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15A Study on Energy Efficiency school Retrofit

국공립 학교 건물 Retrofit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박기현
연구참여자
김진경, 박재완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xxi 124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15
서지주기
참고문헌(p.123-12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29대출가능-
자료실P42333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2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3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국공립 초중등학교의 학교 건물 Retrofit사업을 위해서는 재원 마련이 시급하다. 공공부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금; 일례로,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하는 방법도 검토해 볼 수 있으며, 필요시 기금 이용을 위해 법 또는 조문이나 시행령을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에너지의 절약 및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마련된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에서도 학교건물의 에너지효율개선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건물에너지 Retrofit사업의 원활할 추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사업시작 이전에 수행하는 건물에너지진단과 건물에너지 성능평가이다. 각각의 학교별로 에너지진단이 이루어지고 각 학교가 직면한 상황에 맞게 Retrofit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동일한 지역에 있더라도 적용기술이 다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사업자 그리고 학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Retrofit사업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를 포함하는 건물 Retrofit사업은 건축주나 수요자가 요구하는 사항을 면밀히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제 수요자가 모든 Retrofit 정보에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국내외 학교건물 에너지효율 개선 정책 제1절 국내 정책 1. 그린 스쿨(Green School) 2. 서울시 제로에너지 스쿨과 교육환경개선사업 제2절 해외 정책 1. 미국 2. EU(유럽연합) 3. 일본 4. 국내외 시사점 제3장 학교의 에너지소비실태 분석 제1절 일반 현황 1. 초중등학교 전체 에너지소비 현황 2. 유형별 에너지소비량 비교 제2절 초등학교 1. 초등학교 전체 현황 2. 초등학교 중부/남부 에너지 소비현황 3. 초등학교 광역시도별 소비현황 제3절 중학교 1. 중학교 전체 현황 2. 중학교 중부/남부 에너지 소비현황 3 중학교 광열시도별 소비현황 제4절 고등학교 1. 고등학교 전체 현황 2. 고등학교 중부/남부 에너지 소비현황 3. 고등학교 광역시도별 소비현황 제4장 학교 건물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제1절 모델링 분석을 위한 분석 대상 설정 1. 분석대상학교의 일반 현황 2. 분석대상학교의 에너지 소비현황 제2절 분석 모형 설정 1. EnergyPlus 모형 개요 2. 시뮬레이션 타당성 분석 3. 성분별 에너지 소비량 분석 제3절 에너지 성능 평가 1. 분석대상학교의 에너지 성능 평가 2. 태양열 급탕시스템 3. 태양광 발전시스템 4. 적용기술별 최종에너지 분석 제5장 학교 건물 Retrofit 방안 제1절 학교 Retrofit을 위한 선정 기술 1. 분석대상학교의 에너지 비용 분석 2. 적용기술요소에 대한 비용 분석 3. 투자비 대비 경제성 분석 제2절 학교 Energy Retrofit을 위한 재원 지원 방안 제6장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