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01The Analysis on Determinants of IOCs’ Diversification Strategy
국제석유기업 다각화 전략의 결정요인 분석 연구
- 연구책임자
- 오세신
- 연구참여자
- 최성희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110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3-99)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30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30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30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30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세계 석유산업의 변화는 석유수요와 공급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큰 변화들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국제석유기업들의 다각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1) 국제 유가, (2) 석유시장에서의 무역자유화, (3) 시장 집중도, (4) 생산비용 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들의 영향력은 이론 및 실증 모형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석유기업의 다각화 전략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국제석유기업의 전략이 석유시장을 선도하는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국내 석유기업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최근까지 이어진 국제석유기업의 정유부문 축소는 이러한 결정요인들의 변화가 배경에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국내 석유기업들에게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국제석유기업이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석유 상류부문으로의 사업다각화를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국제석유기업과 국영석유기업들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류부문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 것 역시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국제석유기업의 원유생산 한계비용이 국제 원유가의 지지선(the Maginot Line)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국내 석유기업이 노려볼 수 있는 상대적으로 생산비용이 낮은 중・소규모의 유전 이 존재할 수 있으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석유기업의 성공적인 다각화를 통해 국내 석유산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부의 노력도 요구된다.
첫 번째, 성공불 융자 제도를 강화해 석유탐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다. 두 번째, 조세감면 제도를 개선해 해외석유개발에 있어 세액감면 범위를 확대해 줄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는 석유 상류부문에서의 질 높은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석유탐사 및 생산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민간에 이전하는 기능을 가진 국책연구소 설립을 제안한다.
한편, 정유산업을 고려해 아시아 외에도 최근 들어 석유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으로 FTA(Free Trade Agreement) 체결을 확대하는 것도 국내 석유산업의 보호와 석유안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국제석유기업의 발전과 다각화 결정 요인
1. 국제석유기업 발전사
가. 석유파동기(1975~1982): 사업다각화의 시작
나. 1980년대: 구조조정(Restructuring)을 통한 효율성 제고
다. 1990년대: 석유시장 경쟁심화와 천연가스 개발 확대
라. 2000년대: 규모의 경제를 통한 시장 지배력 강화
마. 금융위기(2008년) 이후:
2. 사업 다각화 결정요인
가. 국제 유가
나. 무역자유화
다. 법적 제도
라. 시장 집중도(market concentration)
마. 생산 비용(production cost)
제3장 국제석유기업의 다각화 요인 분석
1. 이론적 모형분석
가. 기존 연구
나. 기본 모형
다. 석유무역 자유화의 역할
라. 시장경쟁도의 역할: 상류부문
마. 시장경쟁도의 역할: 하류부문
2. 실증적 모형 분석
가. 기존연구
나. 가용 정보 및 자료
다. 기초통계 및 그래프 분석
라. Panel Data 분석 결과
1) 전체 기간(2000~2012년)
2) 유가 안정기(2000~2003년)
3) 유가 상승기(2004~2007년)
4) 세계 경기 침체기 및 회복기(2008~2012년)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