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차세대 연료전지 기술개발 전략과 시장동향
- 단체저자
- CHO Alliance | 산업경제리서치
- 발행사항
- 서울 : CHO Alliance, 2015
- 형태사항
- 650 p. : 삽화 ; 30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653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653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머 리 말]
연료전지는 수소를 이용한 발전으로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높은 전환효율과 도심 설치가 가능한 친환경 분산발전의 장점을 보유하여 수년전부터 글로벌 에너지 시장과 기업에서 크게 주목을 받아왔으며, 미국·독일·일본 등은 연료전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적극적이며, 지속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미국의 경우 연료전지 구입·발전 보조금 지원과 대규모 R&D 지원 등을 강화해 오고 있으며, 독일도 2006년부터 연료전지 기술개발·실증사업에 2조원을 지원하고, 연료비에 대한 세액공제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전용 LNG 요금제를 실시하고, 설비 도입 보조 등의 강화를 통하여 기술개발과 보급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수소생산과 저장 등 수소 관련 인프라의 확충을 통한 전반적인 수소경제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연료전지 시스템 구축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나 핵심 부품 소재 기술력은 여전히 부족하여, 연료전지 핵심부품 국산화율이 65% 이하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어, 기술개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지난 2015년 1월 정부는 업계의 의견을 바탕으로 2차 플래그쉽 프로젝트로 연료전지를 선정하여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이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분산발전을 확산하기 위해 기업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연료전지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단일 에너지 사업, 연료전지·태양광 융복합 사업, 소규모 다목적 연료전지 사업 등을 통하여, 민간은 연료전지 경쟁력 제고를 주도하고, 정부는 연료전지 수요 확대를 위한 여건 조성에 주력하는 역할 분담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에서는 연료전지발전의 시스템 효율향상·원가절감·연료 다변화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부품 국산화와 함께, 대용량 발전시스템 개발 및 가스터빈 등을 활용한 융복합화·차세대 연료전지 기술개발 등도 추진하기로 하였고, 바이오가스 등을 활용하여 연료전지 연료의 다변화도 연구하기로 하였다.
정부도 연료전지 보급 확산, 원가절감 및 핵심기술 국산화를 위한 R&D 지원을 위해 2015년 연료전지 R&D 예산(안)으로 총 262억원을 편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서는 연료전지 분야에서 이미 기술과 실증에서 글로벌 선두 그룹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에게 새로운 성장가능성을 주고 있는 연료전지에 대한 국내외 기술 및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사업 참여자의 사업전략을 조사 분석하여 관련 기업과 종사자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기획되었으며, 본서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기대해 본다.
2015년 10월 12일
CHO Alliance
연료전지는 수소를 이용한 발전으로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높은 전환효율과 도심 설치가 가능한 친환경 분산발전의 장점을 보유하여 수년전부터 글로벌 에너지 시장과 기업에서 크게 주목을 받아왔으며, 미국·독일·일본 등은 연료전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적극적이며, 지속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미국의 경우 연료전지 구입·발전 보조금 지원과 대규모 R&D 지원 등을 강화해 오고 있으며, 독일도 2006년부터 연료전지 기술개발·실증사업에 2조원을 지원하고, 연료비에 대한 세액공제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전용 LNG 요금제를 실시하고, 설비 도입 보조 등의 강화를 통하여 기술개발과 보급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수소생산과 저장 등 수소 관련 인프라의 확충을 통한 전반적인 수소경제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연료전지 시스템 구축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나 핵심 부품 소재 기술력은 여전히 부족하여, 연료전지 핵심부품 국산화율이 65% 이하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어, 기술개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지난 2015년 1월 정부는 업계의 의견을 바탕으로 2차 플래그쉽 프로젝트로 연료전지를 선정하여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이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분산발전을 확산하기 위해 기업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연료전지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단일 에너지 사업, 연료전지·태양광 융복합 사업, 소규모 다목적 연료전지 사업 등을 통하여, 민간은 연료전지 경쟁력 제고를 주도하고, 정부는 연료전지 수요 확대를 위한 여건 조성에 주력하는 역할 분담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에서는 연료전지발전의 시스템 효율향상·원가절감·연료 다변화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부품 국산화와 함께, 대용량 발전시스템 개발 및 가스터빈 등을 활용한 융복합화·차세대 연료전지 기술개발 등도 추진하기로 하였고, 바이오가스 등을 활용하여 연료전지 연료의 다변화도 연구하기로 하였다.
