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19

앱기반 피드백의 전력소비 절감 및 파급효과 분석 연구

연구책임자
조성진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156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19
서지주기
참고문헌(p.139-15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839대출가능-
자료실P42284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8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84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전력 소비 절약을 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절전 캠페인 등 다양한 형태의 정책 수단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ICT)과 통신기기의 발달로 이러한 디지털 기기를 에너지 절전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력 소비 절약을 위해 기존에 많이 이용되었던 전통적 방식의 절전 정책 수단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디지털기반 모바일 기기들로 대체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디지털 기반의 모바일 기기는 대중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함으로써 그 파급효과를 스스로 증명하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이와 같은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가정 전력 소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피드백 실증실험연구 내지 파일럿(Pilot)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분석을 통해 효과가 입증된 특정 피드백 정책 수단들을 실제로 활용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 통신기기 및 통신망이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인 우리나라의 경우 이와 같이 디지털 기반 피드백을 통하여 가계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계 전력 소비 절감을 목적으로 개발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인 ‘에너지 다이어트’를 앱 기반 피드백 수단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앱 기반 피드백이 실제 어느 정도 가계 전력 소비 절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실험설계 및 설문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도출하기로 한다. 결과 도출을 위해 2012년 3월부터 2013년 8월말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동일한 가구(household)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앱 기반 피드백을 제공한 그룹(실험군)과 제공하지 않은 그룹(대조군)의 전력사용 정보 및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구축하였다. 즉 설문조사를 통해 2년간의 패널통계자료(panel data set)를 구축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전력 소비 현황 및 전망 1.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전력 소비 현황 및 전망 2. 전력 소비 절약의 효과와 가치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정보통신기술(ICT)기반 피드백 실증 연구 제1절 에너지 행동 및 피드백 작동원리 이해 1. 에너지 소비 행동 개관(槪觀) 2. 피드백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방법 3. 피드백의 유형과 효과 4. 효과적인 피드백 디자인 구성요소 제2절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전력 소비 절감 실증분석 연구사례 1. 최근 실시간 피드백 실증분석 연구사례 2. OPOWER(사)의 SMUD Pilot 실증사례 3. BPA, OPOWER(사), Cowlitz(사)의 Behavior Based Energy Efficiency(BBEE) 공동 프로그램 실증 연구사례 4. BPA, CPU, OPOWER의 BBEE 파일럿 프로그램 제3장 연구방법 및 분석방법 소개 제1절 연구방법 1. 실험설계 및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특징 제2절 분석방법 1. 패널데이터 분석방법 소개 2. 요인별(가구특성, 기온변수, 가격변수 등) 전력 소비 상관관계 분석 3. 앱 기반 피드백의 전력 소비 절약 효과 분석 4. 앱 기반 피드백의 전력 소비 절감 추세 분석 방법 5. 앱 기반 피드백이 사용자 행동 변화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제4장 설문조사 요약 및 실증분석 결과 제1절 기초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및 설문조사 요약 1. 기초통계 요약 2. 설문조사 주요내용 요약 : 그룹별 전력사용량 및 사용요금 제2절 전력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1. 합동최소자승법 추정 결과 2. GLS 분석 결과 제3절 앱 기반 피드백의 전력 소비 절감 효과 분석결과 1. 어플이용그룹 vs. 타 그룹의 이중차감추정(DID) 결과 2. 기타 이중차감추정(DID) 결과 제4절 앱 기반 피드백의 전력 소비 절약 추세 분석 결과 제5절 앱 기반 피드백이 사용자 행동 변화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결과 1. 연구모형 A 분석결과 2. 연구모형 B 분석결과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제1절 요약 및 결론 1. 연구 요약 2. 결론 제2절 시사점 및 정책 제언 1. 정책 시사점 2. 정책 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1. ‘에너지 다이어트’ 사용자 행동 변화 파급효과 연구를 위한 설문 항목 2. 요인분석 및 Cronbach’s α결과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