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STATA를 이용한 응용계량경제학

Applied Econometrics using Stata

저자
박승록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0
형태사항
585 p. : 도표 ; 25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565-573)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E207328대출중2025.07.01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E20732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5.07.01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서는 경제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교육학, 심리학, 정치학, 행정학 등 다양한 전공분야의 독자들에게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쉽게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서에서는 가능한 한 이론보다는 응용적인 면을 강조하여 실무적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계량경제학의 응용을 위한 수단으로서는 Stata란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다. 계량경제학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더라도, Stata를 통해 계량경제학 방법론을 이해할 수 있게 하여 단시간 내에 누구든지 전문가 수준의 응용능력을 갖게 하였다.
대학교 저학년 과정부터 공부하게 되는 응용통계, 계량경제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저자의 과거 실증분석 경험을 이용하여 많은 실증사례를 활용하였다. 쉽게 서술했지만 학부수준의 계량경제학 지식뿐만 아니라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들, 기타 연구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게 했다. 대부분 계량경제학 교과서와 달리 수학적 표현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계량경제학의 본질과 응용능력을 익히는 데 아주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본서는 풍부한 사례를 통해 계량 경제학을 응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현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생한 계량경제학적 분석기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또 이론으로 배운 사회과학분야의 다양한 이론들이 실제 실증연구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생생하게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계량경제학이 활용되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 되었다. 본서를 일독한 독자들은 분명 계량경제학의 본질과 응용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자신의 생산성이 수십 배 증가하였다고 자평하게 될 것이다. 이미 계량경제학과 Stata활용법을 잘 알고 있는 독자들도 본서를 통해 자신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30년 전쯤 비슷한 책을 출판하여 좋은 평가를 받은 적이 있다. 새로운 책을 집필해달라는 많은 사람들의 격려가 있었지만 많은 부담을 느껴왔다. 은퇴시점이 되면서 평생의 경험을 하나의 책으로 엮어서 후학들에게 남기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본서를 저술했다.
본서의 저술을 위해 국내외 대부분 계량경제학 교과서, Stata관련 서적, 동영상 자료, 다양한 실증논문과 데이터베이스들을 이용하였다. 독자들이 계량경제학에 흥미를 느끼도록 소재와 내용, 서술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이었다. 가능한 한 필자만의 독창적인 내용의 틀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였다. 여기서 배운 Stata를 이용한 계량경제학 지식은 독자 자신의 독창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서를 통해 독자들이 자신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필자는 본서가 완성되기까지 많은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 필자는 먼저 약 30년 전 미국 노던 일리노이 대학(Northern Illinois University) 유학시절 지도교수로서 많은 지도해주신 Jene K. Kwon(한국이름, 권진균), Susan Porter-Hudak, Khan A. Mohabbat 교수에게 감사한다. 또 필자와 함께 연구하면서 많은 영감을 준 미국 폴로리다 애틀랜틱 대학((Florida Atlantic University)의 윤기향 교수, 한국기술교육대학의 최두열 교수에게 감사드린다.
필자는 본서의 출판을 허락해 준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안상준 대표님, 출판을 기획한 오치웅, 많은 양의 원고를 읽고 교정해준 전채린 과장님께 감사를 드린다. 본서를 출판하기까지 소홀했던 가족에 대한 사랑의 말도 여기에 남긴다.

2019. 12.
