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The) shortcut to create on wealth of national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의 지름길: 아랍의 봄을 아부다비에서 열고 터키까지 아우르기
- 저자
- 임은모
- 발행사항
-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2
- 형태사항
- 311p. : 천연색삽화, 도표, 지도 ; 24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12) 수록
- 주제명
- 국제 투자[國際投資]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83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83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시장은 위기와 기회가 공존한다. 중동지역은 지중해가 열리기 시작하면서 두 번째로 크게 요동치고 있다. 재스민 혁명 이후 아랍의 봄이 완수되는 전개과정이 그러했고, 민초들의 목소리는 이전과 달라졌다. 우리는 이를 ‘중동 르네상스’로 부르기 시작했다.
우선 이라크와 리비아 지역의 전후복구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고, 또 카타르 등 주요 GCC 국가들도 민심 달래기 차원에서 서민주거 복지와 도로, 철도 등 사회 인프라에 대규모 예산을 책정해 운용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970∼1980년대 제1차 중동 붐 이후 한국 건설기업의 공백기에 호가호위했던 일본과 유럽 기업들이 이제 기술과 리스크 매니지먼트, 그리고 가격 경쟁력의 ‘3박자’를 갖춘 한국 건설사 앞에서 손을 놓고 있다. 올해 한국 건설사들의 중동시장 수주액은 약 700억 달러를 예상한다. 이러한 중동시장에서의 변화와 발전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하고 조명한 결과물로서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의 지름길』이 출간되었다.
첫째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중동시장의 요구에 아랍연맹(AL) 소속 22개국 모두를 아우르기에 앞서, 자원빈국 코리아의 국부에 도움이 될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부다비, 터키 등 총 5개 국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 번째로는 중동시장에서 한국이 자랑하고, 한국을 먹여 살린 여섯 기둥을 제시해 진정한 국부창조의 지름길을 안내하고자 했다.
이 책의 저자는 글로벌 마케터로서 중동시장을 5년간 조사하고 연구해 한국 테크놀로지의 강점인 6개 분야를 집필의 체크리스트로 삼았다. 최근 한국 위정자들이 5억 달러 규모의 ‘한·중동 플랜트 펀드’를 출범시켜 고급 일자리 창출과 해외 인력 파견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하고 있다. 제2의 중동 붐, 그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가 아닐까.
우선 이라크와 리비아 지역의 전후복구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고, 또 카타르 등 주요 GCC 국가들도 민심 달래기 차원에서 서민주거 복지와 도로, 철도 등 사회 인프라에 대규모 예산을 책정해 운용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970∼1980년대 제1차 중동 붐 이후 한국 건설기업의 공백기에 호가호위했던 일본과 유럽 기업들이 이제 기술과 리스크 매니지먼트, 그리고 가격 경쟁력의 ‘3박자’를 갖춘 한국 건설사 앞에서 손을 놓고 있다. 올해 한국 건설사들의 중동시장 수주액은 약 700억 달러를 예상한다. 이러한 중동시장에서의 변화와 발전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하고 조명한 결과물로서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의 지름길』이 출간되었다.
첫째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중동시장의 요구에 아랍연맹(AL) 소속 22개국 모두를 아우르기에 앞서, 자원빈국 코리아의 국부에 도움이 될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부다비, 터키 등 총 5개 국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 번째로는 중동시장에서 한국이 자랑하고, 한국을 먹여 살린 여섯 기둥을 제시해 진정한 국부창조의 지름길을 안내하고자 했다.
이 책의 저자는 글로벌 마케터로서 중동시장을 5년간 조사하고 연구해 한국 테크놀로지의 강점인 6개 분야를 집필의 체크리스트로 삼았다. 최근 한국 위정자들이 5억 달러 규모의 ‘한·중동 플랜트 펀드’를 출범시켜 고급 일자리 창출과 해외 인력 파견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하고 있다. 제2의 중동 붐, 그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가 아닐까.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변혁의 물꼬가 되고 있는 아랍의 봄
1. 중동시장이 변화의 물결을 타기 시작하다
2. 거래 변화의 예고편을 쓰고 있는 리비아 사이프 알이슬람
3. 카타르 왕실 주도형 민주주의는 성공할까
4. 중동시장의 새로운 장터가 되고 있는 이집트 라파 검문소
5. 요동치는 세계 경제와 맞물린 중동시장
Chapter 2 갈수록 시장원리가 작동하는 중동시장
1.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의 지름길은 타이밍
2. 아랍의 봄은 전체가 아닌 국가별 대응이 최선
3. 전략적 최선은 틈새와 차별성 그리고 경쟁력 강화
4. 중동시장에서 미국 정책의 변화와 중국의 대응
5. 셀링 마케팅에서 바이어 마케팅이 대세
Chapter 3 중동시장에서 한반도 경제영역 넓히기
1. 2012년 코리아 빅모멘텀은 중동 해외플랜트가 맡는다
2. 중동시장에서 3.0버전으로 풀어가는 제조업 르네상스
3. 한국 금융업의 중동시장 진출은 지금이 최적기다
4. 헬스케어 코리아는 다이내믹 코리아로 가는 길
Chapter 4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의 다섯 나라
1. 전략적 동반성장으로 함께 번영하는 아부다비
2. 사우디아라비아에 부는 개방 열기와 국부창조 빅뉴스
3. 이제 이라크는 중동시장에서 새 금맥(金脈)
4. 돈과 군(軍)이 필요 없는 리비아
5. 중동시장에서 맹주로 비상(飛翔)하는 터키
Chapter 5 미래가 담보된 국부창조의 여섯 기둥
1. 사막의 젖줄은 담수플랜트가 책임지다
2. 거북선을 만든 기술은 드릴십을 거쳐 시비시(深海底)로 우뚝 서다
3. 150층 초고층빌딩을 짓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4. 중동시장이 부른다!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5. 다시 보듬고 가야 하는 원자력발전
6. 중동시장이 손짓하는 문화기술(CT)
Chapter 6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의 지름길
1. 지구촌에 새 경제동맹이 뜨면서 기대되는 한ㆍGCC FTA
2. 기적의 코리아는 중동시장에서 2조 달러 시대의 기틀을 만들고
3. 석유정치학을 통한 한국조선기술의 신기원 시비시(深海底)가 답이다
4. 16억 무슬림을 모은 무슬림금융을 국부창조로 활용하는 열린 자세의 수쿠크 운용
5. 그 많은 지하자금을 밖으로 나오게 하는 명분론 명세서
Chapter 7 경제에는 기적이 없다. 그래서 자원빈국 코리아는…
1. 한국이 얻어낸 신성장동력으로 중동시장에서 국부창조를 열고
2. 없는 경제 기적을 새롭게 인지한 외교통상부의 변신
3. 오일머니! 아직도 무시 못 할 사우디아라비아 파워
4. 양해각서(MOU)ㆍ로펌 파워ㆍ방송다큐 2.0ㆍ비즈니스 모델(BM)
5. 아부다비 찍고 터키를 거쳐 아예 자원부국 카자흐스탄까지
에필로그
참고문헌
부록
1. 아부다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2.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3. 리비아 국가시용도 평가리포트
4. 이라크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5. 터키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