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산업혁명으로 세계사를 읽다

저자
김명자
발행사항
서울 : 까치글방, 2019
형태사항
591 p. : 그림 ;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573-579)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32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3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4차 산업혁명의 시대,
기술 혁신의 대전환기를 어떻게 도약의 기회로 삼을 것인가?
세계사를 중심으로 미래의 발전 방향을 파악하다!


근대사에서 산업혁명에 앞장선 국가가 세계사의 주역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의 개방과 혁신은 불가결의 요소였다는 것, 또한 혁신이 최고의 가치가 되는 분야가 바로 과학기술이고 과학기술 혁신이 국가 경제와 사회발전의 동력이 되었다는 것, 산업혁명기에는 그 차수가 높아질수록 국가 간이나 개인 간의 빈부격차가 벌어져서 이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국제적,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심화된다는 것, 날이 갈수록 융합에 의한 혁신이 대세를 이루며 상시적인 혁신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핵심기술 간의 융합으로 새로운 기술이 창출되는 것에서 나아가 과학기술과 다른 분야 사이의 융합이 중요해진다는 것 등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_저자의 “들어가며” 중에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이자 환경부 장관을 역임한 김명자 교수(화학 전공)가 산업혁명으로 근대 세계사를 파악할 수 있는 책을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1-4차 산업혁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하는 이 책은 세계사의 전반적인 흐름은 물론이고 각 산업혁명을 주도한 선구적인 인물들까지 전부 만나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산업혁명에 관한 정의를 시작으로 하여 각 산업혁명의 키워드를 제시하고 그 시기에 발생한 사건들을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산업혁명이 어떻게 세계를 변화시켜왔는지를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당시 인물들의 개인사와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에피소드가 더해져 더욱 풍성한 이야깃거리를 제공한다. 독자들은 한 권의 책을 통해서 산업혁명의 역사를 파악하고 그 안에서 세계사의 위대한 여정을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내용

『산업혁명으로 세계사를 읽다』는 네 번의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세계사의 흐름을 파악한다. 제1장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산업혁명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의를 시작으로 인류 문명의 역사 속에서 일어난 세 차례의 산업혁명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설명한다. 제2장 “1차 산업혁명, 영국에서 비롯되어 세상을 바꾸다”에서는 1차 산업혁명이 왜 일어났는지, 무엇이 산업혁명을 선도했는지, 그리고 1차 산업혁명이 대학과 노동 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해서 다룬다. 제3장 “2차 산업혁명과 현대 산업사회의 탄생”에서는 187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진행된, 새로운 문명 형태인 현대 산업사회를 탄생시킨 2차 산업혁명을 분석하는 것은 물론, 2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배경과 핵심 산업을 다루고, 사회적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왔고 무엇을 발명했는지에 관해서 이야기한다. 제4장 “20세기 양차 세계대전과 경제공황”은 전쟁으로 얻을 것이 없는 상황에서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의 소용돌이에 왜 그렇게 많은 나라들이 휘말리게 되었는지 분석하고, 이와 함께 산업혁명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경제 대공황이 닥친 이유에 관해서 알아본다. 제5장 “3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 혁명으로 새로운 세상을 열다”에서는 3차 산업혁명의 기술적인 동인에 관해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20세기 후반의 인류사회는 하나의 문명이 마감되고 새로운 문명이 열리는 대전환기를 맞았는데, 그 변화의 동인이 과학기술혁명이었으며 그 중심에 정보기술혁명이 있었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에서는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전망을 내놓는다. 저자는 4차 산업혁명의 동인으로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기반의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로봇, 드론, 블록체인, 가상현실 등을 중심으로 기술과 산업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융합혁신으로 꼽는다.

저자는 산업혁명을 통해 세계사를 총체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1차 산업혁명에서부터 4차 산업혁명까지의 사건들을 구체적이면서도 간결하게 설명한다.
1차 산업혁명은 1760년 영국에서 비롯되어 1830년까지 이어진 큰 변화로, 석탄, 증기기관, 직물산업, 도로와 운하, 코크스 제철법, 철도 등이 그 당시의 기술적인 혁신으로 꼽힌다. 1차 산업혁명을 선도한 대표적인 산업은 직물 분야였다. 중개인들이 농가에 원료와 기계를 빌려주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플라잉 셔틀, 스피닝 제니 등이 개발되면서 직물 생산량이 급증함으로써 직물산업이 성장하게 되었다. 수송수단의 혁신 또한 산업혁명을 이루는 데에 한몫했다. 초기 수송은 운하와 도로가 중심이 되었으며, 운하가 완성되면서 운임은 10분의 1로 줄어들었고 산업혁명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고압 증기선과 철도가 확장되면서 원료와 공산품 수송도 활기를 띠었다.

