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52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52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만일, ‘전국 대정전’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일이 우리 주위에 가득하다!
‘전국 대정전’이란, 행정용어로는 ‘전계통 정전’, 조금 쉽게 설명하자면 대한민국 전역에 전기 공급이 끊기는 상황을 말한다. 만약 이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전기가 다시 공급되는 데는 얼마나 걸리나? 이 부분에서 작가의 말을 조금 인용하자면, 한마디로 “답 없다, 복구 불가능하다”.
《당인리: 대정전 후 두 시간》은 대한민국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재난 중 가장 절망적인 상황을 예견하고 쓴 작품이다. 국가별로 전기를 송전 또는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유럽이나, 전기 생산과 공급의 지자체별 자급이 가능한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이기 때문에, 한국전력공사 본사가 있는 나주에 지진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대한민국 전체 전기가 꺼지는 재앙이 벌어진다. 작가는 이러한 재난 상황 속에서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한 대한민국 행정 시스템의 무기력함과, 언제나 그랬듯이 이를 극복하려는 시민 개개인의 노력을 적나라하게 또는 현실감 있게 그려냈다. 마치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과 연대가 그러하듯이, 이 소설에서도 분노와 위로가 동시에 그려질 수밖에 없는 현실은 여전히 안타깝다.
끝없이 이어지는 대정전의 후폭풍
대한민국을 떠받치는 모든 시스템의 붕괴
한전 본사가 있는 나주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고, 동시에 중앙급전소가 붕괴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은 어둠 속으로 가라앉았다. 처음에는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저 잠시 정전이 된 것이고, 몇 분 후면 다시 불이 들어올 것이라 여겼다. 하지만 미리 사태를 예견하지 못한 정부는 아무런 대비책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오히려 대규모 소요 사태를 예상하고, 현재 유일하게 전기가 들어오는 제주도로 급히 탈출했다.
전기가 끊어지자, 통신이 단절됐고, 각 시?도별 지자체는 중앙과 분리된 채 고립되었다. 신호등이 꺼지자, 도로는 마비되었고, 사람들은 도로에 차를 버려둔 채 집으로 향했다. 엘리베이터가 멈춰 고층 아파트에 고립된 사람들은 답답한 마음에 초 등을 이용해 불을 밝히다 화재로 이어졌다. 소방차가 출동했지만, 펌프에 전기 공급이 끊어진 소화전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았다. 재난 주관 방송국은 갑자기 끊어진 전기에 방송을 송출할 수 없었고, 사람들은 현 재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일상 곳곳에 버려졌다.
단순히 전기가 끊어진 상황이 아니라, 모든 시스템이 멈추고 붕괴된다. ‘전계통 정전’이라는 용어가 이해되는 순간이다.
경험이 만들어낸 상상 가능한 공포
당인리는 우리가 바란 희망에 가장 가까운 공간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인근에 위치한 당인리 발전소는 실제로 존재하는 시설이다. 작가는 이곳을 거점으로 삼고, 모든 기능이 꺼져버린 대한민국을 깨우는 작전을 설계한다. 송도의 LNG 기지와 목동의 열병합발전소 그리고 당인리 발전소의 송전 라인을 복구하는 것이 그 첫 번째 단계다.
실제로 작가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근무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국책사업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 때문에 이 절망적 재난 상황을 먼저 상상할 수 있었고, 그에 대한 대비책 그리고 복구와 회복에 대한 희망을 소설에 기대 서술할 수 있었다. 또한, 당인리 발전소에 모여 ‘대한민국 리부팅’을 위해 목숨을 걸고 사투를 벌인 소설 속 이현주, 강선아, 하누리, 신동호, 한정건 등은 작가가 바라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우리와 함께 모든 재난을 극복해나갈 가족이자, 동료, 국가의 모습일 것이다. 이 소설이 좀 더 많은 독자의 공감을 살 수 있다면, 그것은 오롯이 작가가 바란 희망과 연대가 보다 명확한 실체가 되어간다는 증거가 아닐까.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일이 우리 주위에 가득하다!
