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
역관상언등록 연구: 17세기 조선 외교사를 담당한 역관들의 생생한 기록
- 저자
- 이현주
- 발행사항
- 파주 : 글항아리, 2016
- 형태사항
- 466 p. : 도표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61-46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119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119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소신을 밝히고, 능동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고자 했던
17세기 조선 역관들의 국왕을 향한 외침!
『역관상언등록(譯官上言謄錄)』은 1637~1692년 사이에 ‘역관들의 상언’이라는 단일 주제로 묶인 문건들을 기록한 등록물이다. 17세기 조선의 문서 행정 처리과정,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와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방식, 그리고 역관들의 인사이동 및 처우 개선과 양성 대책, 기타 무역에 관한 결정 등이 담겨 있다. 대체로 지방 수령들이 중앙정부에 올린 장계(狀啓), 첩정(牒呈)과 역관들이 올린 상언을 근거로 삼아 예조에서 계목(啓目)을 작성하고 국왕께 올려 재가(裁可)를 받았던 문건들이다. 예조의 계목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인용된 원문서들의 형식과 내용은 다양하다. 『역관상언등록』은 17세기 역관들의 생생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사료 가치가 매우 높다.
이 책은 『역관상언등록』을 현대어로 번역한 것으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표기법의 하나인 이두에 관한 설명과 문건이 작성된 배경, 당시 대외 정세 등에 대한 해설도 수록돼 있어,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 단초가 될 1차 사료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 국어학, 사학, 문헌학, 번역학, 한문학 등 여러 학과에서 연구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어로 번역된 최초의 『역관상언등록』
조선시대 예조의 전객사에서는 나중에 참고할 목적으로 외교와 관련한 신뢰성 있는 공문서들을 주제별로 묶어 등록한 뒤 보관했다. 『역관상언등록』은 인조 15년에서 숙종 18년 사이에 역관들의 상언이라는 단일 주제로 묶인 문건들을 등록한 기록물이다. 대체로 지방 수령들이 중앙정부에 올린 장계, 첩정과 역관들이 올린 상언을 근거로 삼아 예조에서 계목을 작성하고 국왕께 올려 재가를 받았던 문건들이다. 예조의 계목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인용된 원 문서들의 형식과 내용은 다양하다. 17세기 역관의 인사이동과 역관의 양성 문제, 자리 문제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기타 무역, 역관의 처우 개선, 장악원의 요청, 당시 동아시아 정세를 엿볼 수 있는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했던 「역관상언등록 역주」를 바탕으로 오랜 보완과정을 거쳐 수정하여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저자는 동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과거의 정보를 좀더 알기 쉽게 전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 책을 번역했다고 설명한다. 그렇기에 이런 내용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소개하고, 전공자들에게 논리의 근거가 되는 적확한 일차 사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성도 담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역관상언등록』은 국어학, 사학, 문헌학, 번역학, 한문학 등 여러 학과에서 연구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는 사료다. 예컨대 국어학에서는 이두, 사학에서는 역관, 문헌학에서는 등록에 대한 서지 정보, 번역학에서는 역사 사료 번역에 대한 비평, 한문학에서는 중국 및 일본의 한자와 우리 한자를 비교 연구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조선 중기의 우리말 어휘, 이두의 변천사, 역관의 위상과 활동 범위, 사료 번역에 대한 비평, 상언과 등록이라는 기록물 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다.
『역관상언등록』에 나오는 한문은, 그간 우리가 배웠던 한문과 구조가 다르고 이두를 포함하고 있어서 마치 처음 보는 낯선 문자처럼 느껴질지 모른다. 그렇기에 저자는 얼마나 가치 있는 사료인지 판단이 잘 서지 않았고, 각 분야의 원로 선생님들과 전공자들을 찾아다니며 가르침을 청했다. 연구실로, 도서관으로, 박물관으로, 규장각으로 사료와 논문을 찾아 돌아다니며 확인하고, 묻고 고민하며 번역문을 다듬어 자료로서의 꼴을 갖춰가는 데 많은 공력을 들였다.
