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Classification made simple an introduction to knowledge organis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분류란 무엇인가: 지식의 구조화와 검색에 관한 이해
- 저자
- Hunter, Eric J. | 박지영
- 발행사항
-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5
- 형태사항
- 254 p. ; 23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640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64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책 소개
문헌정보학 전공자뿐 아니라,
분류를 공부해야 하는 모두에게 교과서와 같은 책
인터넷 검색을 할 때나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을 때, 검색어를 제대로 입력하지 못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또한 검색어를 제대로 입력하고 싶지만 검색엔진이 부실하여 원하는 결과를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경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정보를 ‘찾는 자’와 ‘제공하는 자’ 모두에게 분류가 중요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비단 문헌정보학 분야뿐 아니라 정보를 다루는 분야에서, 분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코딩과 파일이나 목록의 조직, 도서관의 서가배열, 정보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분류표는 주제명의 자모순 전거 리스트나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며, 주제색인이나 정보탐색 기법에도 이용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온라인 시스템이나 웹 환경에서도 적용된다.
이 책은 지식의 구조화와 검색을 위한 분류의 기초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은 가장 기본적인 원칙부터 점진적으로 구성했다. 각 장은 다양한 유형의 분류표를 구축하는 방식과 특성에 따라 설명했으며, 단계별로 이해를 돕기 위해 사례를 제시했다. 문헌정보학 전공자뿐 아니라 효율적인 분류를 고민하는 관리자라면 이 책을 통해 분류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신간 출간의의
“방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를 적절히 분류하는 것이다”
19년간 70여 권의 책을 펴낸 화제의 인물 유영만 교수는 전공분야인 교육공학뿐 아니라 철학, 경영학, 자기개발 등 광범위한 전문지식을 자랑한다. 그는 “방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보다 이를 적절히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방대한 지식을 어떻게 실생활에 이용하는지 자신의 분류 방법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이 정보가 넘치는 시대에 분류 방법은 자신의 지식정보를 활용하는 첫걸음일 뿐 아니라, 기존의 지식을 찾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데도 필수적인 요소일 것이다.
이 책은 문헌정보학과 전공자를 위한 입문서로 더할 나위 없이 좋으며, 문헌정보학과 전공자뿐 아니라 정보관리 분야의 관리자 모두에게 최신 흐름과 사례 등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나 볼 수 있도록 쓰여졌다.
정보검색시스템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이용자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질의에 적합한 모든 자료를 찾도록 하는 것이다. 분류체계는 구체적인 특성에 따라 자료를 그룹화함으로써 이 목표를 달성한다.
여기에는 포스켓이 말한 경고가 덧붙여져야 한다. “이와 같은 우리가 선택한 특성이 이용자 요구를 만족시킨다면, 이 그룹화는 유용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조직한 정보는 도움이 아니라 방해물임이 드러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으로 분류 개념을 망라하고 있다.
문헌정보학 전공자뿐 아니라,
분류를 공부해야 하는 모두에게 교과서와 같은 책
인터넷 검색을 할 때나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을 때, 검색어를 제대로 입력하지 못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또한 검색어를 제대로 입력하고 싶지만 검색엔진이 부실하여 원하는 결과를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경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정보를 ‘찾는 자’와 ‘제공하는 자’ 모두에게 분류가 중요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비단 문헌정보학 분야뿐 아니라 정보를 다루는 분야에서, 분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코딩과 파일이나 목록의 조직, 도서관의 서가배열, 정보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분류표는 주제명의 자모순 전거 리스트나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며, 주제색인이나 정보탐색 기법에도 이용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온라인 시스템이나 웹 환경에서도 적용된다.
이 책은 지식의 구조화와 검색을 위한 분류의 기초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은 가장 기본적인 원칙부터 점진적으로 구성했다. 각 장은 다양한 유형의 분류표를 구축하는 방식과 특성에 따라 설명했으며, 단계별로 이해를 돕기 위해 사례를 제시했다. 문헌정보학 전공자뿐 아니라 효율적인 분류를 고민하는 관리자라면 이 책을 통해 분류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신간 출간의의
“방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를 적절히 분류하는 것이다”
19년간 70여 권의 책을 펴낸 화제의 인물 유영만 교수는 전공분야인 교육공학뿐 아니라 철학, 경영학, 자기개발 등 광범위한 전문지식을 자랑한다. 그는 “방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보다 이를 적절히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방대한 지식을 어떻게 실생활에 이용하는지 자신의 분류 방법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이 정보가 넘치는 시대에 분류 방법은 자신의 지식정보를 활용하는 첫걸음일 뿐 아니라, 기존의 지식을 찾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데도 필수적인 요소일 것이다.
이 책은 문헌정보학과 전공자를 위한 입문서로 더할 나위 없이 좋으며, 문헌정보학과 전공자뿐 아니라 정보관리 분야의 관리자 모두에게 최신 흐름과 사례 등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나 볼 수 있도록 쓰여졌다.
정보검색시스템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이용자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질의에 적합한 모든 자료를 찾도록 하는 것이다. 분류체계는 구체적인 특성에 따라 자료를 그룹화함으로써 이 목표를 달성한다.
