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56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5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서의 특징】
德의 기본은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는 것이 좁고 얕을지라도 그동안 쌓은 것을 기록하고 나누어 초입의 안개에 갇힌 막막한 이들이 덜 고단하고 좀 더 쉬이 가는 데 미약한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용기가 되어 도전을 시작하였습니다. 꽤나 긴 기간 그러니까 2007년 초겨울에 시작하여 이제야 일단의 마무리에 도착했습니다. 짧은 기간에 마무리할 수 있었지만 삶 속에서 만 가지 일들이 벌어지니 지지부진하였습니다. 다행히도 늘어진 시간만큼 경험도 많아지고 관련 분야를 더 공부할 수 있어 내실이 나름 튼실해졌습니다.
저는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투입산출팀에 신입행원으로 배치받은 이후 여러 차례 다른 부서에 발령 났다가도 빛은 안 나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업무라는 저의 의지와 조직의 배려로 투입산출팀에 복귀하여 19년 반이라는 기간을 보냈습니다. 그동안 네 번의 실측 산업연관표 작업을 통해 산업연관표와 국민계정체계에 대한 지식의 확장과 강화 그리고 매년 산업연관표와 공급사용표의 새로운 시도를 경험하는 등 치열함과 우아미가 넘치는 직장생활을 했습니다.
본 책자는 총 일곱 개의 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 제3장까지는 산업연관표에 대한 것이 주 내용을 이루고 제4장부터는 산업연관분석과 관련한 다양한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장에서는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국민계정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사회발전은 한 분야의 독보적 주도가 아니라 모든 분야가 어깨를 함께 결었기 때문이며 국민계정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또 다른 인생과업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제2장에서는 산업연관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분석모형만큼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장에서는 산업연관표 이용에 필요한 개념, 용어 그리고 부문분류의 통합 문제도 다루었고 우리나라 산업연관표의 변천사도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변천사를 이 장에서 소개한 이유는 장기 시계열로 산업연관분석을 할 경우 산업연관표 구조와 부문분류의 일관성과 정합성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내용의 방대함으로 세밀하게 소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제3장에서는 행렬로 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행렬대수학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SAS/IML을 간단히 소개하였습니다. SAS를 이용할 수 없는 독자들을 위해서는 엑셀을 이용하는 방법을 부록에 소개하였습니다.
‣제4장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인 투입계수와 생산 유발계수 그리고 부가가치, 수입, 노동유발계수를 설명하였습니다. 이 장에서 설명한 개념은 이후 장에서 설명된 여러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산업연관분석 경험이 많지 않은 독자들은 제2장과 함께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산업연관분석은 선택에 적정하고 다부문으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제5장에서는 다양한 산업연관분석모형을 본격적으로 소개하였는데, 무엇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비나 투자와 같은 외생변수에 주어진 충격이 생산, 부가가치, 수입 그리고 노동을 얼마만큼 유발하였는지를 측정하는 분석이 주로 이루어져 산업연관분석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장에서 소개한 모형 중에 소비내생화모형은 아직 통계가 미비한 면이 있어 활용에 한계가 있지만 산업연관분석모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산업 상호 간에 갖고 있는 연결성을 그래픽으로 분석하는 방법도 소개하였는데, 이는 부문 간의 네트워크를 그래픽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픽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이용 방법은 부록에 예를 통해 소개하였습니다.
‣제6장에서는 지역산업연관표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세계산업연관표와 이를 이용 하여 글로벌 가치사슬(GVCs)과 부가가치 기준 무역(TiVA)을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행렬 계산 과정에 있는 각 원소를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깊게 다루었는데 일부분에 있는 중언은 이해를 조금이라도 높이고자 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제7장에서는 산업연관표의 용도가 크게 확장되고 있는 분야인 에너지와 환경과 결합한 에너지 투입산출모형과 환경 산업연관분석을 설명하였습니다. 여기에서는 에너지와 환경 산업연관분석에서 사용하는 기호를 이용하였는데 관련 분야의 논문 참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부록에는 제5장에서 소개하지 못하거나 더 설명이 필요한 내용으로 되어있습니다. 특히 부록 D와 E에서는 사회계정행렬과 산업연관표를 연장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사회계정행렬의 경우에는 작성된 결과를 국민계정 틀 내에서 해석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왜냐하면 사회계정행렬도 국민계정체계 내에서 작성되는 산업연관표, 국민소득, 국제수지 등 여러 경제 자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해석에 일관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德의 기본은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는 것이 좁고 얕을지라도 그동안 쌓은 것을 기록하고 나누어 초입의 안개에 갇힌 막막한 이들이 덜 고단하고 좀 더 쉬이 가는 데 미약한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용기가 되어 도전을 시작하였습니다. 꽤나 긴 기간 그러니까 2007년 초겨울에 시작하여 이제야 일단의 마무리에 도착했습니다. 짧은 기간에 마무리할 수 있었지만 삶 속에서 만 가지 일들이 벌어지니 지지부진하였습니다. 다행히도 늘어진 시간만큼 경험도 많아지고 관련 분야를 더 공부할 수 있어 내실이 나름 튼실해졌습니다.
저는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투입산출팀에 신입행원으로 배치받은 이후 여러 차례 다른 부서에 발령 났다가도 빛은 안 나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업무라는 저의 의지와 조직의 배려로 투입산출팀에 복귀하여 19년 반이라는 기간을 보냈습니다. 그동안 네 번의 실측 산업연관표 작업을 통해 산업연관표와 국민계정체계에 대한 지식의 확장과 강화 그리고 매년 산업연관표와 공급사용표의 새로운 시도를 경험하는 등 치열함과 우아미가 넘치는 직장생활을 했습니다.
