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10Study on the asymmetry of economic activities in industry fields by volatility of energy prices

에너지가격 변동의 산업별 경제활동 비대칭성 연구

연구책임자
이승문
연구참여자
임덕오, 유병학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vi 91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10
서지주기
참고문헌(p.63-6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25대출가능-
자료실P42332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2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2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전력판매단가 충격과 원유도입가 충격이 발생할 때 거시경제 변수들과 제조업별 변수들 중 몇몇 변수들은 비대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대칭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보고서에서 볼 수 있듯이 비록 원유도입가 상승은 GDP와 전체 제조업 GDP에 비대칭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에너지가격 변동에 대한 경제 변수들의 충격반응은 전력판매단가에 대한 충격반응이 원유도입가에 대한 충격반응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DP의 충격반응보다 제조업 GDP의 충격반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가 변동에 대한 GDP의 충격반응과 더불어 전기가격 변동에 대한 제조업 GDP의 충격반응에도 정책적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에너지가격 변동이 경제의 생산에 미치는 결과는 에너지 소비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가격 변동에 대한 경제를 안정화 시키는 정책은 제조업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제조업에서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 경제를 안정화 시키는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가격 변동에 대한 제조업 GDP의 충격반응을 줄이는 경제 안정화 정책은 전기가격을 통제하는 것보다는 전력수요관리 정책을 통해 전기가격에 대한 전력수요의 반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전력수요관리 정책을 통하여 기계사용에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면 경제활동을 위축시키지 않고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제조업 전력수요관리 정책은 산업적, 미시적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경제 안정화 정책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력판매단가 5% 상승과 10% 상승에 대한 경제 변수들의 변동 폭의 상대적 크기는 각 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보고서의 분석만으로 전기가격을 한꺼번에 10% 올리는 것과 5%씩 두 번 오리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정책인지는 판단하는데 한계점을 갖는다. 하지만 전력판매단가가 10% 상승 시 상대적으로 충격반응이 더 큰 제조업을 중심으로 더 강력한 전력수요관리 정책을 실시한다면 전기가격 상승에 대한 경제 충격을 완화시키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에너지 가격 변화의 경제적 효과 1. 에너지 가격 충격의 경제적 효과 2. 국내 선행 연구 제3장 산업별 에너지 소비 구조 1. 제조업 에너지 소비 구조 2. 제조업별 에너지 소비구조 분석 가. 음식, 담배 산업 나. 섬유, 의복 산업 다. 나무, 목재 산업 라. 펄프, 인쇄 산업 마. 석유화학 산업 바. 비금속 산업 사. 1차 금속 아. 비철금속 산업 자. 조립금속 산업 제4장 모형 설정 및 실증 분석 1. 비대칭, 비선형 VAR 모형 설정 2. 실증분석 가. 거시경제 변수의 대칭성 반응 검정 나. 산업별 경제활동 변수의 대칭성 반응 검정 다. 정책적 시사점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