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4Understanding Energy Trading Investments and Financial Markets

에너지 시장구조와 금융시장 간의 상호작용과 영향

연구책임자
이지연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vii 138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4
서지주기
참고문헌(p.135-136)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49대출가능-
자료실P42335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4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5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금융시장의 발달은 자본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여 기업, 산업, 경제의 발전을 촉진한다. 이에 금융시장은 에너지 부문에서도 직·간접적으로 시장으로 적절하게 자본이 유입되도록 하고 가격발견기능, 실물자산에 기초한 금융상품 개발과 거래를 통한 투자수익 창출 기회를 증진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거래 조건이나 가격을 왜곡하는 시장적 장애 요소를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에너지 시장은 그 구조의 변화와 자유화, 기술의 발전, 비전통 에너지원의 개발 등으로 인해 내재적 변동성이 증대되었다. 특히 가격에 대한 불확실성과 생산과 관련된 위험의 증대로 에너지 시장에서 리스크 회피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셰일가스 붐은 에너지시장 자체에 대한 변화뿐 아니라 석유, LNG 터미널 건설 등의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시키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전자상거래 등의 발달로 거래비용이 줄어들고 시장가격 조정이 보다 용이해졌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에너지 실물 시장과 금융시장과의 연계가 용이해지거나 혹은 촉진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시장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금융투자자의 실물시장 참여와 금융시장의 가격발견 기능으로 인해 충격의 상품시장과 금융시장의 기능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대응의 중요성이 커진 것이 사실이다. 특히 국제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고 가격변동에 따르는 위험을 분산하는데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에너지 시장의 위험 대응 외에도 금융시장과 실물시장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업 및 투자 기회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상품시장과 금융시장의 상호작용: 석유시장 중심으로 제1절 실물시장과 금융시장 간의 상호작용 1. 실물시장 2. 운송시장 3. 국제 실물시장과 금융시스템간의 관계 제2절 석유시장 1. 국제원유시장 및 석유제품시장 가. 석유시장구조 및 기준 가격 나. 석유거래, 트레이딩 허브 1) 트레이딩 회사 2) 가격정보제공기관 3) 청산소 및 거래소금융기관 4) 정유 및 저장시설 2. 석유 트레이딩과 금융 인프라 제3장 국가별 석유거래 및 관련 금융 인프라 현황 제1절 싱가포르 1. 석유 및 석유제품 거래 현황 가. 거래 현황 나. 정유시설 다. 항만 시설 라. 저장 시설 2. 금융 인프라 현황: 트레이딩 허브로서의 성공에 기여한 금융시장의 요건 3. 종합 및 요약 제2절 인도네시아 1. 석유 및 석유제품 거래 현황 가. 거래 현황 나. 정유시설 다. 저장 시설 2. 금융 인프라 현황 3. 종합 및 요약 제3절 말레이시아 1. 석유 및 석유제품 거래 현황 가. 거래 현황 나. 정유시설 다. 저장시설 라. 항만시설 2. 금융 인프라 현황 3. 종합 및 요약 제4절 중국 1. 석유 및 석유제품 거래 현황 가. 거래 현황 나. 정유시설 다. 저장시설 2. 종합 및 요약 제4장 원유 트레이딩 허브의 거래에 미치는 요인 분석 제1절 선행연구 제2절 자료 1. 변수의 정의와 특성 2. 금융지표변수의 세부 정의와 특성 제3절 실증분석 방법론 및 결과 제4절 실증분석 결과의 금융 인프라 관련 시사점 제5장 결론 참 고 문 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