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원자력발전 관련 산업현황과 실태분석 및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시장전망

발행사항
서울 : 지식산업정보원, 2015
형태사항
615 p. : 삽화, 도표 ; 30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633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63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2013년 세계 1차 에너지소비는 경제성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2.3% 증가하였으며, 이 같은 소비증대는 석유와 원자력발전, 재생에너지발전이 주도하였다. 원자력발전은 에너지 자립도가 낮고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국내 전력수요의 약 30%를 담당하는 등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원전 신규입지 확보,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 선정 등에 있어서 갈등을 겪으면서도 경제발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에 따른 전력소비량 증가에 맞추어 굳건히 원자력산업을 발전시켜 왔다.

정부는 원자력 분야의 신산업 창출을 위해 4대 전략과 10대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등 창조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발전해 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원전부품 구매시스템 개선 등 원전산업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위해 원전 관리·감독 개선방안, ‘원전산업정책협의회’의 정기적 운영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폐기물 에너지화 분야는 청정처리 및 자원 재활용 효과가 우수한 에너지원으로 단기간 내에 상용화 및 대량 보급이 가능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 조기 성과창출이 가능한 분야이기도 하다. 풍력 및 태양광 등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원의 경우 자연조건에 따라 전력생산의 변동폭이 큰 데 반해 폐기물 발생의 특성상 상당히 안정적인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는 마치 전력생산에서 원자력발전에 비유할 수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원자력발전 및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의 국내외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원자력발전 관련 산업현황과 실태분석 및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시장전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원자력발전의 실태 분석과 정책방향, 신형원전 및 원전해체 산업동향,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 후 핵연료의 주요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폐자원 에너지화 산업과 폐기물 에너지의 주요 동향 및 분야별 산업현황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Ⅰ편 원자력 발전 제1장 원자력 발전 현황 및 정책 1. 원자력 발전의 일반 동향 1) 국내외 에너지 정세 (1) 세계 에너지 동향 (2) 국내 에너지 동향 2) 원자력의 의의 (1) 원자력 일반 (2) 원자력의 기여 가. 전력 공급의 안정성 확보 나. 친환경 에너지 다. 방사선 이용을 통해 국민 보건 및 산업 수준 향상 라.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 발전 및 국가 위상 제고 3) 원자력 발전 현황 (1)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 (2) 건설 및 계획단계의 원자력 발전 (3) 신규 원자력 발전부지 4) 원자력 발전의 중장기 계획 2. 국내외 원자력 정책 방향 1) 국제 동향 (1) 국제 에너지 수급동향 (2) 해외 주요국의 에너지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프랑스 라. 영국 마. 중국 바. 러시아 사. 주요국 에너지정책 핵심 (3) 해외의 원자력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영국 라. 중국 마. 프랑스 바. 독일, 벨기에, 스위스 사. 신규 원전운영 국가 (4) 향후 원자력 이용개발 전망 (5) 국제 핵비확산 정책 동향 가. 제9차 핵비확산조약 제2차 준비위원회 나. 원자력공급국그룹 다. 국제원자력협력프레임워크 라. 북한 및 이란 핵문제 2) 국내 원자력 정책 방향 (1) 국정과제와 원자력 정책 (2) 원자력 창조경제 구현 (3) 장기 원자력발전 비중 확정 (4)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출범 (5)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시한 연기 가. 