정부도 연료전지 보급 확산, 원가절감 및 핵심기술 국산화를 위한 R&D 지원을 위해 2015년 연료전지 R&D 예산(안)으로 총 262억원을 편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서는 연료전지 분야에서 이미 기술과 실증에서 글로벌 선두 그룹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에게 새로운 성장가능성을 주고 있는 연료전지에 대한 국내외 기술 및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사업 참여자의 사업전략을 조사 분석하여 관련 기업과 종사자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기획되었으며, 본서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기대해 본다.
2015년 10월 12일
CHO Alliance
목차
Ⅰ. 연료전지산업 개황 41
1. 연료전지 개관 41
1-1. 개념 및 구성요소 41
1) 연료전지의 정의와 작동개념 41
(1) 연료전지(Fuel Cell) 41
(2) 연료전지 시스템 44
2) 연료전지의 구성과 소재개발 45
1-2. 연료전지의 특성과 산업적 이용 47
1) 연료전지의 특징 및 유용성 47
2) 연료전지의 산업적 이용과 시장전망 51
(1) 산업적 이용 51
(2) 용도별 시장전망 52
1-3. 연료전지 산업의 주요 Trend 55
1) 회의적인 시각의 존재 55
2) Stationary 연료전지의 성장세 57
3) 더딘 투자 속도 58
4) FCEVs vs. PEVs의 경합과 엇갈리는 전망 58
5) Hydrogen Infrastructure Stakeholder 59
6) CHP(열병합발전) 분야의 적용 60
7) 엔진/Turbine-based CHP와의 경쟁 61
8) 북미의 Micro-grid Market Booming 62
9) Power-to-Gas Concept 63
10) Portable 연료전지의 Value Proposition 64
2. 연료전지의 분류 65
2-1. 연료전지 분류 방법에 따른 종류 65
2-2. 타입별 연료전지 분류 67
1) PEMFC 67
2) DMFC 69
3) SOFC 69
4) AFC 73
5) MCFC 74
6) PAFC 75
2-3. 용도별 연료전지 분류 77
1) 수송용 연료전지 78
2) 휴대용 연료전지 79
3) 발전용(고정형) 연료전지 80
Ⅱ. 국내외 연료전지 기술개발 전략과 동향 85
1. 연료전지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85
1-1. PEMFC R&D 동향 85
1) PEMFC의 일반적 특징 85
2) HT-PEMFC 85
3) 고온 고분자전해질 막의 개발 87
4) 촉매와 기체 확산층 88
5) 열화 작용 88
6) 향후 개발 방향 89
1-2. SOFC R&D 동향 91
1) SOFC 개요 91
2) 국내외 개발 동향 91
(1) 미국 91
(2) 일본 92
(3) EU 92
(4) 한국 92
3) SOFC 응용과 전망 93
(1) 발전용 대형 SOFC 93
(2) 발전용 중소형 SOFC 94
(3) 수송용 SOFC 95
(4) 기타 SOFC 95
4) 최근 SOFC 연구동향 96
(1) 더 효율적인 SOFC 후보물질 96
(2)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한 SOFC Print 98
(3) 회티탄석(Perovskites)를 사용하는 가정용 SOFC 99
1-3. 기타 연료전지 관련기술 R&D 동향 101
1) 새로운 촉매 개발동향 101
(1) 멀티스케일 나노 구조를 갖는 고성능 연료전지 촉매 개발 101
(2) 연료전지 촉매로서 유망한 그래핀 양자점/그래핀 미소 구조체 101
(3) 연료전지용 공기극 촉매의 표면구조 해명에 처음으로 성공 103
(4) 연료 전지 대량 생산에 적합한 비-백금 탄소 합금 촉매 104
(5) 백금을 사용하지 않는 탄소계의 촉매를 개발 105
(6) 성능을 증가시키는 그래핀에 크라운 에테르 삽입 106
(7)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장애 극복: 탄소-공기 배터리 108
(8)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촉매 연구 108
(9) 금속 촉매를 이용한 알칼라인 고분자(alkaline polymer)연구 110
(10) 더 나은 연료 전지를 만드는 불완전한 그래핀 111
(11) 신재생 에너지 분야 발전을 촉진하는 새로운 나노물질 112
(12) 백금의 성능을 능가하는 붕소와 질소로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겔 촉매 113
(13) 청정 연료를 생성하게 하는 코발트 박막 113
(14) 무한 재사용 그래핀 연료전지 촉매 115
(15) 촉매로 활성화되는 micromotor 117
(16) 에탄올 연료로부터 상온상압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촉매 개발 117
(17) 연료 전지 촉매로 고안된 라즈베리 형태의 나노재료 촉매 활성 119
2) 기타 연료전지 관련 기술 개발동향 121
(1) 순수소를 사용하는 가정용 연료전지 개발 시작 121
(2) 상온에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연료전지 121
