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17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17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1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17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현재 우리나라는 농어촌지역 거주민의 취사・난방용 에너지비용이 도시지역보다 높은 역진적인 구조이다. 소득수준이 낮은 농어촌 지역의 취사・난방비용이 도시거주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소득 중 에너지 소비에 지출하는 비중도 높다.
저렴한 가격으로 가스난방을 이용할 수 있는 도시지역 주민과 달리 농어촌 지역 주민은 난방용으로 연료비용이 비싼 기름보일러 등을 주로 이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취사용으로 도시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 도시 주민들과는 달리 농어촌 지역 주민은 비싼 용기 배달을 통한 LPG를 사용하고 있어 도시지역 주민과 연료비용 차이가 적지 않다. 이에 따라 농어촌 지역 에너지복지 향상을 위해 취사・난방시설 개선 및 에너지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도시가스 공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비용 대비 효율을 고려하여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공급이 되고 있다. 인구 밀집도가 낮은 지역에서의 도시가스 공급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적인 공급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시지역 거주자들은 저렴한 천연가스를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소득이 늘어나면서, 국민들은 향상된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고, 정부는 이러한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저렴하고 편리한 도시가스 보급을 늘리기 위해서 정부와 한국가스공사는 수급지점을 추가 개설해 미공급 지역을 줄여 나가고 있지만, 도서 및 산간 지역이나 농어촌 지역 마을단위 까지 매설배관을 설치하기에는 효용 대비 사회적 비용이 너무 커진다. 이에 도시가스사의 주배관이 미치지 않은 농어촌 마을 단위에 적합한 가스에너지 공급방식으로 소형저장탱크를 이용한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을 위한 가스에너지 공급방식으로 대두되고 있는 몇 가지 공급방식의 상대적 경제성을 분석하여 농어촌 마을단위에 적합한 공급방식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대안 중 선택된 공급방식이 실제 농어촌 마을 대상으로 사업을 시행할 때 타당한 사업인지에 대한 논의와 정부의 예산 편성 방식에 대한 제언을 도출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마을단위 지역 가스체에너지 공급방식 분석
1. 마을단위 지역 가스체에너지 공급방식 대안
가. 소형 LNG/LPG 저장탱크 공급방식
나. 도시가스 주배관망 연장을 통한 공급방식
2. 마을단위 지역 가스체에너지 적정 공급방식
가. 공급방식 별 전제조건
나. 공급방식 별 경제성 비교
다. 결론 및 시사점
제3장 소형 LPG 저장탱크 보급사업 타당성 분석
1. 마을단위 소형 LPG 저장탱크 보급 경제성 분석
가. 분석방법
나. 정책지원자의 지원비용
다. 소형 LPG 저장탱크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라. 결론 및 시사점
2. 사업구조 분석
가. 적정 지원비용 산정
나. 총 예산규모 추정
다. 적정 예산배분 기준
라. 적정 마을 선정 기준
제4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