필자 박승록
목차
01 자기 수준에 맞추어 학습하자 1 02 숲을 먼저보고 나무를 보자 2 03 동영상 강의를 잘 활용하자 2 04 스스로 익히자 3 05 이론과 실무를 번갈아 학습하며 업그레이드하자 3 06 스스로 에러(error)를 해결하자 3 07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을 잘 사용하자 4 08 다른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하나라도 배우자 4 09 본서를 읽는 방법 5 PART 01 응용계량경제학 기초 CHAPTER 01 계량경제학의 본질 9 01 계량경제학의 본질 9 02 계량경제학의 목표 11 03 계량경제학의 분석단계 11 04 바람직한 계량경제학 모형의 조건 21 CHAPTER 02 Stata 활용법 기초 24 01 Stata 기초의 이해 24 02 Stata 무조건 따라하기 35 03 효과적인 do 파일 만들기 42 CHAPTER 03 데이터 처리 44 01 자료와 통계 용어 44 02 Stata와 데이터 처리 45 03 Stata 활용전 자료수집과 처리 47 04 Stata로 자료 읽어 들이기 49 05 변수생성(variable creation) 51 06 더미변수의 생성 57 07 데이터세트 합치기(merge and append) 58 08 데이터세트의 형태 바꾸기(reshape) 63 09 반복처리(repetition) 65 10 생성된 변수에 라벨 붙이기(labeling of variable) 69 11 생성된 변수의 확인 70 12 데이터세트의 보관과 관리 71 CHAPTER 04 자료의 시각화(그래프) 74 01 그래프의 중요성과 종류 74 02 그래프 양식의 조정 76 03 그래프 옵션 부여 78 04 Stata 그래프의 편집 82 PART 02 최소자승법 CHAPTER 01 최소자승법 87 01 최소자승법의 이론적 배경 87 02 가우스-마코프 정리 102 03 Stata를 이용한 단순회귀분석 사례 113 CHAPTER 02 최소자승법과 정규성 121 01 최소자승법에서 정규성 121 02 개별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개별검정) 125 03 전반적 유의성 검정(전체검정) 129 04 고전적 최소자승법과 예측구간 132 05 Stata를 이용한 정규성 검정 사례 135 CHAPTER 03 모형설정과 함수형태 141 01 다양한 함수형태 141 02 비선형함수의 선형변환 144 03 상호작용 반영 함수 149 04 파라미터에 대한 비선형함수 150 05 모형설정오류(model specification error) 151 06 Stata를 이용한 모형설정오류 탐지 155 CHAPTER 04 더미변수의 활용 157 01 정성적 자료의 정량화 157 02 더미변수와 절편 및 기울기 158 03 Stata에서의 더미변수 생성과 활용 162 04 구조변화 검정 166 CHAPTER 05 Stata 아웃풋의 문서화 168 01 Stata 아웃풋의 문서화 168 02 그래프의 문서화 172 PART 03 계량경제학적 평가주제 CHAPTER 01 다중공선성 175 01 다중공선성의 개념과 형태 175 02 다중공선성 문제의 영향 176 03 다중공선성 문제의 탐지법 179 04 다중공선성 문제의 해결방안 181 05 Stata를 이용한 다중공선성 문제의 진단과 해결 182 CHAPTER 02 이분산 184 01 이분산의 개념과 형태 184 02 이분산 문제의 영향 184 03 이분산 문제의 탐지법 186 04 이분산 문제의 해결방안 190 05 이분산 문제의 Stata 사례 195 CHAPTER 03 자기상관 200 01 자기상관의 개념과 형태 200 02 자기상관 문제의 영향 204 03 자기상관 문제의 탐지법 206 04 자기상관 문제의 해결방안 210 05 자기상관 문제의 Stata 사례 214 CHAPTER 04 실무자를 위한 Stata 회귀분석 템플릿 216 01 기초 응용계량경제학 요약 216 02 기초 응용계량경제학을 위한 템플릿 218 CHAPTER 05 연립방정식 모형 224 01 모형의 설정 224 02 모형의 식별 228 03 연립방정식 모형의 추정법 233 04 시뮬레이션 분석 241 05 연립방정식 모형과 카울스 재단 251 PART 04 시계열 분석 CHAPTER 01 시계열분석의 기초 255 01 시차변수(정적 모형과 동적 모형) 255 02 고전적 최소자승법과 추세 258 03 고전적 최소자승법과 계절조정 261 04 평활법(smoothing)과 예측 263 05 시계열자료의 구조변화 266 