ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ㆍ보급 기본계획의 주요내용
3-4. 정책 및 지원제도
1)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목표
2) 세부 추진계획
3) 발전차액지원
4) 공공기관 신ㆍ재생설비 설치의 무화
5) 전문기업
6) 신ㆍ재생에너지 설비 인증 및 표준화
7) 인력 양성
3-5.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1) 추진근거 및 제도
2) 기술개발의 필요성
3) 추진실적 및 현황
4) 향후 추진방향

4. 신재생에너지 보급
4-1. 그린홈 100만호보급사업
1) 사업내용
2) 추진실적 및 성과
4-2. 발전차액지원제도(FIT)
1) 개요
2) 지원현황
3) 지원분야 및 기준가격
4-3.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제도
1) 개요
2) 해외 RPS제도 도입현황
3) 기대효과
4-4.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의무화
1) 개요
2) 사업내용
3) 설치의무 대상기관
4-5.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
1) 개요
2) 사업내용 및 절차
3) 추진실적 및 성과
4-6. 해상풍력개발 기반구축사업
1) 개요
2) 사업내용 및 기대효과
3) 주요국 현황
4-7.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지원사업
1) 개요
2) 사업내용 및 절차
4-8.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제도
1) 개요
2) 추진 내용
4-9. 신재생에너지 성능 검사기관 고도화
1) 개요
2) 사업 내용 및 기대효과
4-10. 신재생에너지 이용 건축물 인증제도
1) 개요
2) 인센티브
3) 신청절차
4-11. 신재생에너지 설비 인증 및 표준화
1) 개요
2) 사업 내용 및 향후 계획
3) 추진절차
4-12.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
1) 개요
2) 사업내용 및 체계
3) 향후 계획
4-13. 일반보급사업
1) 사업내용
2) 추진실적 및 성과
4-14. 지방보급사업
1) 개요
2) 사업내용
3) 추진실적 및 성과

5. 태양광
5-1. 개 요
1) 태양광발전원리 및 시스템의 구성요소기술
5-2. 기술개발현황
1) 박막(Si, CIGS) 태양전지
2)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3) 염료감응 및 유기 태양전지
4) 국내외 보급현황
5) 향후 계획
5-3. 국내외 시장(정책)동향

6. 태양열
6-1. 개 요
6-2. 국내외 시장동향
1) 국내시장
2) 세계 시장
3) 기술개발 현황
4) 태양열 건물
6-3. 산업활동 및 보급현황
1) 산업활동
2) 보급현황
3) 보급지원 현황
6-4. 태양열 기술현황
1) 일사광선과 태양열시스템
2) 태양열 시스템 기술
3) 태양열시스템 기술
6-5. 향후 추진 계획

7. 지열
7-1. 개 요
7-2. 지열에너지 이용 기술
1) 지열 열펌프 시스템
2) 지열발전
7-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지열 열펌프 시스템
2) 지열발전
7-4. 국내외 보급 현황
1) 지열 열펌프 시스템
2) 지열발전
7-5. 국내외 시장 동향
1) 지열 열펌프 시스템
2) 지역발전
7-6. 향후 추진계획

8. 수력
8-1. 개 요
1) 개념 및 구성요소
8-2. 기술개발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8-3. 국내ㆍ외 보급 현황
1) 국내 보급 현황
2) 해외
8-4. 국내ㆍ외 시장동향
1) 국내 시장동향
2) 국외 시장동향
8-5. 향후계획

9. 풍력
9-1. 풍력발전의 개요
1) 풍력발전기의 원리와 구조
2) 풍력발전기의 종류
3) 해상풍력발전 설비
9-2.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9-3. 국내외 시장동향 및 보급현황
1) 세계 현황
2) 국내 현황
9-4. 향후 추진계획

10. 폐기물
10-1. 개 요
10-2. 기술개발 현황
1) 외국의 기술개발 현황
2)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
10-3. 국내외 시장동향
1) 외국의 폐기물에너지 시장 동향
2) 국내의 폐기물에너지 시장 동향
10-4. 보급현황
1) 외국의 보급현황
2) 국내의 보급현황
10-5. 향후 추진 계획