한?미 원자력협력협정의 체결 및 경과 나. 현행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 현황 다. 현행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연장 (6) 원전 수출 전략 수립 (7)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건설 추진 3. 국내외 원자력 산업 동향 1) 세계 원자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원자력 동향 가. 개요 나. 우라늄 시장 전망 다. 원자로 기술개발 동향 (2) 국가별 최신 원자력 동향 가. 원전 수출 잠재 대상국 나. 원전 운영 국가 최신 현황 2) 국내 원자력 현황 및 전망 (1) 원자력산업 현황 가. 국내 원자력 도입 나. 국내 원전 운영실적 및 현황 다. UAE 원전건설 현황 라. 방사성폐기물 처리 현황 (2) 원전산업의 향후 전망 4. 원자력 산업 분야 실태 분석 1) 원자력 산업 분야 매출액 2) 원자력 산업 분야 투자비 3) 원자력 산업 분야 인력 현황 (1) 분야별 인력 분포 현황 및 추이 (2) 직능별 인력 분포 현황 및 추이 (3) 업종별 인력 분포현황 및 추이 (4) 원자력 산업 분야 지역별 인력 분포도 4) 원자력 산업 분야 기술도입 현황 5) 원자력 산업 분야 해외 수출 계약 현황 6) 중장기 원자력분야 기술개발 현황 (1) 개요 (2) 원자력 연구개발 계획 (3) 원자력 융합원천기술 개발사업 가. 추진전략 나. 추진 기술 (4) 중장기 기술발전계획 가. 추진전략 나. 개발 계획 제2장 신형원전 및 원전해체 산업 동향 1. 신형원전 시장 및 기술 동향 1) 신형원전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2) 신형원전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2. 안전 강화 및 신형원전 설비기준 관련 사례 분석 1) 신형 원자로 개발 현황 2) 후쿠시마 원자력사고 대응전략 3) 원자력 안전 관련 국제기준 4) 해외 원자력 관련 운영규제 및 신형원전 설비기준 (1) 미국 가. 원자력 현황 나. 원자력 안전강화 정책 (2) 프랑스 가. 원자력 현황 나. 원자력 관련 운영규제 및 신형원전 설비기준 (3) 일본 가. 원자력 현황 나. 원자력 관련 운영규제 및 신형원전 설비기준 (4) 영국 가. 원자력 현황 나. 원자력 관련 운영규제 및 신형원전 설비기준 (5) 핀란드 가. 원자력 현황 나. 원자력 관련 운영규제 및 신형원전 설비기준 3. 원전해체 시장 및 기술 동향 1) 원전해체 산업 현황 및 전망 (1) 국내외 산업 현황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2) 국내외 산업 전망 2) 국내 원전해체 시장전망과 해체 핵심기술 (1) 국내 원전해체 시장 전망 (2) 해체 엔지니어링 핵심기술 가. 국내 해체 기반기술 개발 현황 나. 해체 엔지니어링 통합시스템 제3장 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관리 현황 1. 방사성폐기물 개요 1) 방사성폐기물의 정의 및 분류 (1) 방사성폐기물의 발생 (2) 현행 방사성폐기물 정의 (3) 현행 방사성폐기물의 분류 2) 방사성폐기물 관리 국제기준 (1) 방사성폐기물 처분 지침 (2) 방사성폐기물 저장 지침 2. 방사성폐기물 시장/기술/업체 동향 1) 방사성폐기물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가. 원전 방사선안전관리 나.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관리 다. 방사성폐기물 처분 (2) 국내 시장 동향 가. 원전 방사성폐기물관리 나. 원전 방사선안전관리 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관리 라. 방사성물질 처분 2) 방사성폐기물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원전 방사성폐기물관리 나. 원전 방사선안전관리 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관리 라. 방사성폐기물 처분 (2) 국내 기술 동향 가. 원전 방사성폐기물관리 나. 원전 방사선안전관리 다. 사용후핵연료 저장관리 라. 방사성폐기물 처분 3) 방사성폐기물관리 업체 현황 (1) 해외 업체 현황 (2) 국내 업체 현황 3. 국내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 현황 1) 국내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 현황 (1) 중?저준위폐기물 안전관리 (2)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 (3) 주요 원자력이용시설 가. 발전시설 나. 비발전시설 2) 국내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1)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발생 및 저장 현황 가. 발전용 원자로 나. 한국원자력연구원(운영 중 시설) 다. 한국원자력연구원(해체 시설) 라. 핵연료가공시설(한전원자력연료(주)) 마. 방사성동위원소폐기물 폐기시설 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 내 인수저장건물 사. 