(3) 수소 이온의 고속 이동 경로 연구를 통한 연료 전지 발전 효율 향상 122
(4) 미생물 연료전지의 기능 확장 123
(5) 금속 받침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연구 124
(6) PEMFC수준의 직접 에탄올 연료 전지를 위한 새로운 양극 125
(7) 연료전지 탑재 무인항공기 127
(8) 연료 전지 스택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방법 127
(9) 연료 전지 재료의 성능 저하 원인 해명 130
1-4. 글로벌 주요 업체별 R&D 투자 현황 131
2. 연료전지 관련 특허 현황 136
2-1. 고정형 연료전지 분야 138
2-2. 수송용 연료전지 분야 141
2-3. 미국의 연료전지 관련 특허 현황 144
1) FCTO(미국) 동향 144
2) 요약 144
3) 특허 분석 146
4) 특허 사용 분야 147
5) 상업화 정도 150
(1) 상업화된 Fuel Cell 기술 150
(2) 상업화 예정 Fuel Cell 기술 154
(3) Fuel Cell 상업화 관련 Task 157
(4) Fuel Cell 기술 도입제품 160
3. 국내 연료전지 관련 기술개발 과제와 연구테마 164
3-1. 2015년도 하반기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164
1) 수소생산단가 저감을 위한 고압형 PEM(Proton Exchange Membrane)
수전해조 스택 기술개발 164
(1) 연구과제의 목표 164
(2)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164
(3) 지원형태 165
2)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연료전지 융합 발전 시스템 운영 기술개발 165
(1) 기술개발 필요성 165
(2) 기술개발 제안 내용 165
(3) 기대효과 166
(4) 지원요건 166
3) 재생에너지 기반 대용량 저가 수소제조 기술 166
(1) 동향 및 필요성 166
(2) 주요기술 166
4) 가역 수소저장 시스템 개발 167
(1) 동향 및 필요성 167
(2) 주요기술 167
5) 고효율/장수명 일체형 가역연료전지 원천 기술 168
(1) 동향 및 필요성 168
(2) 주요기술 168
6) 음이온 교환막을 사용하는 직접 액체 연료전지 기술 169
(1) 동향 및 필요성 169
(2) 주요기술 169
7) 자동차용 연료전지 가격저감을 위한 출력밀도 0.125g/kW, 5,000시간 수명을 갖는
합금촉매 양산기술(100g/day) 개발 170
(1) 과제 목표 170
(2) 주요성능 및 정량목표 170
(3) 사업 계획서 작성 필수 사항 171
8) 건설용 25kW급 이동식 액체연료 개질형 연료전지 172
(1) 연구과제의 목표 172
(2)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172
(3) 지원형태 173
9) PEM 연료전지용 다목적 부품 공용화 기술 개발 173
(1) 연구과제의 목표 173
(2)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174
(3) 지원요건 174
(4) 지원형태 174
10) 운전사이클 대응력을 보유한 고신뢰성 SOFC 스택모듈 개발 174
(1) 연구과제의 목표 174
(2)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175
(3) 지원요건 176
(4) 지원형태 176
11) 바이오가스 기반 고온형 연료전지 융합 시스템 개발 176
(1) 연구과제의 목표 176
(2)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177
(3) 지원형태 177
12)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불소계 전해질 막 국산화 개발 178
(1) 기술개발 목표 178
(2) 목표설정 타당성 178
(3) 필수지표 178
(4) 개념계획서 작성시 고려사항 179
(5) 지원요건 179
13) IoT 기반 전원 독립형 연료전지-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기술 개발 179
(1) 제안 내용 179
(2) 개념계획서 작성 고려사항 180
(3) 지원요건 180
3-2. 연료전지관련 실증사업 추진 181
1) 친환경전지 융합 실증화단지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과제 선정 181
(1) 부생수소를 이용한 PEMFC 발전시스템 실증연구 181
(2) PEMFC용 그래핀 촉매 담지체 양산 기술개발 181
(3) 실증단지용 보급형 수소센서 개발 및 모니터링 연구 181
(4) 부생수소를 활용한 실증단지 산업발전 로드맵 수립 181
3-3. 무인기용 연료전지 관련 개발동향 182
1) 액체수소 추진시스템, 글로벌 옵저버 무인기(AeroVironment) 183
2) 수소연료 ‘팬텀아이’(Boeing) 185
3) 프로토넥스(Protonex)사의 연료전지(fule-cell) 무인기 187
4) 연료전지 무인항공기용 수소공급 시스템(한국과학기술원) 189
5) ‘메탄올 연료전지’ 무인기(인하대학교) 190
Ⅲ.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현황과 전망 193