06 문턱회귀(threshold regression) 267 CHAPTER 02 ARIMA모형 270 01 시계열분석의 특성과 안정성 270 02 ARIMA 모형의 분석절차 277 03 ARIMA 모형의 이해를 위한 몬테칼로 실험 282 CHAPTER 03 벡터자기회귀모형(VAR) 285 01 VAR 모형의 기초개념 285 02 VAR 모형의 분석절차 291 03 VAR모형의 확장 300 04 VAR모형의 Stata사례 306 CHAPTER 04 공적분과 오차수정모형 314 01 공적분과 회귀분석 314 02 공적분과 오차수정 메커니즘 315 03 공적분의 검정 317 04 벡터오차수정(VEC) 모형과 분석절차 320 CHAPTER 05 ARCH모형과 GARCH모형 323 01 기초개념 323 02 ARCH모형 325 03 GARCH모형 328 04 ARCH, GARCH모형의 분석과 Stata 332 PART 05 패널자료의 회귀분석 CHAPTER 01 시계열자료와 횡단면자료의 혼용 337 01 모형에 동적요소의 반영 337 02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수항과 기울기 338 03 시간 더미변수의 도입 338 04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의 혼용자료와 Stata 활용 342 CHAPTER 02 패널자료의 회귀분석 344 01 패널자료의 특성 345 02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의 추정과 선택 349 03 Stata를 이용한 기초 패널추정법 352 CHAPTER 03 고급 패널추정법 364 01 장기 패널자료와 오차항의 상관관계 364 02 독립변수와 오차항의 상관문제와 패널추정법: 패널 도구추정법 371 03 시차 종속변수가 설명변수인 모형의 추정 373 04 비선형 패널추정법 375 PART 06 정성적, 제한적 종속변수 모형 CHAPTER 01 정성적 종속변수 모형 381 01 선형확률모형(Linear Probability Model: PM) 381 02 프로빗모형과 로짓모형 385 03 다항회귀모형(multinomial regression) 389 CHAPTER 02 제한 종속변수 모형 396 01 제한 종속변수 모형의 본질 396 02 제한 종속변수 모형 399 CHAPTER 03 집계자료 회귀모형 406 01 포아송 회귀모형 406 02 음이항 회귀모형 407 03 포아송 모형, 음이항 회귀모형과 Stata 407 PART 07 실증분석 응용사례 CHAPTER 01 다양한 지수분석 사례 413 01 각종 물가, 물량지수의 계산 413 02 총요소생산성 지수 415 03 현시비교우위(RCA) 지수 417 04 산업입지계수 424 05 환경파괴지수 424 06 불균등 및 양극화 지수 427 07 시장 집중도 및 HHI 지수 428 CHAPTER 02 소비자 이론 430 01 수요체계 분석 430 02 수요체계 분석사례 433 CHAPTER 03 생산자 이론 436 01 함수형태의 선택 436 02 생산이론의 실증분석 사례 443 CHAPTER 04 글로벌 밸류체인 454 01 글로벌밸류체인의 개념과 방법론 454 02 초기 글로벌밸류체인 분석 456 03 총수출의 부가가치 분해(KMM방법) 457 04 양자간 무역에서 총수출의 부가가치 분해(BM방법) 458 05 Stata를 이용한 GVC분석 461 CHAPTER 05 동태확률일반균형 모형 464 01 DSGE 모형의 개념 464 02 선형 DSGE 모형을 이용한 분석절차 개요 467 03 비선형 DSGE 모형을 이용한 분석절차 개요 477 CHAPTER 06 구조방정식 모형 482 01 구조방정식 모형의 개관 482 02 Stata를 이용한 단순 SEM모형의 분석절차 490 03 일반화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절차 501 04 PLS-SEM 모형의 분석절차 502 부록01 기술통계학 01 기술통계학 이론 511 02 기술통계와 Stata 519 부록02 추론통계학 01 확률분포 523 02 가설검정 방법 532 03 가설검정 사례 537 04 Stata와 확률분포 함수 547 05 Stata와 확률분포 549 부록03 행렬연산 01 Stata 명령어 수행결과의 활용을 위한 행렬처리 557 02 Stata기초 행렬처리 언어를 이용한 회귀분석 사례 561 03 Stata와 MATA의 결합을 통한 행렬처리 563 참고문헌 /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