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09Economic Impacts of Deepening Energy-Intensive Industrial Structure

에너지다소비산업구조 심화요인 분석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자
김태헌
연구참여자
임덕오, 김윤경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vii 97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09
서지주기
참고문헌(p.95-9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23대출가능-
자료실P42332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2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지난 몇 년간 우리나라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상회함에 따라 에너지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력수요 급증과 발전설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전력예비력 부족은 여름철 국민들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기도 했다. 국가 전체의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가 상승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2000년에서 2008년까지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4.4%인 반면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연평균 2.8%로 경제성장률보다 크게 낮았다. 그러나 2009년에서 2011년까지는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상회한 이후 다시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이 에너지소비 증가세가 급등하고 급락하는 현상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관련이 크다. 산업부문은 현재 우리나라 최종에너지 소비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에너지소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다소비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정유 산업의 설비와 생산량이 최근 빠르게 증가해왔으며, 생산과정에서 투입에너지도 크게 증가해왔다.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생산량 증가는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고용을 창출하는 긍정적 측면과 생산과정에서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배출 증가를 유발하는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 최근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생산 증가로 전체 산업 중에서 에너지다소비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생산과정에서 투입되는 에너지 사용의 증가는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심화시키고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수급과 에너지안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에너지다소비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산업의 수출 등 수요증가의 파급효과를 경제, 에너지수급, 환경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 심화 요인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의 수립에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석유화학 및 철강 산업의 생산량 증가의 대내외적 요인을 분석하고,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 심화가 부가가치, 고용, 산업별 생산, 에너지수급, 이산화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2008년~2011년 에너지소비 급증 원인 분석 1. 에너지소비 추이 2. 산업부문 에너지소비 3.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생산 증가 원인 분석 가. 석유화학산업 나. 철강산업 다. 석유정제산업 제3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 1. 선행연구 2. 분석방법: 에너지소비 요인분해(Decomposition Analysis) 가. Log Mean Divisia Index(LMDI): 가법적 방법 나. Simple average parametric Divisia method 2 3. 분석자료 및 대상 4. 요인분해 결과 가. 최종에너지 소비 요인분해 나. 전력소비 요인분해 다. 연료소비 요인분해 제4장 산업연관분석 1. 선행연구 2. 분석대상 가. 대상연도 나. 대상산업 다. 평균소비성향 라. 시나리오 설정 3. 최종수요유발효과 분석 4. 시나리오별 생산유발효과 분석 5. 시나리오별 부가가치유발효과 분석 6. 시나리오별 고용유발효과 분석 7. 시나리오별 피용자보수유발효과 분석 제5장 에너지수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파급 영향 1. 시나리오별 에너지공급액 변화 추정 2. 시나리오별 에너지공급량 변화 추정 3. 시나리오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추정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