1. 글로벌 연료전지 산업동향 개관 193
1-1. 글로벌 연료전지 출하량(Shipment) 동향 193
1-2. 글로벌 연료전지 가격 동향 197
1-3.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 규모 및 전망 198
1) 시장 전망 198
2) 상업화를 위한 조건 201
2. 연료전지 적용분야별 현황 202
2-1. 발전 분야 202
1) Prime Power 203
2) micro-CHP 205
3) Grid-Support/Off-Grid Power 208
2-2. 수송 분야 210
1) Light Duty Vehicles 210
2) Buses 214
3) Materials Handling Vehicles 219
4) 기타 221
(1) Personal Mobility 221
(2) Fuel Cell Scooter 222
(3) Heavy-duty Fuel Cell Truck 223
2-3. 휴대형/이동용/기타 분야 224
1) 교육용 Fuel Cell과 Toys 224
2) Auxiliary Power Unit(APU) 225
3) Consumer Electronics 226
4) Military 227
5) 기타 228
3. Type별 연료전지 시장현황 229
3-1. 개관 229
3-2. 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231
1) MEA의 대량생산 231
2) Substitute catalyst (대체 촉매) 232
3-3. 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 233
3-4. 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233
3-5. SOFC (Solid Oxide Fuel Cell) 234
3-6. 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235
3-7. AFC (Alkaline Fuel Cell) 236
4. 지역별 연료전지 시장현황 237
4-1. 권역별 연료전지 시장개관 237
4-2. Europe 240
1) 유럽의 연료전지 산업 현황 240
(1) 유럽의 연료전지 보급 현황 및 전망 240
(2) 2013년의 HFP와 FCH-JU 241
(3) 수소 스테이션 설치 242
(4) Stationary 연료전지 sector 243
2) 유럽의 연료전지 산업 지원정책 244
(1) 기술개발을 위한 유럽의 파트너십 현황 244
(2) 2020년 수소연료전지 분야 예산 및 기술전망 245
(3)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재정지원 전략 (2014∼2020) 246
3) 독일의 mCHP 보급 지원 248
(1) 운영단계별 보급활성화 정책 248
(2) NIP Program 248
(3) 연료전지 보조금 지원 제도 249
(4) 연료전지 발전 Incentive 제도 252
(5) 신재생에너지 분야 관련 법령 253
4) 영국의 H2 Mobility 프로젝트 254
(1) 수소 충전소 네트워크 255
(2) H2 Mobility 연합 255
(3) 기초 자료 확립 256
4-3. 북미 257
1) 미국의 산업 현황 258
(1) 주요 State 현황 259
(2) H2USA Partnership 270
(3) 연료전지관련 주요 단체 271
2) 보급 지원제도 272
(1) R&D 지원 273
(2) 설치 보조 Program 277
(3) Incentive Program 278
(4) RPS 280
(5) FIT 280
3) 캐나다의 지원정책 281
4-4. Asia 282
1) 일본 282
(1) 수소사회 구축 방향 282
(2) 수소관련 기업 289
(3) 규정 개정 및 규제 완화 290
(4) 일본 수소에너지 주요 실증 단지 291
(5) 일본의 연료전지 보급 정책 295
2) 중국 310
(1) R&D 현황 310
(2) 보급 및 홍보 활동 313
(3) 보급 지원정책 314
(4) 수소경제로의 전환 316
4-5. 기타 지역 316
1) South Africa 316
2) 중남미 지역 317
3) Australia 317
5. 국내 연료전지 산업 현황 318
5-1. 국내 연료전지 산업 현황 318
1) 연료전지 보급 및 운영 현황 318
(1) 발전용 연료전지의 긍정적인 전망 318
(2) 국내 연료전지 보급 현황 318
(3) 국내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321
(4) 국내 연료전지 설비용량 추이 327
2) 국내 보급 잠재량 및 전망 329
(1) 연료전지 보급 전망 및 잠재량 파악 329
(2) 지자체별 연료전지 발전소 설치계획 330
5-2. 국내 연료전지 보급 지원 정책 334
1)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제도 334
(1)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정책 334
(2) 미래성장동력 플래그쉽 프로젝트 336
(3) 2015년 연료전지분야 보급 촉진 실행계획 확정발표 337
2) 국내 연료전지 운영단계별 지원제도 338
(1)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 339
(2) 연료전지 설비 도입 지원사업 340
(3)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시설·생산·운영 자금에 대한 금융지원 사업 342