기타 3)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규제해제) (1) 개요 (2) 국내 자체처분 현황 4) 대형 방사성폐기물의 장기관리 4. 해외 방사성폐기물 처리 정책 및 비용 1) 미국 (1) 방사성폐기물 처리 현황 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 나. 저준위 및 기타 방사성 폐기물 (2) 방사성폐기물 처리 정책 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HLW, SNF) 나. 저준위 및 기타 방사성 폐기물 (3) 방사성폐기물 처리 비용 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 나. 저준위 및 기타 방사성 폐기물 다. 원자로 폐쇄 비용 2) 프랑스 (1) 방사성폐기물 처리 현황 및 정책 (2) 방사성폐기물 처리 비용 3) 영국 (1) 방사성폐기물 처리 현황 및 정책 (2) 방사성폐기물 처리 비용 4) 핀란드 (1) 방사성폐기물 현황 및 정책 (2) 방사성폐기물 처리 비용 5) 스웨덴 (1) 방사성폐기물 현황 및 정책 (2) 방사성폐기물 처리 비용 제4장 사용후핵연료 관리기술 현황 1. 사용후핵연료 개요 1) 사용후핵연료의 정의 2) 사용후핵연료의 특성 3) 사용후핵연료 저장 현황 2. 사용후핵연료 저장 현황 및 소재기술 동향 1)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식 및 국내외 동향 (1)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식 (2) 사용후핵연료 저장 산업 현황 (3) 국내 현황 2)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 소재 기술 동향 (1)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용기(DPC: Dual Purpose Cask)용 소재 (2) DPC용 핵심소재 요구특성 3.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기술 및 시설 현황 1)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개요 (1) 중간저장의 정의 (2) 중간저장의 필요성 가. 원전 습식저장조의 용량 포화 문제 해결 나. 해체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 문제 해결 다. 최종 관리정책 결정의 유연성 제공 (3) 중간저장 시 고려사항 가. 중간저장 방식 나. 중간저장시설의 위치 다. 정부-민간 역할 분담 2) 중간저장 기술 현황 (1) 저장기술 종류 및 특성 가. 습식저장 방식 나. 건식저장 방식 (2) 중간저장시설 유형 및 특성 가. 옥외형 저장방식(개방형) 나. 옥내형 저장방식 다. 터널저장방식 라. 매립저장방식 3) 중간저장 기술기준 및 인허가 체계 (1) 국내외 중간저장 기술기준 가. 미국 나. 일본 다. IAEA 라. 한국 (2) 중간저장 인허가 체계 가. 미국 나. 일본 다. 한국 4) 해외 중간저장시설 운영현황 (1) 미국 가. 중간저장시설 운영현황 나. 기술 동향 다. Humboldt Bay 원전 건식저장시설 라. PFS(Private Fuel Storage) 마. BRC 권고사항(Blue Ribbon Commissions) (2) 독일 가.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 나. 중간저장시설 현황 (3) 일본 가. 중간저장시설 사업추진 현황 나. 일본 무츠시(Mutsu City) 재순환 연료 저장시설 (4) 캐나다 가. 사용후핵연료 관리현황 나. 사용후핵연료 저장방식 (5) 체코 (6) 프랑스 (7) 스웨덴 4.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 현황 1)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개요 (1)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 가. 법률상 정의 나. 재처리와 재활용 기술 (2) 습식재처리와 건식재처리 가. 사용후핵연료 관리 기술 나. 사용후핵연료 습식 및 건식 재처리 기술 개요 2) 습식 재처리 기술 현황 (1) PUREX 기술 현황 가. 기술 개요 나. PUREX 시설 현황 (2) 선진 습식재처리 기술현황 가. 미국(UREX+) 나. 프랑스(COEX) 다. 일본(NEXT) 라. 선진 습식재처리 기술의 비교 3)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현황 및 향후 계획 (1) 사용후핵연료 건식 재처리 기술 가. 기술 개요 나.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개요 (2) 파이로프로세싱 기술개발 현황 가. 선진 각국의 파이로프로세싱 기술개발 현황 나. 한국의 파이로프로세싱 기술개발 현황 (3) 향후 추진계획 가. 미래 원자력시스템 개발 장기 추진계획 나. 파이로 기술개발 향후 추진 계획 (4) 고속로기술 개발 현황 가. 파이로-고속로 연계기술 개발 배경 나. 고속로 기술개발 현황 5.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 및 처분장 현황 1) 사용후핵연료 처분 개요 (1) 사용후핵연료 처분의 정의 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나. 사용후핵연료 처분 방식 (2) 사용후핵연료 심지층 처분 가. 개요 나. 심지층처분의 개념 2) 국내 처분기술 확보 현황 (1) 처분시스템 및 공학적 방벽 기술 가. 고준위폐기물 방사선원항 평가 프로그램 나.