여기에는 포스켓이 말한 경고가 덧붙여져야 한다. “이와 같은 우리가 선택한 특성이 이용자 요구를 만족시킨다면, 이 그룹화는 유용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조직한 정보는 도움이 아니라 방해물임이 드러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으로 분류 개념을 망라하고 있다.
목차
1 분류란 무엇인가?
2 정보시스템에서 분류의 사용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 ㆍ 데이터 처리 ㆍ 인터넷 ㆍ 주제
3 패싯분류표
기호법 ㆍ 분류절차 ㆍ 패싯분류표의 구축과 관련된 기초 과정 ㆍ 부동산 중개인의 매물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패싯분류표의 사례 ㆍ 본표 배열순서의 영향력 ㆍ 색인 및 서문 ㆍ 분류표의 완성 - 구축 절차
4 패싯분류표의 실제 사례
사례 1_ 기계용 나사의 분류 ㆍ 사례 2_ 브리슈건축분류법 ㆍ 사례 3_ CI/SfB 건설정보색인매뉴얼 및 건설정보통합분류법 ㆍ 사례 4_ 런던경영학분류법 ㆍ 사례 5_ BSO 패싯분류법 ㆍ 사례 6_ 콜론분류법
5 계층적 분류표
동위개념의 배열순서 ㆍ 패싯 결합순서 ㆍ 기호법 ㆍ 색인 ㆍ 분류 절차 ㆍ 계층분류표의 복잡성
6 열거형 계층분류표의 사례
사례 1_ 사무 조직용 분류 ㆍ 사례 2_ 길드홀 도서관의 향토자료 분류법 ㆍ 사례 3_ ACM 컴퓨팅분류법 ㆍ 사례 4_ 듀이십진분류법 ㆍ 사례 5_ 미국국회도서관분류법 ㆍ 사례 6_ BIC 주제분류법 및 BISAC 주제명표
7 열거형 분류표에 도입된 주제 합성 방식
열거형 분류표에 합성 방식을 적용한 실제 사례
사례 1_ 서지분류법 초판 ㆍ 사례 2_ 듀이십진분류법 ㆍ 사례 3_ BIC 주제분류법
8 열거형 분류표와 접목된 주제 합성 방식
사례 1_ 국제십진분류법 ㆍ 사례 2_ 서지분류법
9 분류기호
유일성 ㆍ 단순성 ㆍ 간결성 ㆍ 수용성 ㆍ 유연성 ㆍ 표현성 ㆍ 역행기호
분류기호의 실제 사례
사례 1_ 유일성 - NATO 코드체계 ㆍ 사례 2_ 단순성 - 런던교육학분류법 ㆍ 사례 3_ 간결성 - 서지분류법 ㆍ 사례 4_ 간결성 - 서지분류법 2판 ㆍ 사례 5_ 수용성 - NATO 코드체계 ㆍ 사례 6_ 수용성 - 미국국회도서관분류법 ㆍ 사례 7_ 유연성 - 런던교육학분류법 ㆍ 사례 8_ 표현성 - 건설정보통합분류법 ㆍ 사례 9_ 표현성 - 영국음악분야분류법(반대 사례) ㆍ 사례 10_ 역행기호 - 영국음악분야분류법 ㆍ 사례 11_ 역행기호 - 서지분류법 2판 ㆍ 사례 12_ 역행기호 - 듀이십진분류법
10 본표 배열순서와 패싯 결합순서
패싯공식
11 분류표에 대한 기타 특징: 패싯분류표와 열거형 분류표의 장단점 요약
총류 ㆍ 문헌근거 ㆍ 주류의 배열순서 ㆍ 개념 분류 ㆍ 패싯분류표와 열거형 분류표의 장점 및 단점 요약
12 분류와 색인어의 자모순 전거 리스트의 관계: 시소러스의 편찬
시소러스와 결합된 분류표의 사례
사례 1_ 런던교육학분류법 ㆍ 사례 2_ 시소러패싯 ㆍ 사례 3_ 런던경영학분류법 ㆍ 시소러스에서 사용하는 약어
13 탐색도구로서의 분류표
전거 리스트와 시소러스의 활용 ㆍ 불리언 탐색과 전문 데이터베이스 ㆍ 분류표 본표의 활용 ㆍ 연쇄 절차 ㆍ PRECIS 및 COMPASS ㆍ 미국국회도서관주제명표 ㆍ 다중 탐색 옵션 ㆍ 시소러스를 활용한 온라인 목록의 탐색 지원 ㆍ 분류표 전체를 이용한 탐색 ㆍ 결론
14 분류와 인터넷
탐색엔진에서 분류의 사용 - 구글과 야후 ㆍ 전통적인 방식의 분류표의 활용 ㆍ 온라인 열람목록 ㆍ 전자문서의 분류 ㆍ 더블린 코어 ㆍ 탐색보조로서의 분류표 ㆍ 자동 분류 ㆍ 전자상거래 ㆍ 계층분류표 ㆍ 이베이 ㆍ UN 제품?서비스표준코드 ㆍ 패싯분류표 ㆍ 시맨틱 웹 ㆍ 웹 2.0 ㆍ 결론
15 결론
옮긴이 부록 1_ 구글 디렉터리 정보
옮긴이 부록 2_ 스카우트 리포트 아카이브 검색 사례화면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