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Korean economic development
한국의 경제발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629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62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제2판 머리말
초판에서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고 부족한 부분을 많이 수정 보완하였다. 특히 최근에 와서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고 분배문제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경제성장과 분배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 인력개발문제도 좀 더 보완하였다. 그 밖에도 전반적으로 내용을 충실히 하고 알기 쉽게 하도록 노력하였다.
자료수집을 함에 있어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았으며 특히 많은 도움을 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원종욱 박사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하고자 한다. 포스코경영연구소의 최충규 박사, 한국은행의 신현열 박사, 류현주 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의 유수정 양에게도 고마움을 표하고자 한다. 이 책의 편집과 원고교정을 맡아주신 박영사의 김효선 씨에게도 감사를 드리고자 한다.
2016년 1월
저 자
초판에서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고 부족한 부분을 많이 수정 보완하였다. 특히 최근에 와서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고 분배문제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경제성장과 분배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 인력개발문제도 좀 더 보완하였다. 그 밖에도 전반적으로 내용을 충실히 하고 알기 쉽게 하도록 노력하였다.
자료수집을 함에 있어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았으며 특히 많은 도움을 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원종욱 박사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하고자 한다. 포스코경영연구소의 최충규 박사, 한국은행의 신현열 박사, 류현주 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의 유수정 양에게도 고마움을 표하고자 한다. 이 책의 편집과 원고교정을 맡아주신 박영사의 김효선 씨에게도 감사를 드리고자 한다.
2016년 1월
저 자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역사적 개관
제1절 시대적 구분 11
제2절 전후복구기 12
1. 외국원조와 경제재건 12
2. 한미합동경제위원회와 경제안정화정책 17
3. 무역산업정책 19
4. 평 가 21
제3절 자립경제기반조성기 24
1. 대외지향적 개발전략 24
2. 무역외환정책 27
3. 재정금융정책 27
4. 과학기술기반조성 30
5. 평 가 31
제4절 산업구조고도화와 농촌근대화추진기 32
1. 중화학공업육성 32
2. 농촌의 근대화추진 37
3. 평 가 42
제5절 개방화ㆍ자유화의 전환기 44
1. 개발전략의 수정 44
2. 안정화정책 45
3. 개방화정책 47
4. 평 가 49
제6절 세계화와 구조조정기 50
1. 세계화정책의 배경 50
2. 개방화ㆍ자유화의 가속화 51
3. 외환위기와 구조조정 52
4. 평 가 56
제3장 정부의 역할
제 1절 두 개의 다른 견해 61
1. 시장이론적 견해 63
2. 제도론적 견해 67
3. 평 가 72
제2절 정부역할의 변화 75
1. 발전의 기반조성(1950년대) 76
2. 정부주도개발(1960~1970년대) 79
3. 시장경제이행(1980년대) 82
4. 시장주도개발(1990년대 이후) 85
5. 요약 및 평가 89
제4장 자본축적과정
제1절 자본축적의 세 가지 문제 95
제2절 자본축적과정 96
제3절 금융기관의 역할 105
제4절 투자의 효율성 109
제5절 자본축적과정의 특징 111
제5장 성장과 구조변화
제1절 투자주도형 성장 115
제2절 산업구조의 변화 122
제3절 고도성장의 분해 124
제4절 고도성장의 제도적ㆍ정책적 요인 128
1. 정치지도자의 지도력 128
2. 강력한 중앙기획기구 131
3. 성공적인 수입대체산업육성 133
제5절 평 가 137
제6장 공업화정책과 공업화과정
제1절 공업화정책 143
1. 전후복구와 제1단계 수입대체 144
2. 수출촉진과 선별적 산업정책 149
3. 중화학공업육성과 제2단계 수입대체 156
4. 중화학공업 투자조정과 산업합리화 161
5. 첨단산업의 육성 166
제2절 제조업의 성장과 구조변화 171
1. 공업화율 171
2. 성장률 추이 175
3. 공업구조의 고도화 178
제3절 공업화과정 181
1. 공업화의 전개과정 181
2. 소비재산업 182
3. 중간재 및 내구소비재 산업 186
4. 자본재산업 191
제4절 요약 및 평가 195
제7장 공업화와 중소기업
제1절 중소기업정책 201
1. 60~70년대의 중소기업정책 201
2. 80년대의 중소기업정책 205
3. 90년대 이후의 중소기업정책 208
제2절 중소기업의 성장과 구조변화 211
제3절 평가와 과제 216
제8장 공업화와 경제력 집중
제1절 경제력 집중 추이 225
제2절 경제력 집중과 재벌정책 233
제9장 개방화정책과 개방화과정
제1절 개방화정책 239
1. 시대적 구분 239
2. 60년대의 개방화시도 240
3. 70년대의 개방화후퇴 243
4. 80년대의 점진적ㆍ제한적 개방화 246
5. 90년대의 전면적 개방 249
제2절 개방화과정 254
1. 개방화의 순서 254
2. 상품시장 255
3. 서비스시장 261
4. 자본시장 263
5. 개방화정책의 특징과 평가 266
제10장 인적자본형성과 기술개발
제1절 교육과 인적자원개발 271
1. 초등교육의 빠른 보편화 271
2. 중등교육의 확대 274
3. 고등교육의 팽창 277
제2절 인적자본형성과 경제성장 280
제3절 인력 및 기술개발정책 285
1. 기술진흥5개년계획과 인력개발 285
2. 60년대의 기능인력 양성 287
3. 70년대의 자체기술개발 기반구축 292
4. 80년대의 기술드라이브정책 295
5. 90년대의 민간주도 기술혁신체제구축 299
6. 평 가 303
제11장 사회개발과 소득분배
제1절 사회정책의 전개과정 311
1. 60년대와 70년대의 기반조성기 312
2. 80년대와 90년대의 정착기 314
3. 외환위기 이후의 확장기 318
제2절 소득분배와 분배정책 321
1. 소득분배 추이 321
2. 체감분배와 지표분배 327
3. 분배정책 332
제3절 평 가 336
제12장 성장동력의 둔화와 성장전망
제1절 성장동력의 둔화 341
제2절 잠재성장률 전망 344
제3절 정책과제와 방향 348
1. 인적자원개발의 효율성 증대 349
2. 연구개발활동의 효율성 증대 352
3. 신성장동력산업의 육성 355
4. 서비스산업 육성 357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361
참고문헌 365
찾아보기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