국어학, 사학, 문헌학, 번역학, 한문학 등 여러 연구의 실마리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공자는 물론 관심 있는 일반 독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아울러 읽는 재미를 높이기 위해 여러 역사적 사건도 중간중간 삽입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역주를 읽기 전에 알아두면 좋을 사전 지식이 담겨 있는데, 시대 배경과 함께 역관들의 상언과 관련된 용어 설명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석사 학위 논문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고, 주석을 쉽게 풀어서 [문건의 개요와 해설]에 실었다.
제3부는 『역관상언등록』에 실린 이두를 글자 수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사전처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구성했는데, 한 땀 한 땀 바느질을 하듯이 정리하면서 이두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두는 우리말 어휘를 연구하는 데 아주 중요한 키워드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제4부는 이 책을 번역한 후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한 편의 논문으로 작성한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는 『역관상언등록』의 사료적 가치를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역관들이 현장에서 업무상 발생한 애로 사항과 담당자로서의 소견, 처지에 대한 의견을 기록한 사료라는 점, 둘째 17세기 역관의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점을 꼽는다. 셋째 여러 사료와 비교해보고 서로 보완해줄 수 있는 사료로서, 넷째 조선 시대 문서 행정의 절차를 알 수 있는 사료로서, 다섯째 등록이란 전대(前代)의 사례를 참고삼아 보려고 베껴놓은 등록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연구 영역을 넓히는 후속 과제에 관한 전망과 포부를 밝히고 있다. 『역관상언등록』은 형태서지학적 접근과 번역만이 아니라 사학, 고문서학, 국어학 등에서 좀더 깊이 있게 접근돼야 할 문건이다. 기초 자료로 삼아서 역관, 상언, 등록, 이두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에 새로운 내용을 보태어 영역을 넓히는 것이다. 또한 관련된 사료를 찾는 일도, 등록한 날짜도 중요하다. 현재는 ‘두주(頭註)’, ‘서제(書題)’라고 불리는 서미에 달린 ‘글’도 앞으로는 적당한 용어를 붙여야 함을 강조한다. 끝으로 『역관상언등록』의 문건이 끝나는 1692년(숙종 18) 이후 역관들의 인사에 관련한 문건과 역관들의 상언이 실린 사료를 발굴해 연구해보고 싶은 포부를 밝히고 있다.
17세기 조선 역관들의 국왕을 향한 외침!
『역관상언등록(譯官上言謄錄)』은 1637~1692년 사이에 ‘역관들의 상언’이라는 단일 주제로 묶인 문건들을 기록한 등록물이다. 17세기 조선의 문서 행정 처리과정,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와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방식, 그리고 역관들의 인사이동 및 처우 개선과 양성 대책, 기타 무역에 관한 결정 등이 담겨 있다. 대체로 지방 수령들이 중앙정부에 올린 장계(狀啓), 첩정(牒呈)과 역관들이 올린 상언을 근거로 삼아 예조에서 계목(啓目)을 작성하고 국왕께 올려 재가(裁可)를 받았던 문건들이다. 예조의 계목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인용된 원문서들의 형식과 내용은 다양하다. 『역관상언등록』은 17세기 역관들의 생생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사료 가치가 매우 높다.
이 책은 『역관상언등록』을 현대어로 번역한 것으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표기법의 하나인 이두에 관한 설명과 문건이 작성된 배경, 당시 대외 정세 등에 대한 해설도 수록돼 있어,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 단초가 될 1차 사료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 국어학, 사학, 문헌학, 번역학, 한문학 등 여러 학과에서 연구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어로 번역된 최초의 『역관상언등록』
조선시대 예조의 전객사에서는 나중에 참고할 목적으로 외교와 관련한 신뢰성 있는 공문서들을 주제별로 묶어 등록한 뒤 보관했다. 『역관상언등록』은 인조 15년에서 숙종 18년 사이에 역관들의 상언이라는 단일 주제로 묶인 문건들을 등록한 기록물이다. 대체로 지방 수령들이 중앙정부에 올린 장계, 첩정과 역관들이 올린 상언을 근거로 삼아 예조에서 계목을 작성하고 국왕께 올려 재가를 받았던 문건들이다. 예조의 계목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인용된 원 문서들의 형식과 내용은 다양하다. 17세기 역관의 인사이동과 역관의 양성 문제, 자리 문제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기타 무역, 역관의 처우 개선, 장악원의 요청, 당시 동아시아 정세를 엿볼 수 있는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했던 「역관상언등록 역주」를 바탕으로 오랜 보완과정을 거쳐 수정하여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저자는 동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과거의 정보를 좀더 알기 쉽게 전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 책을 번역했다고 설명한다. 그렇기에 이런 내용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소개하고, 전공자들에게 논리의 근거가 되는 적확한 일차 사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성도 담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역관상언등록』은 국어학, 사학, 문헌학, 번역학, 한문학 등 여러 학과에서 연구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는 사료다. 예컨대 국어학에서는 이두, 사학에서는 역관, 문헌학에서는 등록에 대한 서지 정보, 번역학에서는 역사 사료 번역에 대한 비평, 한문학에서는 중국 및 일본의 한자와 우리 한자를 비교 연구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조선 중기의 우리말 어휘, 이두의 변천사, 역관의 위상과 활동 범위, 사료 번역에 대한 비평, 상언과 등록이라는 기록물 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다.
