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에너지기술 16대 분야 육성정책과 에너지 신산업 융·복합 R&D전략
- 단체저자
-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 발행사항
- 서울 : 지식산업정보원, 2020
- 형태사항
- 615p. : 도표, 삽화 ; 30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614-615p.)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40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40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코로나19로 전 세계 에너지시장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한국에너지공단의 ‘KEA 에너지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사업장 운영중단으로 전 세계 전력수요는 약 15% 가량 감소했으며, 유럽은 코로나19 영향으로 1~2주 사이에 주요국에서의 전력 수요 둔화 현장이 발생했다. 재생에너지 시장 역시 위축되었는데, 전 세계 태양광 패널 공급의 약 70%를 차지하는 중국에서 일시적인 공급 병목현상이 발생하였다. 풍력터빈의 주요 생산지인 유럽은 중국에서의 부품공급이 어려워 생산에 차질이 생기기도 하였다. 한편, 올해 3월 EU 대표부는 코로나19 극복 방안 성명서를 통해 경기침체 극복 방안으로 에너지전환 산업투자 활성화를 발표한 바 있다. 올해 CO₂ 배출은 일시적으로 감소할 전망이지만 지속가능한 저감을 위해 구조적·정책적 대책 마련 및 관련 기술 개발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산자부는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89개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공고하였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중장기 에너지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액션플랜이 담겨있다.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사업은 16대 중점투자 분야에 90% 이상을 집중하고, R&D 전 주기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며, 기술 융복합 촉진을 위한 대형 플래그쉽 과제 추진에 초점을 두었다. 기술개발에는 전년대비 19.1% 증가한 9163억 원이 투입된다. 이 중 2021억 원은 신규과제에 투입된다. 또한 잠재력 있는 에너지벤처의 성장을 촉진하고 에너지산업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기술혁신형 에너지 강소기업 육성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ICT를 접목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사전 고장진단·발전량 최적화, 가상발전소(VPP) 운영·관리, 분산 전원 부하 조정 알고리즘 개발 등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에너지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분야 중심으로 산업 체질을 강화하고, 에너지전환 분야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에너지기술 16대 분야 육성정책과 에너지 신산업 융·복합 R&D전략」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4가지 중점 과제 분야의 에너지 신산업 육성, 고효율/저소비 구조 혁신,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공급, 분산형 에너지 확산, 에너지 신산업에 필수적인 제품 또는 솔루션(SW) 기술개발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0. 5.
산자부는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89개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공고하였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중장기 에너지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액션플랜이 담겨있다.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사업은 16대 중점투자 분야에 90% 이상을 집중하고, R&D 전 주기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며, 기술 융복합 촉진을 위한 대형 플래그쉽 과제 추진에 초점을 두었다. 기술개발에는 전년대비 19.1% 증가한 9163억 원이 투입된다. 이 중 2021억 원은 신규과제에 투입된다. 또한 잠재력 있는 에너지벤처의 성장을 촉진하고 에너지산업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기술혁신형 에너지 강소기업 육성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ICT를 접목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사전 고장진단·발전량 최적화, 가상발전소(VPP) 운영·관리, 분산 전원 부하 조정 알고리즘 개발 등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에너지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분야 중심으로 산업 체질을 강화하고, 에너지전환 분야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에너지기술 16대 분야 육성정책과 에너지 신산업 융·복합 R&D전략」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4가지 중점 과제 분야의 에너지 신산업 육성, 고효율/저소비 구조 혁신,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공급, 분산형 에너지 확산, 에너지 신산업에 필수적인 제품 또는 솔루션(SW) 기술개발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0. 5.