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개발 다. 처분용기 개발 라. 완충재 개발 마. 공학적 방벽 성능 현장 실증 (2) 지질환경 특성 평가기술 가. 지하연구시설 부지 수리ㆍ지화학 특성 평가 및 모니터링 나. 지질환경 조사?해석기술 개발 다. 단열암반 특성 평가의 불확실성 저감기술 개발 라. 처분 부지 산화환원 및 용질이동 특성평가 마. 지하수-공학적 방벽 복합반응 평가 (3) 처분 안전성 평가 기술 가. 처분장 안전성 평가 및 Safety Case 개발 나. 핵종이동 특성 규명기술 다. 우라늄 장기 유사거동 연구 (4) 지하처분연구시설(KURT)을 이용한 현장 검증 가. 국내 현황 나. 향후 계획 및 전망 3) 해외 처분장 추진현황 (1) 스웨덴 가. 고준위폐기물 관리현황 및 선원항 나. 처분 시스템 다. 처분 실시 체제 라. 추진 현황 (2) 프랑스 가. 고준위폐기물 관리현황 및 선원항 나. 처분 시스템 다. 처분 실시 체제 라. 추진 현황 (3) 일본 가. 고준위폐기물 관리현황 및 선원항 나. 처분 시스템 다. 처분 실시 체제 라. 추진 현황 (4) 미국 가. 고준위폐기물 관리현황 및 선원항 나. 처분 시스템 다. 처분 실시 체제 라. 추진 현황 6. 사용후핵연료 운반 기술 현황 및 사례 1) 사용후핵연료 운반 규정 (1) 국내 운반규정 (2) 해외 운반규정 2) 운반시스템 기술 현황 (1) 운반용기 개발 현황 가. 국내 현황 나. 해외 현황 (2) 수송선박 운영 현황 가. 영국 나. 프랑스 다. 스웨덴 라. 일본 3) 국내외 운반 사례 (1) 해외 운반 사례 가. 프랑스 나. 미국 다. 캐나다 (2) 국내 운반 사례 제Ⅱ편 폐기물 에너지 제1장 폐자원 에너지화 산업 현황 및 전망 1. 폐자원 에너지화 산업 개요 및 환경 분석 1) 폐자원 에너지 정의 및 특성 (1) 개념 정의 가. 폐자원의 정의 나. 폐자원 에너지 정의 다. 폐자원 에너지 기술 구분 (2) 폐자원 에너지화 산업의 특징 (3) 폐자원 에너지화 산업 구조 2)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체계도 (1)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범위 (2)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체계도 가. 고형연료화 나. 목재칩 및 펠릿 다. 열분해 유화 라. 폐기물가스화 마. 바이오가스화 바. 바이오알콜 사. 바이오디젤 3) 폐자원 에너지화 환경 분석 (1) 국내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가. 폐기물 분류 및 전국 폐기물 발생 현황 나. 폐기물 분류별 발생 및 처리현황 다. 폐자원 에너지화 가능 대상 폐기물 발생 현황 (2) 폐기물 관련 국내외 환경 변화 (3) 기타 환경 및 에너지 관련 환경 변화 (4) 국내 폐기물 정책 방향 2. 폐자원 에너지화 시장 동향 1) 국내외 폐자원 에너지화 시장 동향 (1) 세계 폐자원 에너지 시장 현황 (2) 폐자원 에너지화 산업 시장 전망 가. 해외 나. 국내 2)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분야별 시장 현황 (1) 성형 고형연료화 (2) 폐기물가스화 가. 해외 나. 국내 (3) 바이오가스화 (4) 바이오 알콜 (5) 유기성 폐자원 고체 연료화 3.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동향 1)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 필요성 2)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수준 (1) 국내 기술 수준 (2) 주요국 기술수준과의 비교 3)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현황 및 전망 (1) 성형 고형연료화 (2) 비성형 고형연료화 가. 해외 나. 국내 (3) 열분해 유화 (4) 폐기물가스화 가. 해외 나. 국내 (5) 바이오가스화 (6) 바이오 알콜 가. 해외 나. 국내 (7) 유기성 폐자원 고체연료화 4. 폐자원 에너지화 R&D 투자 동향 1) 해외 R&D 투자 동향 (1) 미국 (2) EU (3) 일본 2) 국내 R&D 투자 동향 (1) 분석 개요 (2) 분석 결과 가. 부처별/기술개발단계별 투자 현황 나. 기술분야별 투자 현황 다. 결론 5.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1) EU (2) 독일 (3) 일본 (4) 중국 2) 국내 정책 동향 (1) 폐기물 관련 정책 (2) 바이오매스에너지 보급 계획 (3) 유기성 오니의 처리 및 자원화 제2장 폐기물 에너지 주요 산업 동향 1. 폐기물 에너지 개요 및 환경 분석 1) 폐기물 에너지 정의 및 범위 (1) 폐기물 에너지 정의 (2) 폐기물 에너지 범위 (3) 주요 제품 가. 고체 연료 나. 액체 연료 다. 기체 연료 라. 소각열 2)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3)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환경 분석 (1) 정책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폐기물 에너지 시장 동향 1) 폐기물 에너지 시장 규모 및 무역 현황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3) 무역 현황 2) 폐기물 에너지 분야 범위별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가.