(4)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343
(5)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343
3) 국내 연료전지 보급 활성화 정책 346
(1)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화제도 346
(2) 에너지사용계획 협의 350
(3)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351
(4) 신·재생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351
4) 국내외 연료전지 보급 지원제도 비교분석 354
5) 일본과의 연료전지 관련정책 비교 358
Ⅳ. 국내외 주요 연료전지 참여업체 사업동향 363
1. 해외 연료전지 사업참여 주요업체 사업동향 363
1-1. 고정형/휴대형 연료전지 업체 363
1) ACAL Energy Ltd. (PEMFC, UK) 363
(1) 일반 현황 363
(2) 기술 및 제품 현황 363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367
2) AFC Energy (AFC, UK) 368
(1) 일반 현황 368
(2) 기술 및 제품 현황 369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370
3) Altergy Systems (PEMFC, USA) 373
(1) 일반 현황 373
(2) 기술 및 제품 현황 373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380
4) Automotive Fuel Cell Cooperation (PEMFC, Canada) 381
(1) 일반 현황 381
(2) 기술 및 제품 현황 381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383
5) Ballard Power Systems (PEMFC, Canada) 384
(1) 일반 현황 384
(2) 기술 및 제품 현황 38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392
6) Bloom Energy (SOFC, USA) 395
(1) 일반 현황 395
(2) 기술 및 제품 현황 395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00
7) Ceramic Fuel Cells Ltd. (CFCL) (SOFC, Australia) 401
(1) 일반 현황 401
(2) 기술 및 제품 현황 402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05
8) Ceres Power Holdings plc (SOFC, UK) 406
(1) 일반 현황 406
(2) 기술 및 제품 현황 406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09
9) Dantherm Power (PEMFC, Denmark) 410
(1) 일반 현황 410
(2) 기술 및 제품 현황 411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14
10) Dana Holding Corporation (FC부품, USA) 414
(1) 일반 현황 414
(2) 기술 및 제품 현황 41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17
11) Electro Power Systems (EPS) (PEMFC, Italy) 417
(1) 일반 현황 417
(2) 기술 및 제품 현황 418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22
12) Fuel Cell Energy Inc. (MCFC, USA) 422
(1) 일반 현황 422
(2) 기술 및 제품 현황 42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30
13) Intelligent Energy (UK) 431
(1) 일반 현황 431
(2) 기술 및 제품 현황 432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33
14) Panasonic Corporation (PEMFC, Japan) 436
(1) 일반 현황 436
(2) 기술 및 제품 현황 437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40
1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MHI) (SOFC, Japan) 441
(1) 일반현황 441
(2) 기술 및 제품 현황 442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44
16) Nedstack (PEMFC, Netherlands) 445
(1) 일반 현황 445
(2) 기술 및 제품 현황 446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48
17) Oorja Protonics Inc. (DMFC, USA) 450
(1) 일반 현황 450
(2) 기술 및 제품 현황 451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53
