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2
RPS 대응 국내외 바이오·폐기물에너지원 잠재량 분석 및 확보방안
- 연구책임자
- 소진영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149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45-14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84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84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84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84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3년은 박근혜 정부의 에너지 관련 정책 방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해이다.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상 보급 목표 설정은 후보 시절 공약사항인 신재생에너지 자원 잠재량 평가를 통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3, 174쪽 참조).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너지와 폐기물에너지 보급가능 잠재량을 산정하여 하부 정책 수단인 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에 얼마만큼 기여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그 확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존하는 신재생에너지원별 자원지도는 자원의 총량에 변화가 거의 없는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적합하나, 바이오에너지나 폐기물에너지 등과 같이 원료의 발생량이 인간의 활동이나 선택에 따라 변화하는, 즉 추세를 갖는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너지와 폐기물에너지 원료별로 발생량이 갖는 추세를 반영하여 잠재량을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부문에서 바이오・폐기물에너지의 기여 가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2년 RPS제도 시행 후 제도의 성공적 정착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량 달성을 위해 국내외 바이오매스 활용 방안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RPS제도 및 신재생 발전 현황
1. RPS제도 개요
2. RPS제도 이행 실적
3. 국내 바이오・폐기물 발전 현황 및 전망
제3장 잠재량 평가 개요
1. 바이오・폐기물에너지원 분류
2. 잠재량 정의 및 산정 방법론
3. 잠재량 평가 선행연구
제4장 국내 바이오・폐기물에너지원 잠재량
1. 임산 바이오매스
2. 유기성 바이오매스
3. 가연성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4. 종합
제5장 해외 주요국 바이오매스 잠재량
1. 세계 바이오매스 발전 현황 및 전망
2. 주요국 농산 바이오매스 잠재량
3. 미주지역 주요국 임산 바이오매스 현황
제6장 바이오・폐기물에너지원 확보방안
1. 국산원료 활용 극대화 및 신규 바이오매스 자원 창출
2. 해외 바이오매스 자주개발률 제고
참고문헌
부록 :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의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