‘전국 대정전’이란, 행정용어로는 ‘전계통 정전’, 조금 쉽게 설명하자면 대한민국 전역에 전기 공급이 끊기는 상황을 말한다. 만약 이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전기가 다시 공급되는 데는 얼마나 걸리나? 이 부분에서 작가의 말을 조금 인용하자면, 한마디로 “답 없다, 복구 불가능하다”.
《당인리: 대정전 후 두 시간》은 대한민국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재난 중 가장 절망적인 상황을 예견하고 쓴 작품이다. 국가별로 전기를 송전 또는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유럽이나, 전기 생산과 공급의 지자체별 자급이 가능한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이기 때문에, 한국전력공사 본사가 있는 나주에 지진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대한민국 전체 전기가 꺼지는 재앙이 벌어진다. 작가는 이러한 재난 상황 속에서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한 대한민국 행정 시스템의 무기력함과, 언제나 그랬듯이 이를 극복하려는 시민 개개인의 노력을 적나라하게 또는 현실감 있게 그려냈다. 마치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과 연대가 그러하듯이, 이 소설에서도 분노와 위로가 동시에 그려질 수밖에 없는 현실은 여전히 안타깝다.
끝없이 이어지는 대정전의 후폭풍
대한민국을 떠받치는 모든 시스템의 붕괴
한전 본사가 있는 나주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고, 동시에 중앙급전소가 붕괴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은 어둠 속으로 가라앉았다. 처음에는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저 잠시 정전이 된 것이고, 몇 분 후면 다시 불이 들어올 것이라 여겼다. 하지만 미리 사태를 예견하지 못한 정부는 아무런 대비책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오히려 대규모 소요 사태를 예상하고, 현재 유일하게 전기가 들어오는 제주도로 급히 탈출했다.
전기가 끊어지자, 통신이 단절됐고, 각 시?도별 지자체는 중앙과 분리된 채 고립되었다. 신호등이 꺼지자, 도로는 마비되었고, 사람들은 도로에 차를 버려둔 채 집으로 향했다. 엘리베이터가 멈춰 고층 아파트에 고립된 사람들은 답답한 마음에 초 등을 이용해 불을 밝히다 화재로 이어졌다. 소방차가 출동했지만, 펌프에 전기 공급이 끊어진 소화전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았다. 재난 주관 방송국은 갑자기 끊어진 전기에 방송을 송출할 수 없었고, 사람들은 현 재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일상 곳곳에 버려졌다.
단순히 전기가 끊어진 상황이 아니라, 모든 시스템이 멈추고 붕괴된다. ‘전계통 정전’이라는 용어가 이해되는 순간이다.
경험이 만들어낸 상상 가능한 공포
당인리는 우리가 바란 희망에 가장 가까운 공간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인근에 위치한 당인리 발전소는 실제로 존재하는 시설이다. 작가는 이곳을 거점으로 삼고, 모든 기능이 꺼져버린 대한민국을 깨우는 작전을 설계한다. 송도의 LNG 기지와 목동의 열병합발전소 그리고 당인리 발전소의 송전 라인을 복구하는 것이 그 첫 번째 단계다.
실제로 작가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근무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국책사업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 때문에 이 절망적 재난 상황을 먼저 상상할 수 있었고, 그에 대한 대비책 그리고 복구와 회복에 대한 희망을 소설에 기대 서술할 수 있었다. 또한, 당인리 발전소에 모여 ‘대한민국 리부팅’을 위해 목숨을 걸고 사투를 벌인 소설 속 이현주, 강선아, 하누리, 신동호, 한정건 등은 작가가 바라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우리와 함께 모든 재난을 극복해나갈 가족이자, 동료, 국가의 모습일 것이다. 이 소설이 좀 더 많은 독자의 공감을 살 수 있다면, 그것은 오롯이 작가가 바란 희망과 연대가 보다 명확한 실체가 되어간다는 증거가 아닐까.
목차
1장: 행복과 희망은 같이 다니지 않는다
2장: 세상은 어지간해서 좋아지지 않는다
3장: 그날, 기다려도 전기는 오지 않는다
4장: 새로운 역사는 로컬에서
5장: 중앙정부 시설물 탈취
6장: 각자도생, 로컬에서
7장: 대한민국 파워 리부팅 1
8장: 대한민국 파워 리부팅 2
에필로그 _세영의 인터뷰를 마치며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