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나. 열분해 유화분야 다. 폐기물 가스화분야 라. 소각열 이용분야 (2) 국내 시장 동향 가.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나. 열분해 유화분야 다. 폐기물 가스화분야 라. 소각열 이용분야 3. 폐기물 에너지 업체 및 R&D 동향 1) 폐기물 에너지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업체 동향 2) 폐기물 에너지화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4.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1)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가. 유럽 나. 일본 다. 미국 (2) 열분해 유화분야 (3) 폐기물 가스화분야 가. 유럽 나. 일본 (4) 소각열 이용분야 가. 미국 나. 일본 2)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 (1)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2) 열분해 유화분야 (3) 폐기물 가스화분야 (4) 소각열 이용분야 3) 국내 기술 수준 5. 폐기물 에너지 분야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6. 폐기물 에너지 보급 현황 1) 해외 보급 현황 (1)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가. 유럽 나. 일본 다. 미국 (2) 열분해 유화분야 (3) 폐기물 가스화분야 (4) 소각열 이용분야 2) 국내 보급 현황 (1)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2) 열분해 유화분야 (3) 폐기물 가스화분야 (4) 소각열 이용분야 제3장 폐기물 에너지 분야별 현황 분석 1. 폐기물 고형연료 현황 분석 1) 폐기물 고형연료의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특징 및 구조 2) 폐기물 고형연료 시장 및 업체 동향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업체 및 제품 현황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3) 폐기물 고형연료 제품의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2. 폐기물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현황 분석 1) 폐기물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의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특성 및 구조 2) 폐기물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시장 및 업체 동향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업체 및 제품 현황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3) 폐기물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폐기물 합성가스 현황 분석 1) 폐기물 합성가스의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특징 및 구조 2) 폐기물 합성가스 시장 및 업체 동향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업체 및 제품 현황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3) 폐기물 합성가스 제품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4. 폐기물 합성가스 제조시스템 현황 분석 1) 폐기물 합성가스 제조시스템의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특징 및 구조 2) 폐기물 합성가스 제조시스템 시장 및 업체 동향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업체 및 제품 현황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3) 폐기물 합성가스 제조 시스템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5. 소각열 회수 설비 현황 분석 1) 소각열 회수 설비의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특징 및 구조 2) 소각열 회수 설비 시장 및 업체 동향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업체 및 제품 현황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3) 소각열 회수 설비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6. 도시폐기물 에너지화를 위한 소각기술 동향 1) 도시폐기물 에너지 회수 개요 2) 도시폐기물 에너지 회수 동향 (1) 해외 동향 가. EU 나. 일본 (2) 국내 동향 3) 선진국의 에너지 회수 관련 정책 (1) 재생에너지 촉진 법령(Directives) (2) 에너지 회수 효율 가이드라인(R1)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