18) Plug Power Inc.(PEMFC, USA) 453
(1) 일반 현황 453
(2) 기술 및 제품 현황 45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58
19) SerEnergy A/S(HT PEM, Denmark) 458
(1) 일반 현황 458
(2) 기술 및 제품 현황 459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69
20) Tropical (PEMFC, Greece) 470
(1) 일반 현황 470
(2) 기술 및 제품 현황 470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71
21) Horizon Fuel Cell Technologies (PEMFC, Singapore) 473
(1) 일반 현황 473
(2) 기술 및 제품 현황 47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81
22) Jadoo Power Systems, Inc. (PEMFC, USA) 482
(1) 일반 현황 482
(2) 기술 및 제품 현황 482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85
23) myFC AB (PEMFC, Sweden) 486
(1) 일반 현황 486
(2) 기술 및 제품 현황 486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88
24) SFC Energy AG(DMFC, Germany) 488
(1) 일반 현황 488
(2) 기술 및 제품 현황 489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95
25) H2logic (PEMFC, Denmark) 495
(1) 일반 현황 495
(2) 기술 및 제품 현황 496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498
1-2. 연료전지차(FCEV) 업체 499
1) 현대자동차(주) (Korea) 499
(1) 일반 현황 499
(2) FCEV 개발 현황 499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03
2) Toyota Motor Corporation (Japan) 504
(1) 일반 현황 504
(2) FCEV 개발 현황 50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10
3) Honda Motor Co., Ltd. (Japan) 513
(1) 일반 현황 513
(2) FCEV 개발 현황 513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18
4) Nissan Motor Co Ltd. (Japan) 518
(1) 일반 현황 518
(2) FCEV 개발 현황 519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23
5) Daimler AG (Germany) 523
(1) 일반 현황 523
(2) FCEV 개발 현황 524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29
6) General Moters (GM)(USA) 532
(1) 일반 현황 532
(2) FCEV 개발 현황 532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34
7) Ford Motor Company (USA) 536
(1) 일반 현황 536
(2) FCEV 개발 현황 537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39
8) BMW AG (Germany) 539
(1) 일반 현황 539
(2) FCEV 개발 현황 539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41
9) Volkswagen AG (Germany) 542
(1) 일반 현황 542
(2) FCEV 개발 현황 543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44
10) Tata Motors Limited (India) 545
(1) 일반 현황 545
(2) FCEV 개발 현황 546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46
2. 국내 연료전지 사업참여 주요업체 사업동향 547
2-1. 연료전지 시스템 업체 547
1) 포스코에너지(주) (MCFC, SOFC) 547
(1) 일반 현황 547
(2) 기술 및 제품 현황 548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52
2) ㈜두산 퓨얼셀 (MCFC, PEMFC) 556
(1) 일반 현황 556
(2) 기술 및 제품 현황 556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65
3) 에스퓨얼셀(주) (S-FuelCell Co., Ltd.) (PEMFC) 566
(1) 일반 현황 566
(2) 기술 및 제품 현황 567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69
4) LG퓨얼셀시스템즈 (LG Fuel Cell Systems Inc.) (SOFC, USA) 570
(1) 일반 현황 570
