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7The Impacts of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on Energy Demand and Supply of Korea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연구: LNG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 및 공급자 전략
- 연구책임자
- 김기중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vi 149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45-149)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35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35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35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35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셰일가스 등 비전통가스의 개발 동향과 LNG 공급경쟁의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둘러싼 공급자들의 전략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천연가스 도입, LNG 트레이딩, 가격, 산업구조 등과 관련된 시사점 및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천연가스 시장에서 메가트렌드로 규정할 만한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동 메가트렌드의 한가운데에 있다고 할 수 있는 비전통가스의 매장량 및 개발․생산동향을 검토하였으며, 우리나라가 도입해온 천연가스 전량의 공급형태인 LNG의 공급능력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動因) 또는 추력(推力)이라고 할 만한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들은 어떻게 그 힘을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에 기초하여 과연 천연가스 수요측에서 기대하듯이 공급경쟁이 확대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급자 전략을 포함하여 공급경쟁 확대를 견제 또는 저지하는 요인들도 함께 검토한 뒤, 이들 분석의 시사점과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개관
1. 메가트렌드란?
2.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개관
제Ⅲ장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1. 전통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2. 비전통가스 매장량 분포 및 개발 동향
가. 셰일가스
나. 치밀가스
다. 탄층메탄가스(CBM)
제Ⅳ장 세계 LNG 공급능력 현황 및 전망
1. 세계 LNG 공급능력 개관
2. 플랜트 단계별 액화용량 및 가동률
가. 기존 프로젝트
나. 건설 중 프로젝트
다. 제안 프로젝트
라. 폐지 프로젝트
3. 지역별 액화용량 현황 및 전망
4. 신규 가스자원 개발
5. 프로젝트 투자비
6. 미국 LNG 수출 프로젝트 추진 현황
제Ⅴ장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 및 사례 분석
1.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동인 개관
가. 개관
나.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동인의 분류
2.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 여건의 성숙
가. 세계 에너지 공급 불안과 에너지 가격의 상승
나. 지구온난화 문제 완화를 위한 세계적 관심과 노력 증가
다. 가스 이용기술의 발달과 수입수요의 증가
라. 비전통에너지의 약진과 신재생에너지의 부진
마. 원자력 안전에 대한 우려 확산
3.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공급측 동인 검토
가. 기술적 동인
나. 에너지 시장 및 규제 관련 동인
다. 천연가스 수급 관련 일반적 요인
제Ⅵ장 LNG 공급자 전략과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
1. 공급자 전략 및 공급경쟁 확대 가능성 검토 방법론
2. 시장에서 관찰되는 수급 관련 지표
가. 시장참여자 수의 증가
나. 지역시장 간 거래의 증가
다. 단기거래의 증가
라. 수송능력의 증가
3. 세계 LNG 수급균형 전망
4. LNG 가격 전망
가. 가격 수준
나. 가격 구조
5. 주요 공급자들의 공급 전략
가. 대형 공급사들의 공급 전략
나. 말레이시아의 유연물량 확보
6. 러시아, 카타르 및 GECF 동향
가. 우크라이나 사태의 러시아 천연가스에 대한 영향
나. 카타르의 시장전략 동향
다. 러시아와 카타르의 전략적 관계
라. 가스수출국포럼(GECF) 동향
제Ⅶ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1. 도입부문 시사점 및 정책과제
2. 가스 트레이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제Ⅷ장 결 어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