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KIEI세미나 2022-56
에너지 신사업 및 섹터커플링·연계사업 최신분석과 미래전망 202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810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810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 에너지 신사업 및 신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동향 및 R&D 정책방향
1. 에너지가격과 에너지안보
-국제유가 동향 및 전망
-국내 전력시장, 발전설비, 재생에너지 등 현황
2. 에너지 신산업 글로벌시장 동향
-(에너지 신산업) 에너지소비 변화+섹터커플링+ICT 융합
-(글로벌 동향) 디지털에너지, 전력서비스, 분산에너지 등
3. 에너지 신산업 R&D 정책방향
-계통안정화, 유연자원, 통합발전소(VPP), 그리드포밍, 전기차 충전인프라,
AC/DC Hybrid, 해상변전소, 사용후배터리 활용 및 재자원화
◈ RE100 이행지원 및 재생에너지 보급ㆍ사용 확대를 위한 新전기신사업 제도 소개
-재생에너지전기공급사업 (직접PPA)-
1. 배경 및 개요
2. 거래구조
3. 참여자격 및 절차
4. 제도운영
5. 특징 및 비교
◈ 재생E연계 그린수소 생산 기술 및 실증
1. 수전해 기술개발 동향
2. 수소에너지연구실 수전해 기술 연구개발 현황
◈ 섹터커플링의 개념과 역할
1. 섹터커플링의 개념
2. 섹터커플링의 전력계통 기여도 분석
3. 섹터커플링의 탄소중립 기여도 분석
◈ 에너지 안보와 기상재해에 복원력 있는 에너지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섹터커플링과 AI
1. 탄소중립을 향한 에너지시스템
2. 글로벌 에너지시스템 도전과제
3. 섹터커플링의 필요성과 복원력의 도전과제
4. 복원력 있는 섹터커플링을 위한 인공지능(AI)
◈ 섹터커플링의 핵심수단/연관사업 적용방안 및 모델링과 다양한 측면에서의 역할 제고
1. 섹터커플링 배경 : 전력시스템 변화
2. 섹터커플링에 대한 다양한 정의
3. 섹터커플링에 대한 여러 관점
4.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한 섹터커플링
-Power to heat
-Power to mobility
5. 섹터커플링을 위한 시장제도
◈ 섹터커플링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전기차 충전 서비스(P2M, V2G) 기술 전략과 서비스 사례
1.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
2. 전국 발전원별 실시간 전력공급현황
3.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과 충전시설 동향
4. Vehicle to Grid (V2G)
5. 글로벌 시장이 인정하는 E-Mobility Solution Provider
6. 전기차 충전기의 수요자원 가치 입증
7.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섹터커플링 – P2M (Power-to-Mobility) 프로젝트
◈ 섹터커플링 최적화를 위한 히트펌프, 전기보일러 등의 열생산ㆍ저장(P2H) 필요성 및 기술동향
1. P2H 기술 개요 및 필요성
2. P2H 기술 동향
3. P2H 연구 동향
4.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