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9
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 정책효과 분석모형 및 방법론 구축(산업·수송부문)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157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45-157)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85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86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85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86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에너지효율개선평가를 위한 분석방법의 유형
1. 개요
2. 공학적 접근 모형
3. 승법분해 모형
4. DEA 지수분석모형
5. 계량분석모형
가. 개요
나. ARDL 모형과 적용사례
다. Panel 모형과 적용사례
6. 산업연관분석모형
7. CGE(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모형
가. CGE 모형의 개요
나. 간단한 CGE 모형의 구성
다. CGE 모형 운용의 실제
8. MARKAL(MARKet ALlocation) 모형
가. MARKAL 모형의 개요
나. MARKAL-Standard Model
다. MARKAL 모형의 최근의 발전
라. MARKAL 모형의 국내 산업부문 적용사례
9. 통합평가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가. 기후변화시나리오와 통합평가모형
나. 통합평가모형의 현황과 의의
10. NEMS(National Energy Modeling System)
가. 개요
나. 각 모듈의 특성
다. NEMS의 기능 및 영역
라. NEMS의 시멘트산업 모형화(예시)
제3장 산업·수송 부문 정책 효과 분석방법론의 적용
1. 요인분해분석
가. 요인분해 방법론을 통한 정책성과 평가
나. 제조업 대상 실증분석
2. 계량경제모형 - 리바운드 효과 분석
가. 리바운드 효과 정의 및 연구의 필요성
나. 선행연구
다. 방법론
라. 실증분석 자료
마. 실증분석 결과
제4장 에너지절약, 효율개선 평가관련 모형 및 DB구축
1. 개요
2. 비용효과적 에너지관련 DB 구축
가. 에너지관련 데이터관리의 문제점
나. 에너지관련 DB 구축노력
다. 에너지, 환경부문의 통합정보청 등의 기구설립의 필요성
3. 모형개발 노력의 지속성
제5장 결론
참 고 문 헌
미리보기

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pdfPDF
첨부
번호 | 제목 | 유형 | |||
---|---|---|---|---|---|
1 | 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pdf | 3.3 MB |
- 1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pdfPDF3.3 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