『역관상언등록』에 나오는 한문은, 그간 우리가 배웠던 한문과 구조가 다르고 이두를 포함하고 있어서 마치 처음 보는 낯선 문자처럼 느껴질지 모른다. 그렇기에 저자는 얼마나 가치 있는 사료인지 판단이 잘 서지 않았고, 각 분야의 원로 선생님들과 전공자들을 찾아다니며 가르침을 청했다. 연구실로, 도서관으로, 박물관으로, 규장각으로 사료와 논문을 찾아 돌아다니며 확인하고, 묻고 고민하며 번역문을 다듬어 자료로서의 꼴을 갖춰가는 데 많은 공력을 들였다.
국어학, 사학, 문헌학, 번역학, 한문학 등 여러 연구의 실마리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공자는 물론 관심 있는 일반 독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아울러 읽는 재미를 높이기 위해 여러 역사적 사건도 중간중간 삽입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역주를 읽기 전에 알아두면 좋을 사전 지식이 담겨 있는데, 시대 배경과 함께 역관들의 상언과 관련된 용어 설명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석사 학위 논문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고, 주석을 쉽게 풀어서 [문건의 개요와 해설]에 실었다.
제3부는 『역관상언등록』에 실린 이두를 글자 수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사전처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구성했는데, 한 땀 한 땀 바느질을 하듯이 정리하면서 이두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두는 우리말 어휘를 연구하는 데 아주 중요한 키워드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제4부는 이 책을 번역한 후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한 편의 논문으로 작성한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는 『역관상언등록』의 사료적 가치를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역관들이 현장에서 업무상 발생한 애로 사항과 담당자로서의 소견, 처지에 대한 의견을 기록한 사료라는 점, 둘째 17세기 역관의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점을 꼽는다. 셋째 여러 사료와 비교해보고 서로 보완해줄 수 있는 사료로서, 넷째 조선 시대 문서 행정의 절차를 알 수 있는 사료로서, 다섯째 등록이란 전대(前代)의 사례를 참고삼아 보려고 베껴놓은 등록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연구 영역을 넓히는 후속 과제에 관한 전망과 포부를 밝히고 있다. 『역관상언등록』은 형태서지학적 접근과 번역만이 아니라 사학, 고문서학, 국어학 등에서 좀더 깊이 있게 접근돼야 할 문건이다. 기초 자료로 삼아서 역관, 상언, 등록, 이두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에 새로운 내용을 보태어 영역을 넓히는 것이다. 또한 관련된 사료를 찾는 일도, 등록한 날짜도 중요하다. 현재는 ‘두주(頭註)’, ‘서제(書題)’라고 불리는 서미에 달린 ‘글’도 앞으로는 적당한 용어를 붙여야 함을 강조한다. 끝으로 『역관상언등록』의 문건이 끝나는 1692년(숙종 18) 이후 역관들의 인사에 관련한 문건과 역관들의 상언이 실린 사료를 발굴해 연구해보고 싶은 포부를 밝히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역관상언등록』 소개
0. 개관
1. 시대 배경
2. 역관의 세계
3. 상언과 등록
4. 서지학 정보
제2부 『역관상언등록』 번역
0. 번역 목적과 방법
1. 인조 시대 28건
2. 효종 시대 7건
3. 현종 시대 9건
4. 숙종 시대 21건
제3부 『역관상언등록』 이두
0. 이두 용례를 살펴보기 전에
1. 이두 용례
제4부 『역관상언등록』 분석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