목차
제 1장 국가별 에너지전환 정책과 성과분석
1. 주요 국가별 에너지전환 정책 및 성과
1) 에너지시스템
2) 에너지 전환
3) 주요 국가별 에너지 전환정책
4) 에너지 전환정책의 에너지믹스 및 전원믹스 변화 영향
2.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
1) 추진 개요
2) 2019년 에너지 R&D 성과와 평가
3) 2020년 에너지 R&D 추진 방향
4) 2020년 에너지 R&D 중점 추진과제
제 2장 에너지 신산업 육성 -태양광/풍력/수소-
1. 태양광 에너지 신산업 육성 관련 최신동향
1) 태양광/태양열 산업생태계 분석
2) 태양광 가치사슬 단계별 주요 기술 및 트렌드
3)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개발 최신동향
4) 태양광발전 모듈 및 장치개발 최신동향
5)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주요동향
6) 태양광 확산 장애요인 분석 및 비즈니스 모델
2. 풍력 에너지 신산업 육성 관련 최신동향
1) 풍력발전 기술/산업 동향
2) 대형 풍력발전 설치사례 및 기술전망
3)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주요동향
4) 고효율 소형 풍력발전 기계부품/부품 주요동향
5) 풍력발전기 운영 최적화 기술개발
3. 수소 에너지 신산업 육성 관련 최신동향
1) 수소생산 기술 현황
2) 수소충전용 장비 및 부품 주요동향
3) 국내외 연료전지 주요동향
제 3장 고효율/저소비 구조혁신 -건물·산업·수송효율, 빅데이터-
1. 2030 에너지효율 혁신전략
1) 배경 및 의의
2) 혁신전략 주요내용
3) 기대효과
2. 건물 에너지효율 개선 및 발전방안 연구
1) 제로에너지건축 보급 확산 방안
2) 건물부문의 에너지효율 혁신전략
3) 제로에너지 건축 상용화 및 사례
3. 산업 에너지효율 개선 및 발전방안 연구
1) 국내외 산업부문 에너지 효율제도
2) 에너지사용 기기의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융복합 추세
3) 에너지사용 기기의 기술 표준화 및 인증동향
4)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주요동향
4. 수송 에너지효율 개선 및 발전방안 연구
1)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
2) 수소 충전인프라 현황
5. 에너지분야 빅데이터 활용 및 플랫폼 구축현황
1) 에너지분야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육성방안
2) 국내외 에너지부분 플랫폼 구축현황
제 4장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공급 -원자력/청정화력/안전/자원-
1. 원자력 해체산업 자립·고도화 추진동향
1) 배경
2) 국내외 원자력 해체 기술동향
3) 국내외 원자력 해체산업 동향
4) 국내외 정책동향
5) R&D 투자동향
6) 사고저항성핵연료(Accident Tolerant Fuel)의 국내외 기술개발동향
2. 청정화력 발전 관련 주요동향
1) 청정화력발전 기술동향 및 사례연구
2) 한국형 가스터빈 독자모델 국산화 개발
3) 천연가스 수요부문 경쟁력 강화
3. 자원개발/순환자원 대응 관련동향
1) 에너지전환에 대응하는 자원확보 전략
2)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ㆍ 이차사용 유형 및 사례분석
3) 셰일혁명과 향후 대응방안
4) 셰일가스의 미래 생산량 예측기술
4. 에너지 인프라 및 융복합시설 안전기술 대책방안
1) ESS 안전대책(′20)
2)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19)
3)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19)
제 5장 분산형 에너지 확산 -지능형전력망/에너지저장/보안-
1.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산업동향
1) 해외
2) 국내
2. 지능형 전력망 관련 핵심기술 개발동향
1) 전력계통 안정화 기술개발 방향
2) 계통연계형 스마트 PCS 기술
3) 직류 배전 기술개발 현황 및 성과
4) 2세대 디지털변전소 기기 검증기술 개발
5)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18-2022)
3.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사례 및 기술환경 분석
1) 에너지 저장장치(ESS) 비즈니스모델 구축사례
2) 업계 기술 환경 분석
4. 에너지 인프라 사이버공격 대응기술 및 보안대책
1) 스마트에너지 보안위협
2) 스마트에너지 정보보호방안
5. 에너지부문 공유경제 적용 사례
1) 에너지부문의 공유경제
2) 에너지부문 공유경제 적용 해외 사례
3) 적용 해외 사례 비교 시사점
6. 소규모 전력 중개시장 공급형 가상발전소(VPP) 사업모델
1) 국내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및 관련 현황
2) 가상발전소 유형
3) 공급형 가상발전소 사업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