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34A Unified System for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Program Evaluation

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 정책효과 분석모형 및 방법론 구축

연구책임자
이성인, 김창훈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vi 10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34
서지주기
참고문헌(p.95-99)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69대출가능-
자료실P42337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6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7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공공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이라 함은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 등에 적용되는 정책을 말하며, 공통부문 에너지절약정책은 전 부문을 아울러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을 통칭한 것이다. 그러나 공공·공통부문에서의 에너지절약정책에 대한 효과분석은 그동안 가정, 상업, 산업 등 다른 주요 부문에 비해 비중이 떨어지거나 보조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어 대부분의 경우 정책효과의 평가가 독립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고 정책평가를 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한 형태의 실적 점검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공공·공통 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의 유형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분석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각 정책의 평가항목을 세부적으로 지정하거나 그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보다는 전체적인 정책분석 과정의 일반적 내용을 살펴보는 데 주력하였다. 특히 공통부문의 에너지절약 정책 중 연구활동(R&D)과 교육 및 홍보·캠페인의 경우 국내에서 정책분석 사례가 많이 없기 때문에 해외자료를 통하여 종합적인 내용을 확보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공공・공통부문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체계 제1절 공공・공통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 현황 1. 공공기관 에너지 절약 정책 2. 에너지 수요관리 R&D 3. 캠페인・홍보 제2절 공공・공통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체계 1. 공공부문의 에너지절약 추진실적 평가체계 현황 2. 공통부문의 R&D 성과 평가체계 현황 제3장 공공・공통부문 에너지절약정책 평가방법론 제1절 공공부문의 에너지절약 성과 평가 방안 1. 에너지절감 성과 평가 2. 에너지절약 성과지표 및 에너지효율 평가 방안 제2절 에너지 절약 R&D 성과 평가 방안 1. 성과평가 개요 2. 평가 단계별 안내 제3절 정보 및 행동 기반 에너지절약 정책 성과 평가 방안 1. 정보 및 행동 기반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2. 분석방법 제4장 모형을 이용한 에너지절약정책효과 분석 제1절 분석 과정 1. 모형 구조 2. 자료 분석 3. 모형 분석 제2절 분석 결과 1. 기준안과 비교 시나리오 구성 2.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