1차 산업혁명의 뒤를 이어 187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2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문명 형태인 현대 산업사회가 탄생했다. 2차 산업혁명은 19세기 중반 독일에서 염료를 인공합성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세기 이전의 화학기술은 경험적인 지식에 의존했으나 근대 화학의 이론 체계와 새로운 방법론이 등장하고 장치가 혁신을 이루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후 양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최강국으로 우뚝 선 미국을 중심으로 철도, 강철, 정유, 전기, 자동차, 통신 분야가 혁신되고 1차 산업혁명을 이끈 영국은 독일과 미국에게 주도권을 내어주게 되었다.

1970년대 이후 전개된 3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 혁명으로, 전기통신 분야와 컴퓨터 기술이 융합되고 사회문화적 변동이 일어나면서 제조업은 물론 일상생활의 디지털화를 촉발했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전 세계의 소식이 각 가정에 실시간으로 전달되기 시작했으며, 2차 산업혁명기에 대기업이 혁신을 주도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3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소규모 벤처 기업이 새로운 혁신 주체로 부상했다. 또한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3차 산업인 서비스 산업이 성장했으며, 사람과 자본, 상품, 서비스, 노동이 장벽 없이 유통되는 시대가 열렸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로봇, 드론, 블록체인 등이 주도하는 산업혁명으로, 기술혁신과 사회경제적 요소가 동인으로 작용한다. 4차 산업혁명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초연결성에 기반을 둔 플랫폼 기술로, 2020년까지 인터넷 플랫폼 가입자 30억 명이 500억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상호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자는 공유경제와 온디맨드(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제품을 제공하는 전략) 경제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서비스가 부상하고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등의 시장이 빠르게 열릴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세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그 과정을 생생하게 추적해나간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관점에서 촘촘하게 세계사를 재구성한 이 책은 독자들에게 역사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과학계에 오랜 기간 몸담은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서 독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래를 전망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미디어 소개]
☞ 중앙일보 2019년 10월 31일자 기사 바로가기
☞ 조선일보 2019년 11월 2일자 기사 바로가기
☞ 중앙선데이 2019년 11월 2일자 기사 바로가기
☞ 한국일보 2019년 10월 31일자 기사 바로가기
☞ 국민일보 2019년 11월 2일자 기사 바로가기
☞ 뉴스1 2019년 11월 4일자 기사 바로가기
☞ 아시아투데이 2019년 11월 1일자 기사 바로가기
☞ 헬로디디 2019년 10월 29일자 기사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2019년 10월 28일자 기사 바로가기
☞ 환경일보 2019년 10월 25일자 기사 바로가기
☞ 경향신문 2019년 11월 1일자 기사 바로가기
☞ 연합뉴스 2019년 10월 29일자 기사 바로가기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제2장 1차 산업혁명, 영국에서 비롯되어 세상을 바꾸다 1. 1차 산업혁명의 전개 2. 1차 산업혁명과 대학, 그리고 노동 현장 3. 1차 산업혁명이 낳은 새로운 이즘의 출현 제3장 2차 산업혁명과 현대 산업사회의 탄생 1. 2차 산업혁명의 서막 2. 미국 2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배경 3. 2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 4. 2차 산업혁명과 사회적 변화 5. 2차 산업혁명의 그늘 6. 2차 산업혁명기의 신발명 제4장 20세기 양차 세계대전과 경제공황 1. 제1차 세계대전(1914-1919) 2. 1930년대 경제 대공황과 뉴딜 정책 3.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의 전개와 결말 4.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새로운 국제질서 제5장 3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 혁명으로 새로운 세상을 열다 1. 3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동인 2. 3차 산업혁명기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전개 제6장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동력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변화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이슈들 4.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새로운 인재 5.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적재산권과 특허권의 재조명 6. 새롭게 등장하는 자본주의 유형 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전과 과제:수정자본주의의 미래 8. 기술 진화의 특성과 전망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