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6
석유안보 강화방안 연구: 석유안보 취약성지수 분석과 시사점
- 연구책임자
- 이달석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142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5-14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85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85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8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8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석유공급 중단과 같은 전통적인 석유의 공급위험(supply risk)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은 석유자원의 지역적 편중과 자원보유 지역의 정세 불안이다. 북미와 아시아・태평양, 유럽은 세계 석유매장량의 약 16%를 보유하고 있지만 수요 비중은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중동과 아프리카는 세계 석유매장량의 56%를 보유하고 있지만 수요 비중은 13%에 불과하다. 이러한 지역별 수급의 불균형은 석유의 교역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전 세계 석유공급의 약 60%가 국제적으로 거래되고 있다. 그런데 세계 석유교역량의 60~70%가 이른바 해상수송의 병목지점(choke point)을 경유함에 따라 석유수송에는 항상 위험이 존재한다. 한편, 석유의 주요 공급처인 중동 국가들은 정치・사회적으로 매우 불안한 상태에 있고, 중동 OPEC 산유국들은 생산량 제한 등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석유공급의 전통적이고 구조적인 위험이라 할 수 있다.
공급 측면의 위험과 더불어 수요 측면의 위험이라 할 수 있는 다양한 시장위험(market risk) 요소들도 존재하고 있다. 여기에는 GDP 대비 석유수입 금액의 비중, GDP 단위당 석유집약도, 총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석유 비중의 과다 등 특정 국가의 경제구조에서 과도한 석유의존성으로부터 비롯되는 위험 요소들이다.
우리나라가 주종 에너지원인 석유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급위험 요소와 시장위험 요소를 포함한 석유안보의 취약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석유안보 강화방안 연구�의 제1차 연도 연구로서 석유안보 취약성지수(oil security vulnerability index)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석유안보 상황을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석유안보의 개념과 기존 연구
1. 에너지안보 및 석유안보의 정의
2. 석유안보에 관한 기존의 연구
가. 정성적 연구
나. 정량적 연구
제3장 석유공급의 위험 요인
1. 세계 석유 매장량의 지역적 편중
2. 석유수송로의 위험
가. 호르무즈 해협
나. 말라카 해협
다. 밥엘만데브 해협
라. 수에즈 운하
마. 터키 해협
3. 중동지역 정세 불안
가. 역외 국가와의 관계 불안: 구조적 불안정성
나. 역내 국가별 주요 불안 요소
4. 기타 공급위험 요인
가. 피크오일
나. 악성 기후
제4장 석유공급의 교란과 가격변동
1. 공급교란에 의한 유가 및 유가변동성의 변화
가. 개관 43
나. 모형 44
다. 사용자료 47
라. 추정결과 52
마. 종합검토 63
2. 유가변동성의 영향과 사회적 비용 64
가. 유가변동성의 영향 64
나. 유가변동성에 의한 소비자후생의 감소 69
제5장 국가별 석유안보 취약성지수 분석 73
1. 배경 73
2. 변수 선정 및 설명 74
가. 분석대상 국가 선정 74
나. 공급위험 지표 76
다. 시장위험 지표 84
3 주성분분석 87
가. 주성분분석의 정의 87
나. 주성분분석의 선행 연구 88
다. 주성분분석 방법론 92
4. 실증분석 결과 및 결과분석 95
가. 석유안보 취약성지수 도출 95
나. 2010년 석유안보 취약성지수 결과와 특징 98
다. 2000년 석유안보 취약성지수와 비교
제6장 정책적 시사점 111
1. 우리나라 석유안보 취약성지수의 특징 111
2. 공급안정화 및 수요관리 정책 추진 114
가. 개요 114
나. 공급안정화 정책의 지속 115
다. 수요관리 정책의 강화 122
제7장 결 론 129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