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세계 철강산업의 주도권 변화: 세계 철강산업을 통해 바라본 한국 철강산업의 미래

저자
곽강수
발행사항
서울 : 좋은땅, 2019
형태사항
344 p. : 도표 ; 23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337-34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31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3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그래서 우리는 지나간 일을 교훈 삼아 실패를 극복할 수 있다. 철강산업 또한 그렇다. 저자는 철강산업의 흥망성쇠와 주도권 변화에 주목하며 왜 비슷한 변화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산업은 쇠퇴하고 일본이 그 주도권을 가져갔는지,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향후 전망은 어떨 것인지 상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그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다가올 미래를 어렵지 않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철강산업의 미래는 맑음? 흐림?

우리나라 철강산업은 현재 여러모로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일단 이웃나라인 중국의 성장률이 둔화됐다. 무역 규제는 그에 반해 강화됐다. 수요 산업 경기는 전반적으로 부진하다. 그나마 괜찮은 소식은 중국 최대 철강사의 국내 진출이 ‘일단’ 연장됐다는 소식이다.

보통 이렇게 얘기하면 뭐가 뭔지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조선업으로 유명한 우리나라이지만 점점 제조업 비중은 줄어든다고 하고,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이 주도한다는데 고철 덩어리에 대해 알아 봤자 별거 아니지 않을까?

하지만 그렇지 않다. 4차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로봇 기술의 경우, 철강산업이 단단하게 뒷받침을 해 줘야 날아오를 수 있다. 그러니 현재 철강산업 현황에 대해 집중하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철강산업에 관한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자료에 접근하는 게 쉽지 않고, 한국어로 번역된 외국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포스코에서 일하며 꾸준히 철강산업을 연구해 온 저자의 책을 통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중국의 철강산업에 대해 더 알아보자.
목차
서문 제1부 들어가며 제1장 집필 목적 및 방향 제2장 철강산업의 주도권 변화 요인 1. 경쟁력 우위의 이동 과정 2. 철강산업에서의 국가 간 주도권 확보 요인 # 철강산업의 혁명을 몰고 온 헨리 베세머(Henry Bessemer) 제2부 미국 철강산업 제1장 미국 철강산업의 성장과정 1. 대공황 이전까지의 초기 고도성장 2. 대공황의 파고 3. 2차 대전 이후의 성장 둔화 4. 쇠퇴기에 접어 든 미국 철강산업 5. 미 고로업계의 끝없는 추락 제2장 미국 철강산업의 쇠퇴 원인 1. 미 고로업계의 Cost경쟁력 상실 2. 미국 철강업계의 내수시장 방어 실패 3. 오일쇼크 이후 철강 수요의 구조적 변화 4. 미니밀의 시장 잠식 5. 노후설비 과다 보유 및 혁신설비 도입 지연 6. 기술 개발 소홀에 따른 품질경쟁력 열위 7. 미국 철강 경영자들의 전략적 판단의 실수 8. 철강업계 경영자들과 정부 및 노조와의 갈등 제3장 미국의 자존심, US Steel의 흥망성쇠 1. USS 합병의 시대적 배경 2. 초 거대기업 US Steel의 위상 3. 쇠퇴기에 접어 든 거대기업 USS 4. 세계 20위권 밖의 잊혀 가는 공룡 # 미국 철강산업의 발전을 이끈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Andrew Carnegie) 제3부 일본 철강산업 제1장 일본 철강산업의 성장과정 1. 2차 세계대전 패망까지의 초기 성장과정 2. 2차 대전 이후의 고도성장 3. 오일쇼크 이후 성장 정체 4. 불황 극복을 위한 일본 철강업계의 노력 5. 일본 고로업계의 부활 제2장 일본 철강산업의 주도권 확보 및 재부상 요인 1. 선진기술 도입을 통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 개발 2. 해외 Supply Chain Networking을 통한 수요기반 확보 3. 수입재 방어 시스템의 구축 4. 경영자와 종업원 간의 협력적 노사관계 5.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6. 일본은 운이 좋았다 제3장 일본 철강산업 부활의 견인차, 신일철 1. 신일철의 성장 과정 2. 신일철의 주도권 확보ㆍ유지 배경 3. 신일철의 강점 # 일본 철강산업 재건의 일등공신, 니시야마 야타로(西山彌太郞) 제4부 중국 철강산업 제1장 중국 철강산업 성장 과정 1. WTO 가입 이전의 성장 과정 2. WTO 가입 이후 고도성장과 위상 변화 제2장 중국 철강 소비 Peak 논쟁 제3장 중국 철강산업의 향후 전망 1. 중국 철강산업의 주도권 변화 전망 2. 중국의 철 Scrap 공급 증가에 따른 영향 # 중국 최초의 현대식 제철소, 보산강철의 건설과 TJ의 인연 제5부 한국 철강산업에 대한 시사점 제1장 미ㆍ일 철강산업의 흥망성쇠가 주는 교훈 제2장 한국 철강산업에 대한 시사점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