(2) 기술 및 제품 현황 570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71
5) 삼성SDI(주) (DMFC, PEMFC) 572
(1) 일반 현황 572
(2) 기술 및 제품 현황 573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75
6) 현대하이스코(주) (SOFC, PEMFC, MCFC) 576
(1) 일반 현황 576
(2) 기술 및 제품 현황 577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79
7) ㈜효성 (PEMFC) 581
(1) 일반 현황 581
(2) 기술 및 제품 현황 581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85
8) ㈜경동나비엔 (SOFC, m-CHP) 586
(1) 일반 현황 586
(2) 기술 및 제품 현황 587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87
9) LIG넥스원(주) (DMFC) 588
(1) 일반 현황 588
(2) 기술 및 제품 현황 588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90
10) ㈜프로파워 (DMFC) 591
(1) 일반 현황 591
(2) 기술 및 제품 현황 591
(3)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96
2-2. 연료전지 소재?부품?평가장비 업체 597
1) 코오롱인더스트리(주) (Kolon Industries Inc.)(Membrane) 597
(1) 일반 현황 597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597
2) 한국타이어(주) 599
(1) 일반 현황 599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00
3) ㈜에프셀텍 602
(1) 일반 현황 602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02
4) ㈜미코 603
(1) 일반 현황 603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04
5) ㈜지필로스 (인버터, PCS) 609
(1) 일반 현황 609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10
6) ㈜제이앤티지(JNTG) 612
(1) 일반 현황 612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13
7) 대주전자재료(주) (Catalysts) 616
(1) 일반 현황 616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17
8) 희성촉매(주) (Catalysts) 619
(1) 일반 현황 619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0
9) 한창산업(주) 621
(1) 일반 현황 621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1
10) 대정화금(주) 622
(1) 일반 현황 622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2
11) ㈜창성 624
(1) 일반 현황 624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4
12) 트윈에너지(주) 626
(1) 일반 현황 626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6
13) ㈜오토엔 (AUTOEN Company Ltd.) 627
(1) 일반 현황 627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7
14) ㈜진영전기 628
(1) 일반 현황 628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29
15) 슝크카본테크놀로지(유) 630
(1) 일반 현황 630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30
16) ㈜플라스포 632
(1) 일반 현황 632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33
17) ㈜마이크로필터 (Membrane) 634
(1) 일반 현황 634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35
18) ㈜원아테크 (WonATech) 635
(1) 일반 현황 635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36
19) ㈜CNL에너지 639
(1) 일반 현황 639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39
20) 대양산업 643
(1) 일반 현황 643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43
21) 세종공업(주) 644
(1) 일반 현황 644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45
22) ㈜동진쎄미켐 649
(1) 일반 현황 649
(2) 연료전지 관련 사업동향 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