11. 수소ㆍ연료전지
11-1. 개요
1) 연료전지의 원리
2) 연료전지의 종류
3) 연료전지의 특징
11-2. 기술개발 현황
1) 발전용 연료전지
2) 수송용 연료전지
3) 건물용 연료전지
11-3. 국내외 시장 동향
1) 건물용 연료전지
2) 수송용 연료전지
3) 분산발전용 연료전지
11-4. 보급현황
11-5. 상용화 전망 및 추진전략

12. 바이오
12-1. 개 요
1) 바이오에너지의 필요성
2) 바이오에너지 기술
12-2. 기술개발 현황
1) 선진국의 기술 개발 현황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12-3. 국내외 정책 동향
1) 선진국의 기술 개발 현황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12-3. 국내외 정책 동향
1) 선진국의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12-4. 보급 현황
12-5. 향후 추진 계획

13.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13-1.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동향
1) 중국
2) 일본
3) 미국
4) 스페인
5) 프랑스
6) 독일
7) 영국
8) 덴마크

제2장. 기후변화에 따른 정책

1.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1-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현황
1) 우리나라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
2) 그간의 추진경과 및 평가
11-2. 기후변화 현황 및 국제사회의 노력
1) 기후변화 현황 및 영향
2) 국제사회의 노력
1-3. 기후변화대응 비전과 목표
1) 비전
2) 목표
1-4. 추진 전략
1-5. 추진정책 수단 및 방안
1) 금융ㆍ재원 배분 정책지원
2) 저탄소 소비 생산 패턴의 촉진
3) 사회간접자본 시설 생태효율성 개선
4) 법적 제도적 기반 강화
5) 대국민 홍보 강화 및 참여제고
1-6. 목표별 추진과제
1) 기후 친화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2) 국미느이 삶의 질 제고와 환경개선
3) 기후변화 대처를 위한 국제사회 노력을 선도

2. 기후변화 적응 및 에너지 자립
2-1.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1) 동향분석 및 추진방향
2) 추진계획
2-2.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1) 동향 분석 및 추진방향
2) 탄소가 보이는 사회
3) 탄소를 줄여가는 사회
4) 탄소를 순환 흡수하는 사회
5) 저탄소를 지향하는 그린 한반도
6) 남북 공동의 기후변화 대응
2-3. 탈석유ㆍ에너지자립 강화
1) 동향분석 및 추진방향
2) 추진계획

3.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기술 개발 전략
3-1. 녹색성장과 녹색기술
1) 미래사회 변화와 녹색성장의 필요성
2) 녹색기술의 중요성
3-2. 녹색기술의 개념 및 영역
1) 녹색기술의 개념
2) 녹색기술의 영역
3-3. 국내외 녹색기술 개발현황
1) 해외동향
2) 국내현황
3-4. 비전 및 목표
3-5.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방향
1) 녹색기술 R&D투자의 전략적 확대
2) 중점 육성기술 투자방향
3-6. 녹색기술 발전 전략
1) 녹색기술의 융합화 촉진
2) 기초 원천 연구확대
3) 기존산업 그린화 및 신성장 동력화
4) 녹색기술 인프라 구축
3-7. 기대효과
3-8. 향후 일정 및 추진체계
1) 향후 추진일정
2) 범부처 추진체계 구축
3) 중점육성기술별 소관부처 현황

4. 녹색기술 선정 전략적 프로세스와 경과
4-1. 우리나라 녹색기술 수준
4-2. 녹색기술 선정 전략적 프로세스
1) 녹색기술 R&D 투자 확대
2) 유형별 투자우선순위 설정
3) 중점육성기술 도출
4-3. 중점육성기술 후보군 75개 기술 도출 결과

제3장. 관련용어

제4장. 관련업체

제5장. 관련법률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령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 회계법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법 시행령
에너지법
에너지법 시행령
에너지법 시행규칙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시행령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시행규칙
집단에너지사업법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령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규칙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