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론
제2장 에너지부문의 녹색성장 정책
제1절 녹색선진국 정의
1. 중장기 녹색성장 전략 및 정책
2. 녹색선진국 정의
3. 녹색선진국 지표 선정
제2절 에너지・산업부문 녹색성장 정책
1. 10대 녹색성장 정책
2. 에너지・산업부문 저탄소 정책 재분류
제3장 산업부문의 중기 온실가스 배출 전망
제1절 산업부문의 2010-202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
1. 산업부문 에너지 수요 전망 전제
2. 산업부문의 2010-2020년 에너지 수요 전망
3. 산업부문의 2010-202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
제2절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관련 지표 전망
1. 산업부문의 2010-2020년 에너지 수요 관련 지표 전망
2. 산업부문의 2010-2020년 온실가스 배출 관련 지표 전망
제4장 산업부문 기준안의 온실가스 배출증감 분해
제1절 정부의 업종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1. 정부의 업종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2. 업종별 온실가스 기준배출량 재설정
3. 업종별 온실가스 목표배출량 재설정
제2절 지수분해분석방법론
1. 지수분해 분석 방법론 선행연구
2. 지수분해 분석 방법론(LMDI)
제3절 2004-2010년의 온실가스 배출증감 분해
1. 제2차년도 연구(2013년)와의 차이
2. 2004-2010년의 지수분해분석 결과
제4절 2010-2020년 기준안의 온실가스 배출증감 분해
1. 부가가치 기준 기준배출량(BAU)의 온실가스 배출증감 분해
2. 총산출액 기준 기준배출량(BAU)의 온실가스 배출증감 분해
3. 부가가치와 총산출액 기준 지수분해분석의 결과 차이
제5장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시나리오 분석
제1절 2020년 목표배출량 달성 시나리오
1.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개요
2. 지수분해분석방법의 분해효과 상호작용
제2절 에너지집약도 관련 조정을 통한 목표배출량 달성 시나리오
1. 생산효과 시나리오
2. 에너지집약도 개선 시나리오
3. 산업구조 시나리오
제3절 에너지믹스 조정을 통한 목표배출량 달성 시나리오
1. 에너지믹스 조정 개요 및 가정
2. 에너지믹스 조정 시 목표배출량 달성 결과
3. 에너지믹스 개선이 지수분해분석 효과에 미치는 영향
4. 에너지믹스 개선 시 온실가스 감축비용
제4절 배출계수 조정을 통한 목표배출량 달성 시나리오
1. 온실가스 배출계수 조정 개요 및 가정
2. 배출계수 개선 시 목표배출량 달성 결과
3. 배출계수 개선이 지수분해분석 효과에 미치는 영향
4. 배출계수 개선 시 온실가스 감축비용
제5절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분석결과 종합
제6장 중기 감축목표 달성 시 녹색생산성 변화 예측
제1절 녹색생산성 개요
제2절 연구 방법론
1. 분석모형의 개요와 방향거리함수
2. ML지수와 그 분해요소
제3절 자료 및 통계량
1. 분석 자료의 자료원 및 자료구성
2. 분석 자료의 기초 통계량
제4절 분석결과
1. 기준안과 감축목표안 달성 시 산업부문의 녹색생산성 변화
2. 각 시나리오에 따른 녹색생산성의 변화
3. 각 기준에 따른 녹색생산성과 일반생산성 비교
4. 각 기준에 따른 누적 녹색생산성 및 분해 분석
5. 녹색생산성 향상 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과 부가가치 증가 잠재량
6. 지수분해분석방법론과 녹색생산성 분석 방법론과의 연관성
제5절 시사점 및 결론
제7장 결 론
참 고 문 헌
부 록
<부록 1> 지수분해분석방법(LMDI) 부록
<부록 2> 자료포락 분석방법(DEA) 부록