본 책자는 총 일곱 개의 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 제3장까지는 산업연관표에 대한 것이 주 내용을 이루고 제4장부터는 산업연관분석과 관련한 다양한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장에서는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국민계정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사회발전은 한 분야의 독보적 주도가 아니라 모든 분야가 어깨를 함께 결었기 때문이며 국민계정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또 다른 인생과업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제2장에서는 산업연관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분석모형만큼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장에서는 산업연관표 이용에 필요한 개념, 용어 그리고 부문분류의 통합 문제도 다루었고 우리나라 산업연관표의 변천사도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변천사를 이 장에서 소개한 이유는 장기 시계열로 산업연관분석을 할 경우 산업연관표 구조와 부문분류의 일관성과 정합성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내용의 방대함으로 세밀하게 소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제3장에서는 행렬로 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행렬대수학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SAS/IML을 간단히 소개하였습니다. SAS를 이용할 수 없는 독자들을 위해서는 엑셀을 이용하는 방법을 부록에 소개하였습니다.
‣제4장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인 투입계수와 생산 유발계수 그리고 부가가치, 수입, 노동유발계수를 설명하였습니다. 이 장에서 설명한 개념은 이후 장에서 설명된 여러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산업연관분석 경험이 많지 않은 독자들은 제2장과 함께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산업연관분석은 선택에 적정하고 다부문으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제5장에서는 다양한 산업연관분석모형을 본격적으로 소개하였는데, 무엇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비나 투자와 같은 외생변수에 주어진 충격이 생산, 부가가치, 수입 그리고 노동을 얼마만큼 유발하였는지를 측정하는 분석이 주로 이루어져 산업연관분석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장에서 소개한 모형 중에 소비내생화모형은 아직 통계가 미비한 면이 있어 활용에 한계가 있지만 산업연관분석모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산업 상호 간에 갖고 있는 연결성을 그래픽으로 분석하는 방법도 소개하였는데, 이는 부문 간의 네트워크를 그래픽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픽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이용 방법은 부록에 예를 통해 소개하였습니다.
‣제6장에서는 지역산업연관표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세계산업연관표와 이를 이용 하여 글로벌 가치사슬(GVCs)과 부가가치 기준 무역(TiVA)을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행렬 계산 과정에 있는 각 원소를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깊게 다루었는데 일부분에 있는 중언은 이해를 조금이라도 높이고자 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제7장에서는 산업연관표의 용도가 크게 확장되고 있는 분야인 에너지와 환경과 결합한 에너지 투입산출모형과 환경 산업연관분석을 설명하였습니다. 여기에서는 에너지와 환경 산업연관분석에서 사용하는 기호를 이용하였는데 관련 분야의 논문 참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부록에는 제5장에서 소개하지 못하거나 더 설명이 필요한 내용으로 되어있습니다. 특히 부록 D와 E에서는 사회계정행렬과 산업연관표를 연장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사회계정행렬의 경우에는 작성된 결과를 국민계정 틀 내에서 해석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왜냐하면 사회계정행렬도 국민계정체계 내에서 작성되는 산업연관표, 국민소득, 국제수지 등 여러 경제 자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해석에 일관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목차
CHAPTER 1 산업연관분석의 의의와 역사
CHAPTER 2 산업연관표 구조와 우리나라 산업연관표의 변천사
1. 산업연관표의 정의
2. 주요 용어에 대한 이해
3. 공급사용표와 투입산출표
4. 투입산출표의 구분
5. 산업연관표와 GDP의 관계
6. 부문분류 통합
7. 우리나라 산업연관표의 변천사
CHAPTER 3 행렬 연산의 기초와 SAS/IML을 이용한 연산
1. 행렬대수학 기초
2. SAS/IML 사용 방법 개관
CHAPTER 4 산업연관분석의 기초
1. 투입계수
2. 생산유발계수
3. 호킨스-사이몬 조건
4. 생산유발계수표의 종류
5. 부가가치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노동유발계수
CHAPTER 5 산업연관분석의 확장
1. 전후방연쇄효과 분석
2. 핵심 부문의 선정
3. 산출 변동요인분해
4. 소비 내생화
5. 배분계수와 공급 측 산업연관모형
6. 외생화모형
7. 가격파급효과
8. 변동투입산출모형
9. 재분배행렬을 이용한 외부확산효과
10. 고용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
11. 부문 간 네트워크분석
12. 구조경로분석
CHAPTER 6 지역산업연관표와 세계산업연관표
1. 지역산업연관표
2. 세계산업연관표
3. 글로벌 가치사슬 GVC 과 부가가치 기준 무역 TiVA
4. 수직 분업화와 VAX 비율
5. 특정 국가의 산출 변동이 다른 국가의 경제에 미치는 효과
6. 다지역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요인분해모형 (M&Q모형)
CHAPTER 7 에너지와 환경 산업연관분석
1. 에너지 투입산출모형
2. 환경 산업연관분석
APPENDIX 부록
A. 승수곱셈행렬 MPM: Multiplier Product Matrix
B. Excel을 이용한 생산유발계수 계산 방법
C. Gephi를 이용한 부문 간 연계성의 그래프 작성 방법
D. 사회계정행렬 SAM: Social Accounting Matrix
E. 산업연관표 연장 기법
F. 공급사용표의 투입산출표로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